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이 25%관세를 받는다고 했다는데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미국이 우리나라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은, 해당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추가적인 세금(관세)을 부과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즉, 우리나라 기업이 미국에 철강이나 알루미늄 제품을 수출할 경우, 기존 가격에 더해 25%의 관세를 추가로 지불해야 합니다. 이러한 추가 비용은 우리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현재 수출 상황이 어려운 가운데, 이러한 관세 부과는 우리나라 수출업체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 의존도가 높은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은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대응 방안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생산기지의 일부 이전 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미국의 철강과 알루미늄은 전체 수출량대비 자국의 생산량비중이 수치가 얼마나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미국의 철강과 알루미늄 산업은 국내 생산보다 수입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습니다. 철강의 경우, 미국은 전체 수요의 약 25%를 수입에 의존하며, 주요 수입국으로는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한국 등이 있습니다. 알루미늄의 경우, 미국은 전체 수요의 약 50%를 수입에 의존하며, 주요 수입국으로는 캐나다, 아랍에미리트, 중국 등이 있습니다.이러한 해외수요 의존은 미국의 철강이 경쟁력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철강산업의 경우 사실 고부가가치보다는 저렴한 가격으로 물품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한바 미국의 인건비 상승으로 중국이나 개발도상국과 비교하여 경쟁력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Q. 국제 무역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국제 무역의 활성화는 국내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수출 증가의 경우, 국내 기업들의 생산 활동이 활발해져 관련 산업에서 고용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우리나라 수출이 유발한 국내 고용은 전체 고용의 12%에서 17%로 증가하였습니다. 반면, 수입 증가 시 국내 시장에서 외국 제품과의 경쟁이 심화되어 일부 산업에서는 생산 감소와 고용 축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입 경쟁에 많이 노출된 산업이나 직종은 고용 감소를 경험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무역 구조의 변화는 산업 구조에도 영향을 미쳐, 경쟁력이 높은 산업은 성장하고, 그렇지 않은 산업은 축소되는 등 구조 조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제 무역의 영향은 산업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고용과 산업 구조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정책 대응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원자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기에 원자재는 수입 그리고 가공품은 수출을 하는 형태가 가장 좋다고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