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신규 무역 시장 진입을 위한 관세 정보 분석은 어떻게 진행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새로운 국가로 수출을 확대하려면 관세 정보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역 실무자는 먼저 해당 국가의 MFN(최혜국) 관세율을 확인해 기본 세율을 파악하고, WTO 회원국인지 여부를 통해 일반적인 관세 수준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는 관세청(UNI-PASS)이나 USITC 웹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다음으로, 한국과 해당 국가 간 FTA(자유무역협정) 체결 여부를 확인하고(산업통상자원부 FTA 포털), 협정문에서 특혜 관세율과 원산지 기준을 분석해 비용 절감 가능성을 검토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HS code 에 따라서 수입요건 등도 미리 검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복잡해진 글로벌 공급망 속에서 무역 물류 흐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납기 대응을 위해 다국적 공급망을 운영 중인데 재고와 운송 지연이 반복된다면, 무역 실무에서 공급망 단계별 흐름을 가시화하고 병목을 해결하려면 몇 가지 관리 전략이 필요합니다. 먼저 공급망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예: SAP SCM, Oracle NetSuite)을 도입해 원자재 조달, 생산, 운송, 통관까지 데이터 가시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재고 과다나 부족 지점을 파악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병목 지점을 분석하기 위해 AI 기반 예측 툴을 활용하고,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리드타임을 최적화하면 지연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다변화 전략으로 주요 원자재 공급국을 분산시키고, 지역별 비축 창고를 운영해 운송 중단 시에도 납기를 맞출 수 있도록 준비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감사합니다
Q. 무역 물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리드타임을 예측하려면 어떤 분석체계가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에 대하여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아래와 같을 듯 합니다. 그리고, MS나 ERP에 연동하고 AI/ML로 분석해 예측 모델을 만드시면 될 듯 합니다.항차 정보: 선사 운항 스케줄(예: HMM, Maersk), AIS 실시간 선박 위치, 항만 혼잡 데이터(예: Port Congestion Index).통관 소요: HS 코드별 통관 시간(관세청 UNI-PASS), 규제·관세 변경 내역, 과거 통관 기록.하역 시간: 항만별 하역 속도(예: 부산항 24~48시간), 피크 시즌 혼잡도, 야드 운영 데이터(TOS).추가 요소: 날씨 정보(Weather API), 불가항력 이벤트(파업, 사고).감사합니다
Q. 국제 공동물류 구축 시 무역 실무자 입장에서 파트너십 조건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런경우에는 아래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설계가 가능할 듯 합니다.계약 구조: 각 파트너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정의하여 운영상의 혼선을 방지합니다.비용 배분: 공정하고 투명한 기준을 설정하여 각 기업이 부담할 비용을 명확히 합니다. 이는 물류량, 사용 빈도 등 객관적인 지표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성과 지표(KPI): 서비스 수준, 배송 시간, 정확성 등 측정 가능한 KPI를 설정하여 성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합니다.분쟁 해결 조항: 분쟁 발생 시 해결 절차를 사전에 규정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합니다.지속 가능성 고려: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요소를 반영하여 글로벌 공급망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합니다. 이는 국제 표준과 규범 수립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포함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