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지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전문가입니다.
최지웅 전문가
창리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자격증
양육·훈육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손가락 빠는 습관이 사라지지 않아요.
습관이라는게 참 고치기 어렵습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 왜 생겼는가?에 대해 생각해보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심리적으로 불안한지, 아니면 애정결핍이 있었는지에 대해 우선 대화해보고, 고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아이가 밥먹는중에 방귀를 뀌는데 크게 뭐라해야 할까요
아이가 재미를 위해서 하는 행동인지 아니면 생리적으로 나오는 것인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미를 위해서 하는 행동이라면 예의가 아니라고 가르쳐주고 화장실에서 해결하고 오는 것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생리적으로 나오는 현상이라면 병원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자전거를 타면 성장판 자극에 도움이 될까요?
아이의 올바른 키 성장과 건강의 필수요소는 꾸준한 운동으로 최대운동능력의 50~70% 되는 강도로 하루 20~30분씩 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적당시간 꾸준히 운동하면 아이의 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 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아기들이 언어발달이 늦다는 기준이 무엇일까요?
선천적인 이유로 언어발달이 늦은 아이가 있습니다. 3살 이상인데 이런 경우는 적극적으로 언어 치료를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고 언어발달의 속도가 느린 아이의 경우에는 아이와 말을 많이 하려고 노력하고, 책을 많이 읽어 준다면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특정 장난감에만 집착하는 아이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가 한가지 장난감에 빠지는 경우는 흔한 일입니다. 일정 시기가 지나면 다른 장난감이나 활동에 관심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너무 크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그 집착의 정도가 심하다면 다른 장난감이나 활동으로 관심을 끌어준다면 효과가 있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자꾸 수행평가 결과를 숨기는 아이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아이가 시험결과에 대해 자신이 없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이 결과를 보고 속상할까봐 걱정을 할 수도 있는것 같구요. 부모님이 시험결과에 대해 질책하는 행동을 했다면 중단해주시고, 아이가 하는 활동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응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자존감이 탄탄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의 어떤 노력들이 필요할까요?
자존감은 사실 아이의 타고난 기질적 요소도 큽니다. 후천적으로 아이가 성취감을 맞볼 수 있게 성공하는 경험을 자주 갖게 된다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아이 스스로 해냈을 때 부모가 크게 응원해주고 지지한다는 메시지를 아이가 느낄 수 있게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육아에 맞벌이 외벌이 뭐가더나을까요?
사실 정답은 없는 거 같습니다. 워낙 교육비가 비싼 상황이기에 외벌이로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맞벌이를 하면 아이와의 시간이 줄어들수도 있고, 선택의 문제겠네요.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서 원하는 쪽으로 해결책을 얻는게 좋을듯 보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뭐가 그렇게 궁굼한지 계속 물어보는 아이...
아이가 질문이 많은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진짜 내용이 궁금해서 질문을 할 수도 있고, 관심을 받고 싶어서 질문을 할 수도 있습니다. 조카가 왜 질문을 하는지 파악하는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가급적 6살 정도의 아이라면 친절하게 응답해주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6월 7일 작성 됨
Q.
아이가 학교에서 친구에게 먼저 다가가는 법을 모르겠다고 힘들어하는데 어쩌면 좋을까요?
초등 1학년의 경우 기존이 본인이 생활했던 방식과는 다른 사회생활을 하기에 혼란을 겪는 아이가 많이 있습니다. 성장의 한 과정으로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와 역할극등으로 친구대하는 방법을 연습해보는 방법도 해볼수 있고, 부모들끼리의 모임을 통해서 아이들끼리 자연스럽게 놀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561
562
563
564
5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