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주민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주민욱 전문가입니다.

주민욱 전문가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손 봉합부위 실밥푼후 상태확인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봉합부위가 좀 벌어지셨네요.다시 봉합을 해야할 정도는 아니고, skin strip 제품을 이용해서 단면끼리 붙여주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병원에는 다시 방문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알콤솜 알러지 있는 경우 한의원, 채혈 전후 뭐로 대체해서 소독해달라고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흔하게 쓰는 피부 소독양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과산화수소수알코올 소독제 (소독용 에탄올=에칠알코올)포비돈 요오드 용액세네풀, 솔트액이중에서 우리가 흔히 빨간약이라고 하는 포비돈 요오드 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25세 청년입니다. 물이 많다는 표현이 맞는지 모르지만 손과 발에 땀이 많아 늘 젖어 있는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다한증 이신 것 같습니다.다한증은 인체의 교감신경이 항상성 조절에 실패해 체온 상승과는 관계없이 땀이 과잉하게 방출되는 질환입니다. 얼굴, 손, 겨드랑이 등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염화 알루미늄액의 외용, 통전 요법(이온 영동 치료), 보톡스 주사, ETS 수술(내시경 흉부 교감신경절제술) 등의 방법이 있지만, 각각의 치료 방법에 장단점이 있어 병의 경중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흉부외과 진료를 먼저 권고 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밀가루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비만이 되기 쉬습니다.밀가루는 탄수화물 92%, 단백질 8%로 구성된 고탄수화물 식품이다. 당지수(GI)가 높아 혈당을 빠르게 치솟게 하고 살을 찌게 한다. 당지수가 높을수록 체내 흡수 속도가 빨라 이를 에너지화하는 속도도 빠르며, 이때 남는 에너지가 지방으로 축적된다. 당지수가 높은 음식을 섭취할 경우 공복감이 빨리 찾아와 과식을 초래한다.◇당뇨병 유발당지수가 높기 때문에 췌장을 자극해 인슐린을 필요 이상으로 많이 분비하게 만든다. 과잉 분비된 인슐린이 췌장을 지치게 해 당뇨병을 유발한다. 당뇨병 환자나 비만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은 밀가루 섭취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한해야 한다. 밀가루 자체 당지수는 55로 높은 편은 아니지만, 밀가루 가공식품인 식빵(91), 바게트빵(93), 라면(73) 등은 당지수가 높다. 반면 통밀가루로 만든 통밀빵은 당지수 50으로 낮다. 당지수가 낮은 음식은 체내 흡수가 느리고 천천히 에너지화돼 지방이 저장되는 것을 막고 포만감을 오래도록 느끼게 한다.◇지방간 위험당지수가 높은 식품을 먹으면 당이 인체에서 녹을 때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고 동시에 뇌는 체내에 지방을 저장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명령과 함께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은 곧바로 인슐린을 간으로 보내기 때문에 간에 집중적으로 지방이 저장된다. 따라서 당지수가 높은 식품을 자주 섭취하면 지방간 발병률 역시 높아진다.◇글루텐불내증글루텐은 보리나 밀 등 곡류에 들어 있는 불용성단백질이다. 탄력성이 있어 밀가루 반죽을 쫄깃하게 하고, 빵을 가볍고 폭신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글루텐은 소화가 잘 안 되며 글루텐불내증에 걸리면 피부, 신경계, 면역계, 체력, 관절, 치아를 비롯 행동과 기분까지 악영향을 받는다. 불내증이란 영양분이 몸 안에 들어왔을 때 우리 몸이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고 거부하는 반응이다. 대표적인 글루텐불내증 증상으로 설사, 복통, 변비, 복부팽만 등 소화기능 장애가 있다.◇음식 중독성밀가루 음식을 유독 좋아하는 사람은 글루텐 중독을 의심해야 한다. 밀가루를 섭취하면 글루텐이 장내 세균에 의해 에소루핀이라는 성분으로 변한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뒷머리와 뒷목을 손으로 갖다 대기만해도 욱씬거리고 아프네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증상을 봐서는 긴장성 두통을 의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긴장성두통은 흔히 두피(두개골 밖)에 분포하는 근육이 지속적으로 수축하면서 발생합니다. 긴장성두통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은 일반적으로 박동성이지 않은 압박감, 조이는 느낌, 또는 머리나 어깨를 짓누르는 느낌 등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양측에 모두 나타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커피 마시는 것이 위에 안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커피 속 카페인 성분은 위벽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쓴맛수용체와 달라붙어 위산 분비를 촉진해 식후에 커피를 마시면 소화가 잘된다고 느끼지만 빈속에 마시면 위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나이 먹을수록 살빼기 힘든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나이가 들수록 적절한 운동을 하지 않으면, 근육량이 줄어들고 체지방량이 늘어서 기초대사량이 감소하게 됩니다.체중 변화가 없다면 남자는 나이가 한 살 늘어날 때마다 3.8kcal씩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고, 여자는 한 살 늘어날 때마다 2.67kcal씩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게 됩니다.이로 인해 같은 양을 먹어도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술을 많이 마시면 뇌세포가 파괴되나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알코올은 혈관을 통해서 우리 몸에 흡수되는데, 술을 많이 마시면 혈액 속의 알코올이 뇌세포에 손상을 입힙니다. 이러한 문제가 반복되면 뇌에 영구적인 손상이 발생하여 회복이 불가능합니다.알코올성 치매는 전체 치매 환자의 1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알코올성 치매의 대표적인 증상은 흔히 '필름이 끊긴다'라고 표현하는 블랙아웃(black-out) 현상입니다. 잦은 술자리, 피곤한 상태에서의 음주, 공복 시 음주 등이 블랙아웃의 위험성을 높입니다. 이러한 블랙아웃 현상이 반복되면 장기적으로는 심각한 뇌 손상을 일으켜 치매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성형외과
성형외과 이미지
Q.  스켈링은 주기적으로 받아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흡연자같이 치석이 많이 부착되는 사람은 3개월 주기로 하고, 칫솔질이 잘 되고 구강 위생상태가 양호한 사람은 1년 주기로 합니다. 충치가 생기기 쉬운 어린 나이에는 6개월 검진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비타민D가 우리 몸에 중요한 영양소인가요?
안녕하세요. 주민욱 의사입니다.비타민 D결핍을 예방하기 위해 일주일에 적어도 2번 이상, 오전 10시부터 오후3시 사이에 팔, 다리에 5-30분 정도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고 실외에서 햇빛을 쬐는 것이 필요합니다.자연합성이 어렵다면 vit D 영양제를 비타민D3 형태로 매일 800IU를 보충하는 것을 권고합니다.-칼슘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아 골다공증, 골연화증 등 뼈와 관련된 증상-근육 약화와 함께 근육 경련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피로하고 무기력을 느끼게 됩니다.-예민해지고 기분이 우울해집니다.
2122232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