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인 가구는 사망 보험 실수령을 누구로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사망에 대한 보장이 있는 보험상품을 가입하실 경우에는 특별히 수익자 지정을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법정상속인"이 사망보험금의 대상자가 됩니다.이 법정상속인의 범위 및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1순위 : 피보험자의 직계비속(자녀,손자 등) + 배우자 (결혼하여 자녀가 있는 경우)2순위 : 피보험자의 직계존속(부모, 조부모 등) +배우자 (결혼은 했는데 자녀가 없는 경우)3순위 : 피보험자의 형제자매 (1,2순위가 없는 경우)4순위 : 피보험자의 4촌 이내의 혈족 (1,2,3순위가 없는 경우)상속자를 따로 정하지 않아도 된다면 그냥 가입하시면 되고, 따로 정하고 싶으시다면 사망보험 가입 후 수익자정을 해주시면 됩니다.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
Q. 개별보험과 종합보험 중 어느것이 더 유리하고 효율적인지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보험이 6개나 있으시다면 납입하고 계시는 보험료도 만만치 않으실텐데요,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개별보험은 아마 '00암보험' 같이 이름에 질병에 대한 보험이 들어가는 경우가 아닐까 합니다.사실 보험사에 이런 식으로 네이밍을 하여 보험상품을 출시할 때에는 그 질병에 대한 담보를 중요시하여 출시하기도 하지만, 그 안에 다른 특약도 넣을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는 종합보험과 크게 차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하나의 보험 안에 모든 질병담보를 넣으면 좋은 점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 정도 있는 것 같습니다.첫 번째는, 관리의 용이성입니다.보험상품은 우리가 평소에 자주 접하지 않는 용어, 설명 등을 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번 가입한다고 그 내용을 계속 기억하기는 쉽지 않죠. 담보도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만약 여러 회사에 여러가지 보험을 가지고 있다면 나중에 내가 어떤 담보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거나, 사고가 나거나 질병에 걸려서 보험금을 청구할 때 이게 청구가 가능한건지, 어떤 회사로 청구해야 하는지 등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보험을 가지고 있다면 관리가 쉽죠.두 번째는 보험료의 절감입니다.기본적으로 요즘 판매되는 질병 관련 보험은 모두 제3보험에 해당합니다.즉, 주계약으로 어떠한 담보가 있고 그 밑에 특약으로 여러가지 질병 담보를 넣는 것이죠.이 주계약 담보가 대부분 상해사망 등의 담보이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보장을 원하시는 분들은 내가 원하지도 않는 담보를 넣어야 하죠.여러가지 보험이 있다면 각각의 보험을 가입할 때마다 이러한 불필요한 담보를 넣어야하지만, 하나의 보험만 있다면 이러한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죠.하지만 현재 질문자님이 가입하신 보험이 어떤 보험인지 모르기 때문에 섣불리 정리하시는것보다는 꼼꼼히 내용을 확인 후 정리를 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추가적인 궁금증이나 문의가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
Q. 보험중에 급여 비급여가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우리가 아파서 병원에 가게 되면, 치료 이후에 병원비를 계산하게 되죠?어떤 치료에 얼마의 비용이 나왔는지 "진료비 영수증"을 보면 아래와 같이 급여 항목과 비급여 항목이 나뉘어있는것을 볼 수 있으실겁니다.쉽게 이해하시려면 급여는 건강보험 혜택을 받아서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치료항목, 비급여는 나라에서 지원해주지 않는 치료항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병원에 갔을 때 내 치료비의 대부분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대신 내줍니다. 밑에 표를 보면 공단부담금이라고 보이시죠?라식, 라섹이라던지 크라운, 임플란트 등의 치료나 최신 로봇수술 등은 건강보험공단에서 치료비를 내주지 않기 때문에 치료하는 병원마다 치료비가 천차만별이고 치료비가 비싼 편입니다.실손보험에서는 급여항목중에 건강보험혜택을 받는 항목 외의 본인부담금과, 비급여 부분에 대한 비용을 보상 받을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시다면 아래 오픈카톡으로 문의 남겨주세요 :)https://open.kakao.com/o/s0RPMSIe
Q. 보험료를 낮추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창조 보험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께서 올려주신 사진을 다 봤습니다.어떤 경위로 보험을 가입하셨는지는 잘 모르지만, 우선 제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1. 실손보험이 포함된 보험상품의 경우- 사진의 보험료를 살펴보면 61,220원으로 지금 해당 보험상품에 납입하고 계신 72,810원은 이미 갱신이 된 상태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보험에서 실손보험에 해당되는 보험료는 사진상 22,870원 정도밖에 안됩니다. 나머지는 다 실손보험 외에 갱신형 특약들이죠. 게다가 이 갱신형 특약들을 보면 모두 3년마다 갱신되는 특약들입니다.- 실손보험 자체는 2세대 실손으로 보장 비율이 좋지만, 보험료를 보아하니 질문자님의 나이가 많지는 않으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갱신 될 날이 훨씬 더 많을 텐데, 질병 관련 담보들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갱신 시 더 급격하게 보험료가 오르기 때문에 나중에 걷잡을 수 없이 보험료가 오를 리스크가 있습니다.- 현재 건강상태가 괜찮으시다면 보험료 감액을 위해 "실손전환"도 고려해보실만 한 것 같습니다.2. 암보험의 경우- 암보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주계약 외에 모든 특약이 갱신형이 상품입니다.- 갱신형 상품의 장점은 비갱신형 상품보다 훨씬 저렴한 보험료로 많은 보험금을 준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상품은 갱신주기가 20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암에 대한 가족력이 있다든지 암 걱정이 많으시다면 현재의 저렴한 보험료를 20년 동안 가져가시면서 암에 대비하시다가 만약에 암에 걸리면 보험금을 받을 수 있고, 20년 뒤에 암에는 안걸렸는데 보험료가 너무 비싸졌다고 하시면 그때 해약하셔도 좋습니다.3. 종합보험의 경우- 이 보험의 경우 다른 보험상품들에 비해 보험료가 높은 이유는 비갱신형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자잘한 특약들을 해지할수는 있겠지만, 핵심담보들을 줄이지 않는 한 보험료 절감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으실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