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보험설계사" 김창조입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설계사" 김창조입니다.

김창조 전문가
에이플러스에셋 더베럴지사
저축성 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Q.  어른이 보험으로 변경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냉엄한파리265님.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실손보험은 성인실손이 따로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자녀(어린이)나 성인이나 보장 차이가 없습니다.11년 전이라면 아마 실손보험이 단독판매가 불가능한 시기였기에 일반 보장성 보험에 실손보험이 특약 형태로 껴있는 상황이신 것 같습니다.2012년도쯤이면 2세대 실손보험을 가입 시켜주신건데, 현재 판매되고 있는 실손보험은 두 차례 개정이 되어서 4세대 실손보험만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아마 해당 보험설계사분께서는 11년 전 보험을 해지하고 현재 판매되는 4세대 단독실손보험 + 어른이보험으로 새로 가입하라는 말씀을 하고 계신 것 같은데 자녀분께서 나이가 어리시다면 2세대 실손보험이 혜택도 좋고 보험료도 크게 비싸지 않을 것이기에 여러가지로 고민해보시는게 좋습니다.왜냐하면 실손보험은 확실히 다운그레이드 되는게 맞지만, 정액보장담보들의 경우 현재는 과거와 다르게 의료기술이 여러모로 발전해서 질병을 초기에 발견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맞춰서 보험상품도 초기 질환부터 보장이 가능한 담보들이 많이 생겼습니다.예를 들어서, 과거에는 뇌졸중이나 급성심근경색증 같이 심각한 질병이 되어야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을, 현재는 초기 질환인 뇌동맥류(최근 정일우배우님께서 젊은 나이에 걸리셔서 이슈가 되었죠.)나 부정맥, 협심증 단계부터 보험금을 받고 빠르게 치료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즉, 무조건 바꿔야 필요도 없고, 그렇다고 예전 보험을 무조건 유지하시기보다는 정식 상담을 통해 해당 보험에 대해 정확히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
저축성 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Q.  20년 전 가입한 종신보험 보험료가 상당한데 계속유지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뽀얀굴뚝새243님.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제가 이해한 질문자님의 말씀은, 20년 전에 지인의 권유로 '종신보험'에 가입을 했다 -> 20년 전에는 해당 보험의 보험료가 낮았다 -> 하지만 20년이 지난 지금은 똑같은 보험인데 보험료가 올랐다. -> 이것을 해지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이다. 이것이 맞으실까요?만약 그렇다면 질문자님의 질문사항 중에 의문인 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1. 일반적인 종신보험(=사망보험)의 경우 보통 납입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20년이면 20년, 30년이면 30년 이렇게 말이죠.보험상품은 이렇게 장기간 보험료를 납입하는 대신 그 기간이 끝나면 보험료 납입을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된다는게 장점인데, 질문자님의 글에는 20년 전 얘기임에도 납입 완료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2. 보통의 종신보험은 보험료가 변동 되지 않습니다. 정해진 금액을 정해진 기한까지 납입하는 계약을 하시죠.=> 이럴 경우는 두 가지 상황으로 예상됩니다.1) 질문자님이 가지고 계신 종신보험이, 일반 사람들이 가입하는 종신보험이 아닌, 사업자들이 가입하는 CEO플랜의 전기납 종신보험일 가능성.2) 질문자님이 가지고 계신 종신보험이, 껍데기(주계약)만 종신보험이고 그 안에 특약 중 실손보험 같이 갱신형 특약이 탑재되어 있어서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계속 보험료가 갱신되며 유지하고 있는 중.저는 2)번이 더 가능성이 높을 것 같지만, 어떤 상황이시던지 현재 질문자님께서는 본인의 보험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황이신 것 같습니다.그렇기에 질문자님의 고민을 해결해드리기 위해서는 해당 보험상품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자세한 상담을 원하신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
