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태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태화 전문가입니다.
정태화 전문가
노무법인 씨앤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구조조정
2021년 4월 26일 작성 됨
Q.
회사가 부도가 났는데 퇴직금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우선 퇴직 후 14일 후에 고용노동부에 임금체불로 진정을 넣으시길 바랍니다. 이후에 근로감독관이 조사를 할 것이고 임금체불이 확정된다면 일련의 절차를 통해 체당금을 먼저 국가로부터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에 걸리는 시간은 최소 2~3개월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선 노동부에 진정을 접수하시는 것이 시작입니다.
휴일·휴가
2021년 4월 26일 작성 됨
Q.
입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퇴직금은 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고 근속기간은 12개월 즉 1년 이상 근무했을 때 발생합니다.질문자님의 경우 몇일차이로 12개월이 안되서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12개월 1년을 맞추고 퇴직하시는 것이 퇴직금도 받으실 수 있고 유리할 것입니다.
임금·급여
2021년 4월 26일 작성 됨
Q.
알바는 퇴직금을 받을수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퇴직금은 소정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이고, 1년 이상 근무할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아르바이트도 마찬가지입니다. 질문자님의 경우도 1년 이상 근무할 경우 퇴직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받으실 수 있는 것을 받지 않는 건 질문자님의 선택이시나 본인의 노동으로 정당하게 발생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또한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의무도 사업주의 의무이므로, 본인의 근로조건을 명확하게 하기위해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 요청도 하시길 바랍니다.
직장내괴롭힘
2021년 4월 26일 작성 됨
Q.
5인미만카펜데 정당하게해고하려면?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해고 시에 적용되는 절차는해고예고뿐 입니다. 해고하기 30일 전에 해고통보를 하셔야 하며, 반드시 서면으로 해야하는 것은 아니나분쟁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서면,문자 등 기록을 남겨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이고 해당 근로자가 입사한지 3개월 미만이라면 해고예고도 없이해고가 가능합니다.
휴일·휴가
2021년 4월 26일 작성 됨
Q.
5인이상사업장 연차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 입사한지 1년 미만 근로자의 경우 1개월 만근 마다 1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하고,입사 후 1년이 지난 2년차부터는 15개의 연차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질문자님의 경우 2월 입사이므로 매달 만근했다고 가정했을 경우 현재는 2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2022년 02월 01에 15개의 연차휴가가 발생합니다.
휴일·휴가
2021년 4월 26일 작성 됨
Q.
5월 1일 근로자의 날 휴무 기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자의 날은 근로기준법에 유급휴일로 규정되어 있으며, 그 범위는 모든 근로자입니다. 따라서 근로자의 날에 적용이 제외되는 근로자가 있거나 직군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근로형태를 불문하고 근로자의 날에는 모든 근로자에게 휴일이 부여가 되어야 하며근로할 시에는 휴일근로수당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근로계약
2021년 4월 26일 작성 됨
Q.
근로계약서는 입사 후 언제까지 써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계약서는 근로개시 전에 쓰시는 것이 원칙입니다. 근로계약서에는 근로시간, 휴게, 휴가, 임금 등 주요사항을 꼭 명시해야 합니다. 본인의 근로조건을 명확히 하기위하여 사업주에게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를 빨리 요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휴일·휴가
2021년 4월 26일 작성 됨
Q.
8시간근무시 점심시간1시간으로 휴게시간 끝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휴게시간은 근로기준법에서 최저수준만 정해놓고 있습니다. 4시간 근무 시 30분 휴게시간, 8시간 근무 시 1시간 휴게시간을 주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휴게시간은 8시간 근무 시 1시간을 부여했다면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습니다. 보통 1시간의 휴게시간을 식사시간을 겸하여 부여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근로계약
2021년 4월 23일 작성 됨
Q.
2일 근무한 신규직원 퇴사시 근로계약서도 작성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계약서는 근로 개시 전에 무조건 작성 및 교부하셔야 합니다. 하루만 일하더라도 근로계약서는 작성하셔야 합니다. 이틀만 근무했더라도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교부하지 않으신다면 처벌대상이 됩니다. 꼭 작성 및 교부하시길 바랍니다.
임금·급여
2021년 4월 23일 작성 됨
Q.
대기발령 기간을 평균임금 산정대상기간에 포함시키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행정해석과 판례는 대기발령이 정당하다면 대기발령 기간과 그 기간에 지급받은 임금액을 평균임금 산정할 때포함시켜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임금68207-502 / 대법2001다12669)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