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천동설과 지동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천동설은 움직이지 않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고, 그 주변을 태양과 달 및 행성이 돈다는 설이며지동설은 태양이 우주의 중심에 위치하고 그 주변을 지구와 달, 다른 행성들이 공전한다는 설 입니다.근대적인 천문학이 연구되기 전까지 천동설이 더 설득력을 얻었는데, 자신이 두 발을 땅에 붙이고 있는 지구가 움직인다는 것이나, 누구나 하늘만 보면 뜨고 지는 것을 알수 있는 태양이 사실은 고정되어있다는 것은 고대인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었고 겉보기 운동의 직관성에 따라 관측자가 운동의 중심을 자신으로 두는 것은 당연한 접근이었습니다.플라톤에 의해 동심원 모델이 등장, 에우독소스가 플라톤의 모델을 개량 ,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동심원 모델이 확립되며 2세기 경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천동설을 집대성해 알마게스트를 저술하는데 그는 이심원 모델과 주전원 모델, 동시심 모델을 이용해 동심우너 모델이 갖고 있는 오류들을 수정, 즉 궤도의 중심 자체가 지구 주위를 감싼 가상의 원을 따라 공전하고 있다는 것으로 위성의 궤도에서 행성을 뺀 것입니다. 당시 천동설은 금성과 화성 등의 불규칙한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복잡한 궤도를 그려내야 했으나 결과적으로 당시까지 관측된 천체들의 움직임을 설명하는데 성공했으므로 민중과 학계에서 모두 널리 받아들여졌습니다.
Q. 미국 남북전쟁이 미국 사회와 정치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북전쟁으로 미국 전역에서 노예제를 폐지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 전쟁은 산업 전쟁 중 하나로 보며 철도, 증기선, 대량 생산된 무기를 비롯해 다양한 군사 장비들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전쟁에서 북부가 승리하면서 남부 연맹과 노예제는 끝이나고, 미국 연방정부의 역할은 더 강력해졌으며 재건시대 동안 미국 사회는 전쟁에서 생긴 사회, 정치, 경제, 인종적 문제를 처리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Q. 고대마야 건축에 사용된 푸크양식이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카탄주의 남부 카르스트 지형을 가로지르며 캄페체주 북쪽과 킨타나로오주 서쪽까지 낮은 산등성이로 완만하게 이어져있는 언덕 지대를 푸우크 라고 하며, 푸우크는 마야어로 언덕을 뜻하고, 이 지역에 분포되어있는 마야 유적지에서 보여지는 구조물 스타일을 푸우크 건축양식이라 부릅니다.푸우크 양식은 마야 고전기 후기 시대에 시작되어 고전기 말기시대에 융성했던 건축 스타일로, 코벨 아치가 특징입니다.이는 건축물의 지지대를 위해 큰 돌을 사용하고 석회암에 모르타르 반죽을 발라 그 위에 차곡차곡 쌓는 방식을 말합니다.
Q. 최근 300이라는 영화를 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리스군 구성은 300명의 스파르타 완전 시밈ㄴ, 1000명의 스파르타 외부 자유민, 3000명의 펠로폰네소스 동맹시민, 3000명의 테살리아, 아카디아인 등 총 7300명 정도로 구성되었으며 여기에 900명의 헤일로타이들고 있다고 추정되나 이들이 전투에 참여했는지 단순히 스파르타군의 시중을 드는 역할만 했는지는 알수 없습니다.헤로도토스는 5천명으로 추정하나 그는 합류된 많은 수의 동맹시민군들을 언급하면서 그들의 병력의 기록을 누락, 이를 종합하면 대략 1만 1천명으로 추정되나 현대 학자들은 7천명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합니다.테르모필레를 방어하는 것은 당시 최선이라 생각되는데 페르시아군이 대군이라 보급에 곤란을 겪고 있으며 이들은 반드시 전진하면서 현지 조달을 같이 해야 했기 때문, 테르모필레는 소규모의 군대로 적을 방어하기 유리한 지형이었고 아르테미시움과 곁들이면 육로와 해로 동시에 진군을 봉쇄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였기 때문입니다.즉, 아르테미시움과 테르모필레를 방어해 낼수 있다면 이 시기 소극적인 그리스 국가들 역시 승산과 후방의 안전함을 느끼고 참전할 것을 기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