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화학공학 전공 화학회사 근무 부동산 중개업

화학공학 전공 화학회사 근무 부동산 중개업

주영민 전문가
열매공인중개사무소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곤충의 애벌레의 다리도 성충처럼 여섯 개인가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그렇지 않습니다. 애벌레 시절 다리역할을 하는 부분은 상당히 많습니다.애벌레도 1령, 2령, 3령 각각 성장하며 조금씩 모습이 참고로 달라지며,마지막으로 번대기(=우화전단계)에서 완전히 애벌레 몸 안에 구조가 변경되면서새로운 구조로 변신하게 됩니다.그런 점에서 다리가 새롭게 6개로 생기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귀뚜라미는 귀가 다리에 있다는데 왜 다리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에 인간을 기준으로 생태계를 봐서 그렇습니다.우리 귀가 얼굴에 붙어 있고, 대부분의 동물 귀는 얼굴에 붙어 있으니까요.다소 다른 이야기이지만, 문어는 얼굴이 전체 몸 가운데 있고, 몸둥이가 머리 위에 있습니다.우리가 생각하는 머리가 사실 몸이고, 몸이 머리인 셈이죠.이렇게 생물마다 귀가 꼭 머리에 있을 필욘 없고 각자 상황에 맞춰서 충분히 다른곳에 있을 수 있습니다.귀뚜라미 다리에 귀가 달린 이유는 아마 다리를 통해서 땅의 진동을 더 잘 받아드려서적들의 움직임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광어와 넙치는 왜 그렇게 독특한 외모로 진화하게 됐을까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제가 봤던 내용은 원래는 양쪽에 각각 있었으나, 물속 모래에 숨어서 윗쪽을 바라보다가 점점 눈의 위치가 바뀌었다는 설이 있엇습니다.실례로, 물고기 화석을 보다보니 눈이 점점 한쪽으로 이동하는 중간형태 물고기 뼈가 발견되었습니다.즉 모래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진화된 것으로 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바닷물의 염도는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참고로 바닷물의 염도는 각 지역마다 다릅니다.그러나 일반적으로 35퍼밀 입니다.이를 %로 계산하자면 3.5%로 생각하면 됩니다.쉽게 계산하자면 100ml 물에 소금 3.5g 넣어서 농도를 맞추시면 비슷해집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옷을 다릴때 사용하는 다리미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적용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옷과 같은 섬유는 물을 만나게 되면 견고함이 살짝 풀어지게 됩니다.이 때 열을 주어 물을 다시 날리면서 다림질을 하게 되면뻣뻣하게 굳은 상태로 마르게 되어 그 모습을 유지할수 있게 됩니다.꼭 다림질 안하더라도 분무기로 옷에 뿌리고 말리면 옷이 조금 팽팽해지는 모습을 볼수도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안이랑 밖 온도가 다를수록 환기가 더 잘되나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좋은 질문이십니다환기는 공기의 이동이며, 공기의 이동은 공기의 온도가 아니라 압력 차이로 이동하게 됩니다.물론 공기의 온도가 압력에도 영향을 주지만, 영향이 크다할수 없습니다.겨울철 환기가 잘된다 생각하는 이유는 1) 단순히 바람이 잘불거나 2) 온도차이가 많이 나서 우리가 스스로 환기가 잘된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정확히 공기가 이동되는건지 열(또는 차가운 기운)이 이동되는 것인지 구분하여 생각해야할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심해 물고기들이 유독 독특하게 생긴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제가 보기엔 심해 동물들은 우리가 자주 접하지 못하는 동물이기 때문에익숙하지 않아서 독특하게 보일 뿐입니다.다른 이야기지만, 우리가 말하는 잘생겼다. 예쁘다의 기준은익숙함의 기준입니다.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의 합이 바로 잘생김과 예쁨의 기준이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람을 쐬면 땀이 기화되어 시원하다는데 땀을 흘리지 않는 개는 바람을 쐬어도 시원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강아지들은 인간에 비해 땀생이 적기 때문에 기화열을 통한 온도 낮춤이 잘 안됩니다.그래서 혀바닥을 내밀고 혀를 통해서 온도 조절합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높은산일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압 이란 단어를 보시면, "기"가 바로 "공기"입니다.해당 지점 위에 얼마나 많은 "공기"가 있냐에 따라 그 압력이 달라지게 됩니다.따라서 높은곳으로 갈수록 그 지점 위로 "공기"량이 적기 때문에 기압이 낮아집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왜 입모양에 따라 바람의 차갑고 뜨겁게 느껴지나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입모양을 적게하고 바람을 불면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서 구멍이 작아지는 만큼 공기의 속도는 올라가게 되고 이때 해당 공기의 압력과 외부공기의 압력차로 인해 열에너지가 방출되어,해당 공기의 온도는 낮아지게 됩니다.에프킬라 같은 것도 작은 구멍으로 기체가 나오면서 순간적으로 저기압이 되어 온도가 낮아져서 시원하게 되는 현상과 같습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