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세시풍속, 세시명절이라고 하는데 이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세시란 매년 돌아오는 , 한해 중의 특정한 때를 말합니다.세시풍속은 24절기와 4대 명절에 촌락마다 혹은 민족적으로 행하여 전승되어 온 의식, 의례행사, 놀이 등을 말합니다.세시명절도 마찬가지로, 예부터 지내온 명절을 뜻합니다.
Q. 조선시대에 여성들도 경제활동을 할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후기 여성들이 수행한 가내노동 가운데 방적은 가족의 의복을 공급하는 자급형 노동이었을 뿐 아니라 상품생산노동이기도 했습니다.방적 노동 주체는 주로 양인, 여종이었지만 양반 여성들도 생계 유지나 축적을 위해 방직 노동에 적극적이었으며, 가내에서 수행된 방적은 가내 부업 이상으로 목면, 명주 등이 분업화되어 생산되었습니다.여성의 부덕으로 권장되었던 이러한 길쌈, 방적은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시장의 활성화에 힘입어 부를 창출할수있는 주요 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Q. 제사나 차례지낼때 술잔을 향불위에서 두번돌려서 올리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술잔을 향불위에 돌리는 것은 불을 통해 깨끗하게 정화한다는 의미로, 두번 돌리는 것은 두번 절하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음양의 조화로, 숫자 1은 양, 2는 음을 뜻하므로 두번 돌리는데 보통은 세번 돌립니다.세번 돌리는 것은 삼사상으로 하늘과 땅, 세상만물에 고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Q. 조선시대 세종이 만든 집현전은 어떤 기관이었으며, 어떤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는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집현전은 학자 양성과 학문연구를 위한 기관이었고, 가장 중요한 직무는 경연과 서연을 담당하는 것이었습니다.경연은 왕과 유신이 경서와 사서를 강론하는 자리로 국왕이 유교적 교양을 쌓도록 하여 올바른 정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서연은 왕이 될 세자를 교육하는 것입니다.또, 외교문서 작성과 과거의 시험관으로도 참여, 집현전이 궁중에 있고 학사들이 문필에 능하다는 이유로 그들 중 일부는 사관의 일을 맡았으며 중국 고제에 대해 연구하고 편찬사업을 하는 등 학술사업을 주도했습니다.박팽년, 최항, 신숙주, 성산문, 강희안, 이개, 이선로와 같은 집현전 학사들은 훈민정음의 자세한 내용을 풀이한 훈민정음 해례본을 만들었고, 한자의 음을 훈민정음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동국정운이란 책을 만들었습니다.신숙주와 성삼문은 훈민정음의 이론 체계를 세우기 위해 요동에 유배와 있는 명나라의 언어학자인 황찬을 13번이나 찾아가 자문을 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