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 후기 문관인 정약전이 쓴 자산어보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산어보는 조선시대 영조-순조 당시 학자인 정약전이 1901년 천주교 박해사건인 신유박해 때 전라도 흑산도에 유배되어 1814년까지 생활하면서 이 지역의 해상 생물에 대해 분석해 편찬한 해양생물학 서적입니다.흑산도 근해의 각종 어류과 수중 식물을 인유와 무린류, 개류, 잡류로 분류해 총 155종의 생물을 설명했으며 , 여러 해양동식물들의 이름, 모양, 크기, 습성, 맛, 쓰임새, 분포 등을 자세히 기록했습니다.
Q. 고려 팔만대장경은 어떤 목적과 의도로 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팔만대장경을 만든 동기는 11세기 거란의 침입을 막고자 고려 현종 대부터 선종 대까지 약 80년에 걸쳐 초조대장경을 만든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초조대장경을 조판 한 후 거란군이 물러갔듯 불력으로써 몽골군을 쫓아내기 위해 경판들을 본래 강화성 서문 밖 대장경판당에 보관, 이후 선원사로 옮겼습니다.팔만대장경은 나무의 기름을 없애기 위해 나무를 잘라 바닷물에 담구었다가 소금물로 쪄냈고 그 뒤 몇년동안 말려 다듬게 됩니다.대장경판이 완성되면 불경을 적은 종이를 나무에 붙여 글자 모양대로 파냈고, 윤기를 내고 습기를 막기 위해 그 위에 옻나무 진을 칠했고, 귀둥이를 구리로 감싸 팔만대장경판을 완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