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가 강한 아시안게임 종목인 양궁의 역사적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선사시대부터 인류의 무기로서 쓰이던 활이 스포츠에 이용되기 시작은 것은 오래전의 일로, 양궁의 역사는 1538년 영국의 헨리 8세가 처음으로 대회를 열었던 것으로, 그 후부터 전 유럽에 널리 보급되어 1931년 국제양궁연맹이 조직되었습니다.현대적인 양궁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것은 1972년 뮌헨 올림픽부터로 당시 개인전 남, 여성부 한 종목만 있었고 1984년 단체전 없이 개인 종목만 있었으나 1988년 서울 올림픽부터 단체 부분이 생겨 남.녀 각각 개인전, 단체전 총 4개의 메달이 됩니다.우리나라의 양궁 경기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1963년 국제 양궁 연맹에 가입하면서 본격화되었습니다.
Q. 중국 마오타이주 중국의 명품주로 성공한 마케팅비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술은 감술로 황제의 사랑을 받아오다가 1915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파나마 박람회에서 금메달을 받으며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 당시 마오타이는 연간 170톤이라는 매우 적은 양만 생산되어 귀한 술 취급을 받았고, 이후 꾸준히 개량해 명주가 되었습니다.결정적으로 대장정 때 패주하던 마오쩌둥을 비롯한 중국 공산당 지도부가 이 마을을 지나가면서 마을사람들에게 이 술을 대접받고, 마오쩌둥의 홍군이 중국을 석권 후 마오타이를 잊지 않고 국가적 명주로 육성하며 유명해지기 시작, 국빈 만찬에 사용되는 특급주가 됩니다.
Q. 폭죽은 정말 아름답고 예쁜데요 언제 어느나라에서 들어왔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에서 그 연원을 찾을수 있는데 7세기 이후 당, 송 시대 축제가 있을 때 자주 쓰였으며 이후 화약이 발달해 폭죽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며 13세기 말 이탈리아의 피렌체에 전해지고, 15세기경 유럽 전역에 퍼지게 됩니다.우리나라는 동국세시기에 보면 조선조 말엽 대궐안에서는 제석, 곧 그믐날 전날부터 대포를 쏘았는데 이를 연종포라 하였고, 화살에 불을 붙인 화전을 쏘고 징과 북을 요란하게 울렸다 라고 기록되어있습니다. 이 행사는 섣달 그믐날 궁중에서 악귀를 쫓아내는 대나로서 역질이나 귀신을 쫓는 행사의 유습입니다.
Q. 영어가 세계 대표언어가 된건 언제부터일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세기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을 위해 더 많은 자원과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면서 경쟁적으로 식민지 확보가 필요해졌고, 언어는 한 나라의 문화이자 정체성으로 언어를 바꾸는 것은 식민지 점령 이후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당시 영국은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식민지를 보유, 자연스럽게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가 많아지게 됩니다.식민지를 만들던 유럽의 국가들은 18세기 중반 7년 전쟁으로 식민지 쟁탈전을 벌이는데 유럽의 작은 나라 프로이센과 영국이 손을 잡고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러시아가 동맹해 치열하게 싸워 18세기의 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되며 이 전쟁에서 프로이센 영국이 승리하게 됩니다.한편 지금의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서도 프렌치 인디언 전쟁이 일어나며 인도 지역에서도 가르나타카 전쟁이 일어나는데 이는 모두 영국과 프랑스이 전쟁입니다.모든 전쟁에서 영국이 승리하게되면서 영국은 강대국이 되며 전 세계 2/5가 영국의 식민지일 정도로 영국의 식민지와 영어의 사용률은 높아질수밖에 없었습니다.세계1,2차 대전 이후 미국은 전 세계의 강대국으로 자리 잡게 되는데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던 미국은 영어를 사용, 경제, 군사, 과학, 문화를 선도하는 미국의 영어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굳어지게 됩니다.
Q. 바로크와 로코코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바로크는 비뚤어진 진주를 의미하는 포르투갈어 barroco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프랑스어인 로카유에서 유래한 로코코는 홍합과 조개의 조합으로 이전 바로크 스타일의 연장이나 변형 스타일로 연결되며 바로크 양식이 남성적인 에너지와 존재감을 발산하는 반면 로코코는 차분하고 아름다운 여성스러운 아우라가 있습니다.르네상스의 단정하고 우아한 고전 양식에 비해 지나치게 과장된 건축 , 장식, 조각으로 경멸의 뜻을 가진 바로크는 외향적이고 격동적이며 격렬한 명암대비와 풍요로운 경향을 보이며, 로코코의 경우 장식미술과 실내장식, 가구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경쾌하고 화려한 스타일로 부드러운 곡선, 담백하고 우아한 색채를 즐겨사용했습니다.로코코는 바로크 시대의 호방한 취향을 이어받아 경박함 속에 표현되는 화려한 색채, 섬세한 장식 등 으로 바로크 양식이 수정, 약화된 것으로 볼수있습니다.
Q. 조선시대에 한양에 궁궐을 많이 세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유는 왕이 거쳐했던 곳인 만큼 필요에 따라 계속 추가적으로 지어졌기 때문으로 궁궐은 용도와 성격에 따라 법궁, 이궁, 별궁으로 나뉘는데 법궁은 왕이 늘 거처하는 중심궁궐을 말합니다.이궁은 왕이 업무를 수행할 때 또 다른 궁이 필요하거나 다른 곳에서 업무를 보고싶을 때 제 2의 궁궐을 축성했는데 이를 이궁이라 합니다.별궁은 왕실의 필요에 따라 지은 것입니다.임진왜란 때 경복궁과 창덕궁, 창경궁은 소실되며 전쟁이 끝난 후 한양으로 복귀하면서 화재를 면한 곳을 찾다 보니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 저택이었고 이곳을 이궁으로 삼으며 덕수궁이 생겼습니다.또 이괄의 난으로 창덕궁과 창경궁이 훼손, 경덕궁이 궁궐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