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실비 보장을 못 받을 경우 손해사정사를 고용하라고 하던데 손해사정사라는 분은 무슨 일을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지사현 보험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이 보험금을 청구 시 보험회사에서 보험금지급을 거절하거나 감액하려는 경우, 소견서를 증빙으로 보험금 수령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질문자님의 유지중이신 보험에 대한 약곤해석을 통해 보험금 지급가능성도 판단해줍니다.대부분 손해사정사 위임시 성공보수가 있거나 기본수수료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하이푸시술은 실비 보상 여부가 보험사별로 다르며, 의료기관의 시술 사유 및 진단명 코드가 중요함으로사전에 병원 진단서나 진료기록지를 받아 두는 것도 좋습니다.
Q. 수술비 담보특약에 해당하는 수술이면 수술후 3년이 지나면 청구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지사현 보험전문가입니다.보험금 청구 소멸시효가 지났다고 해도, 무조건 청구가 불가능한 건 아닙니다. 다만 원칙적으로는 소멸시효 3년이 지나면 보험사는 지급을 거절할 수 있는 법적 권리를 갖게 됩니다. 일부 보험사는 도의적 보상 차원에서 지급해주는 사례도 있습니다.보험사에 청구서류와 함께 ‘시효 경과 사유서’ 제출하시면 됩니다. (서식은 보험사에 요청)예시 문구 (사유서용)> “본인은 보험금 청구 가능 사실을 알지 못했고, 최근에 알게 되어 청구하는 바입니다. 시효가 경과했으나, 의료기관 진단 사실 확인일이 최근인 점을 참작해주시기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Q. 어린이 보험 가입 후 당일날 통원치료도 고지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지사현 보험전문가입니다.1. 고지의무란? 보험가입시점에 계약자(피보험자)가 알고 있는 중요한 사항에 대해 보험사에 알릴 의무입니다. 보통 최근 3개월 내 치료, 5년 내 진단/입원/수술 여부 등을 질문합니다. 2. 당일 치료가 고지의무 위반인가? 보험 가입 후에 발생한 ‘당일 통원치료’는 고지의무 대상이 아닙니다. 보험사는 계약 이후에 생긴 사실은 고지받을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보상 거절은 부당할 수 있습니다. 3. 보험사 주장이 맞는 경우는? 정확한 계약일(청약일, 심사일, 승인일) 이전에 병원예약이나 검사결과가 이미 있었던 경우. 실제 청약 전 진료가 있었는데 거짓으로 고지하지 않은 경우.4. 대응 방법 보험분쟁조정위원회 (금융감독원)에 민원 제기를 하시거나 손해사정사나 보험소송 전문 변호사 상담도 고려 해야할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