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아교육. 장애학생교육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아교육. 장애학생교육 전문가입니다.

정소영 전문가
Q.  아이들 스마트폰 조금만 할수 있게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1인 1스마트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개인 모바일사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변에 흔하게 있는 스마트폰에 아이들이 쉽게 반응하는 것은 어찌보면 자연스런 반응이라 여겨집니다. 하지만 시간을 조절해서 게임을 하는 어른들과 달리 아이들은 시간 가는줄 모르고 게임에 몰두하고 있는 것은 걱정이 아닐수 없습니다. 이렇게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아이와 약속한 규칙지키기를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1. 하루중 게임을 최대 00시간 하기, 1시간 게임하면 1시간 바깥놀이(책읽기, 과제하기... 등)하기 등으로 아이가 게임하는 시간을 확보하고 싶으면 다른 활동(과제)을 하고나서 해야 한다는 규칙을 만드는 것입니다. 2. 규칙을 잘 지키면 보상하기. 약속한 규칙을 지키면 보상(교육학 용어로 강화라고 합니다. 칭찬을 하거나, 먹을 것을 주거나, 스티커를 주거나...) 아이의 입장에서 자신이 약속을 지킨 것에 대한 보상을 받는 것입니다. 이때의 보상은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 좋아하는 물건 등을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3. 규칙과 보상 정하기는 아이와 함께 상의해서 결정하시는 것이 더 효과가 있습니다. 4. 하루에 지켜야 하는 규칙과 약속을 모두 완료한 날은 맘대로 게임을 하도록 하는 것도 좋은 강화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이에게 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하기 싫은 것도 해야한다는 의무감과 권리를 모두 알고 실천하도록 하는 인지를 심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Q.  아들인데 취향이 여자아이네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들 아이가 딸아이들이 좋아하는 것들에 더 관심을 보여 걱정스러우시겠습니다. 하지만, 최근은 남아다움, 여아다움이란 개념보다는 아이의 고유한 성향을 존중하는 패러다임이 더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남자아이는 로보트를 좋아하고 파랑색, 칼, 싸움놀이 등을 좋아해야 하고여자아이는 인형을 좋아하고, 분홍, 소꼽놀이, 요리하기 등을 좋아해야 한다는 식의 말은 성인지 감수성(성인지성)에 반하는 말들입니다. 과거의 어른들께서 '남자녀석이 핑크색 입으면 쓰겠니 ' 등으로 말씀하셨지만 지금시대는 이런 말은 개인의 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일상생활 속에서 젠더(성)에 대한 차별이 있음을 인지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아들 아이에게 '왜 여자아이처럼 그러니, 그러면 안돼...' 등으로 말씀하시는 것은 적절한 대응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남자, 여자의 정의는 생식기의 차이만 다를 뿐 좋아하는 색, 놀이, 감정, 정서 등은 모두 개인의 차이로 존중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아이가 자기가 좋아하는 것들을 충분히 표현하도록 해주시는 것이 정서발달에도 도움이 되니 전혀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일예로, 여자아이가 파랑색을 좋아하고 씩씩하다고 해서 걱정할 것이 아닌 것과 같습니다. 그냥 아이의 개인적인 취향인 것입니다. 나쁘다 좋다 또는 옳다 옳지않다고 판단하는 것과는 다른 것입니다.
Q.  요즘같이 추운날 아이와 같이 할수있는 운동이 뭐가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연일 추운 날씨로 아이들이 바깥놀이를 하기 힘들어 지고 있습니다. 운동량이 많은 초등학생이라면 더 추운 겨울이 난감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놀이들을 추천드립니다. 1. 대근육과 소근육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거실에서의 이불 멍석말이 놀이 또는 이불 기차놀이도 재미있습니다. 이불로 술래를 말아서 몇회 돌리고 술래잡기를 하는 놀이와 이불에 사람을 태워서 기차놀이를 하는 것입니다. 층간 소음도 걱정이 되니 뛰는 것은 줄이고 앉아서 하기 좋은 대소근육 운동입니다. 2. 하루종일 아이와 같이 있다보면 부모도 힘든 날이 계속됩니다. 운동과 생활을 통합한 것도 실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요리하기 입니다. 아이들 눈높이에 맞춘 밀가루 반죽해서 쿠키 또는 피자만들기, 수제비 뜨기 등 입니다. 요리를 하는 것은 대근육 보다는 소근육을 발달시키는 활동으로 생활밀착형입니다. 놀이를 하면서 끼니도 해결하는 일석이조라고 보여집니다. 자녀분이 2명 이상이라면 요리경연대회를 해서 지는 자녀가 설거지를 하는 것도 좋은 놀이로 응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Q.  3개월차 아이는 어떤 놀이를 해주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백일 정도 되는 영아가 얼마나 사랑스럽고 예쁠지 상상이 갑니다. 행복한 아이와의 행복한 추억을 만드는 놀이로 까꿍놀이를 추천드립니다. 백일정도 되어가는 아이들은 대상영속성이라고 하는 인지발달 이론에 근거해 엄마가 눈에 보이지 않으면 소리를 쫒아 가서 엄마를 보려고 하고 조금더 지나면 엄마가 눈에 보이지 않아도 소리를 듣고 우리엄마가 내 옆 어딘가에 있다는 것을 알아서 편안함을 느낍니다. 이와 관련한 영속성의 시작을 알리는 놀이가 까꿍놀이입니다. 엄마가 아이앞에서 손으로 얼굴을 가리고 있다가 '까꿍'하면서 손을 떼면서 다양한 얼굴 표정을 만드는 것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엄마가 보였다 안보였다하는 놀이입니다. 손으로 해도 좋고 탈이나 다른 물건으로 얼굴과 몸을 가렸다가 보여주고 이를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런 놀이는 엄마가 갑작스럽게 우유를 타야해서 아이의 눈앞에서 보이지 않을때 아이들을 자지러지게 울게 됩니다. 하지만 까꿍놀이를 하듯이 엄마 여기 있네 '까꿍' 이런 소리를 들려주면서 우유를 타는 행동을 하면 아이가 엄마 소리를 듣고 안정을 찾게 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Q.  영유아기의 아이가 또래보다 말이 늦으면 어떤 대처를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아이가 말이 늦어서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몇달 늦는 것은 괜찮지만 1~2년 늦는 것은 그대로 두시면 안될 것 같습니다. 주변에 소아과 큰 병원이 있다면 언어발달 검사를 받아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는 복지관(장애인복지관 등)이 근처에 있다면 언어치료실에 가셔서 검사를 받는 것도 좋습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언어가 늦는 경우는 꾸준하게 지도(치료)를 하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걱정스러우시다면 꼭 언어발달 검사를 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