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그리스 아고라광장의 토론 주제는 뭐가있었을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고라광장에서는 다양한 정치 체제에 대한 토론으로 민주주의, 티란니, 공화주의 등과 같은 정치 체제에 대한 장단점을 논의했고, 정의와 법에 관련된 주제도 토론이 대상이 되었습니다.또 신화와 신들에 대한 논의 , 철학적인 주제들도 다루어졌으며 군사전략, 전쟁의 이유와 후유증,그리스 역사 등에 다양한 주제가 있었습니다.
Q. 영국에서 노예제도가 없어진 계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국으로 향하는 거대한 범선은 남미와 캐리비안 지역에서 노예를 싣고 영국의 브리즈톨과 리버풀로 향하는데 노예선에는 200여명이 넘는 노예들이 숨 쉴공간 없이 붙어있으며, 이들은 비위생적인 상태, 탈수, 이질 등의 전염벙으로 평균 15%의 노예들이 배에서 사망하게 됩니다.상품가치로 판단되어 판매되는 이러한 노예제도에 대해 비인간적인 노예무역과 노예제에 대한 폐지론은 18세기 후반 부터 등장하는데 1772년 영국의 인도주의자 그랜빌 샤프는 노예 무역 금지법제정을 요청하게 됩니다.이유는 노예제도에 대한 관용은 사실상 비인간성에 대한 관용이다 라고 주장하며 노예 무역 금지와 노예제 폐지를 주장했습니다.또 토마스 클락슨 도 궁극적으로 노예제 폐지 운동을 하는데 하원의원이었던 윌리엄 윌버포스가 주도했으나 1791년 노예무역 폐지법안은 부결 이후 11차례 부결되며 20년의 시간이 흐르고 1807년 2월 23일 노예무역 폐지법안이 통과됩니다.그러나 노예 무역이 금지되었지만 편법을 통해 계속 되는데 이들은 근본적인 문제인 노예제도 자체를 없애기 위해 1823년 노예폐지협회를 결성, 이익을 보던 농장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진행하며 1833년 7월 26일 대영 제국의 모든 노예를 1년 안에 해방한다는 법안이 통과되게 되어습니다.
Q. 나폴레옹이 수집한 작품들은??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나폴레옹은 프랑스를 모든 문명 세계의 순수 예술품을 한곳에 모아 놓은 공인된 중심지로 만들려는 열망을 품었고 나폴레옹의 집권 시기 루브르 박물관은 유럽 최고의 예술품을 소장합니다. 나폴레옹은 전쟁 승리로 약 5000점에 이르는 전리품을 프랑스로 보냈습니다.나폴레옹은 영국과 오스트리아, 러시아, 프로이센 등 유럽의 여러 나라와 싸운 나폴레옹 전쟁을 벌이며 , 나폴레옹의 쿠데타 1주년 기념일인 1800년 11월 9일 루브르 박물관은 고대 조각들을 전시한 고대 미술관을 개관, 루이 16세때 중앙예술박물관이라는 명칭을 얻은 루브르 궁은 1803년 나폴레옹 집권과 함께 나폴레옹 박물관을 뜻하는 뮈제 나폴레옹으로 바뀌며 1804년 황제로 즉위한 나폴레옹은 세계 최고의 박물관을 건립해 전쟁의 전리품을 국민, 인류에게 재분배 하겠다고 공표합니다.나폴레옹은 워털루 전쟁에서 패배하게 되며 이후 1815년 빈 회의에서 오스트리아와 영국, 러시아, 프러시아, 프랑스 간의 평화조약을 체결, 이 결과로 루브르로 보내졌던 전리품들은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가게 됩니다.1815년 7월 부터 11일 사이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시대 약탈해온 회화 2065점, 동상 280점, 청동 289점, 에나멜 1199점이 원 소유국으로 반환되었습니다. 이는 전체 전리품의 5분의 4에 해당합니다.
Q. 조선시대에 양반집 여성들에게는 이름을 별도로 붙여주지 않았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이름은 봉인된 금서 였습니다. 누구 딸, 누구 부인, 누구 모친 등으로 불리던 습관이 1980년대까지 남아있었으며, 문헌의 남은 양반 여성의 이름은 신사임당, 이매창, 허난설헌 정도인데 이 마저도 호 입니다.기록에 남겨진 여성의 이름은 아무나 불러도 되는 기녀, 노비, 죄인 이름 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