저축성 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Q.  여행을 떠날 때 여행자 보험이라도 있던데 이것은 어떤 상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여행자보험이란, 국내 혹은 해외에 여행을 갔을 때 생길 수 있는 여러가지 리스크에 대한 보장을 해주는 보험상품입니다.몇 가지 담보내용을 말씀드리면,* 휴대품손해(분실제외)- 해외여행(체류) 도중에 피보험자가 소유·사용·관리하는 휴대품에 발생한 손해에 대해 가입금액 한도로 실제 손해액을 보상.- 휴대품 1개(1조 또는 1쌍)당 20만원 한도로 보상해 드리며, 1회 사고당 자기부담금 1만원을 공제 후 지급.- 아래의 물건은 보상하지 않음.① 통화, 항공권, 여권 등 이와 비슷한 것② 원고, 설계서, 장부 등 이에 준하는 것③ 선박 또는 자동차(자동3륜차, 자동2륜차 포함)④ 동물, 식물 및 산악 등반이나 탐험 등에 필요한 용구⑤ 의치, 안경 및 유사한 신체보조장구* 여권 분실 재발급 비용- 해외여행 중 여권을 분실하거나 도난 당하여 여행증명서를 발급 받은 경우, 여행증명서 발급비용과 여권재발급 비용을 보상.- 해외여행 중 여권을 분실하거나 도난 당하여 재외공관에 여권분실신고를 하고 여행증명서를 발급받은 경우, 여행증명서 발급비용과 여권 재발급비용을 보상.(단, 교통비 및 사진촬영비는 제외)- 여행증명서 발급비용 및 여권 재발급비용은 여권법에서 정한 수수료 및 국제교류기여금을 합한 금액.* 배상책임- 해외여행(체류) 도중에 타인에게 손해를 끼쳐 법률상 배상책임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 가입금액 한도로 보상.피보험자가 해외여행(체류) 도중에 생긴 보험사고로 타인에게 손해를 끼쳐 법률상의 배상책임을 부담함으로써 입은 금전적 손해를 보상.① 피해자에게 지급할 책임을 지는 법률상의 손해배상금② 손해의 방지 또는 경감을 위하여 지출한 비용1회 사고당 자기부담금 1만원을 공제 후 지급.이 외에도, 여행중 중단사고발생 추가비용, 중대사고 구조송환비용, 식중독보상금, 특정감염병보상금, 항공기납치, 등의 여행 중 사건/사고에 대한 보장이나 상해사망, 질병사망 등의 사고 등을 보장하는 특약도 있습니다.하지만 여행자보험에서 가장 중요한 특약은 바로 입니다.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개인 실손보험을 가지고 있어서 국내 여행시에는 다쳐서 병원에 갈 경우 실손보험으로 보상이 가능하지만,개인 실손보험의 경우 국내에서 치료할 경우에만 보상이 가능하기에 해외에서 다치거나 질병이 생겨 해당 나라의 의료기관을 이용할 경우에는 보상이 안됩니다.특히, 미국같이 의료비가 비싼 나라를 여행하다가 이런 일이 생긴다면 상상도 못할 정도의 큰 비용을 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해외의료비" 특약을 준비하시는게 좋습니다.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
저축성 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Q.  종신보험 계속 가져가져가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가지고계신 한화와 KB상품 모두 CI보험으로 보이네요.CI보험은 Critical illness의 약자로 "중대한 질병"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보험상품입니다.사망에 대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것이 주된 종신보험이지만,피보험자가 사망하기 전에 이에 준하는 중대한 질병(중대한 암, 중대한 뇌졸중, 중대한 급성심근경색증 등)에 걸리면 사망보험금의 일부 (한화의 경우 70%)를 선지급해주는 형식의 보험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아무 일 없이 건강하게 사망한다면 4,000만원을 주고사망하기 전에 중대한 질병에 걸린다면 4,000만원 중 2,800만원을 먼저 주고 이후 사망하게 되면 나머지 1,200만원을 주는 것이죠.하지만 이 중대한 질병이라는것이 현대의 보험처럼 질병코드가 나오면 보험금을 지급하는것이 아닌 굉장히 까다로운 조건을 가지고 있어서 암에 걸렸을 때 외에는 확률적으로 굉장히 보험금을 받기가 어렵습니다. 게다가 보통 보험계약은 20년납, 30년납 등 납입 기간을 연수로 정하는데 해당 계약은 65세까지 납입해야 하는 세납 형식이라 보험료를 납입하는 기간이 굉장히 길 수 있습니다.다만 이 보험에 실손보험이 특약 형태로 껴있어 함부로 해지하시면 안됩니다.CI보험에 대해서는 네이버나 유튜브에 검색만 해도 여러가지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니 꼼꼼하게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시거나 해당 보험상품의 리모델링 컨설팅을 원하신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
저축성 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Q.  적립형보험과 소멸성보험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차이는 아무래도 보험료겠죠.적립형 보험의 경우에는 내가 질병에 걸렸을 때 뿐만 아니라 나중에 보험계약을 해지했을 때 돌려받을 수 있는 해지환급금이 있지만, 그만큼 같은 보장금액을 준비하더라도 소멸형보다 매달 더 많은 보험료를 내야 합니다.소멸형 보험의 경우에는 나중에 보험계약을 해지했을 때 돌려받을 수 있는 환급금은 적립형보다 적지만, 그 대신 훨씬 저렴한 보험료로 많은 보장금액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보장성 보험상품의 경우에는 어떤 상품이던지 결국 만기시에는 환급금이 0원이 되게 되어있습니다.예를 들어서, 30세의 청년이 20년납입 100세만기의 적립형 보험상품을 가입했다고 하더라도 해당 보험상품의 환급금이 높은 시기는 60~70대입니다. 이후에는 점점 환급금이 줄어들어 결국 100세에는 0원(계약 종료)이 되죠.하지만 이 시기는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은, 좀더 직설적으로 말하면 보험금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시기이죠. 이미 보험료도 납입 완료하여 더이상 내지 않고 보장만 받고 있는데 이 시기에 환급금 때문에 보험을 해지하시는 분은 많지 않을 겁니다. 해지하는 순간 보장이 없어져버리는 것이니까요.그렇기에 요즘에는 같은 보장을 더 저렴하게 가져갈 수 있는 순수보장형(소멸형) 보험상품을 많이 가입하시는 편인 것 같습니다.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