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WTO 무역 규범 변화가 우리 회사의 수출 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먼저, WTO 무역규범의 변화에 대응하고 싶다면 WTO의 무역 규범 개정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사내에 무역 규범 및 국제 통상에 대한 전문 지식을 보유한 인력을 양성하거나 채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는 보통 정부에서 설명회를 개최하는 경우가 많기에 정부의 무역 정책 변화에 대한 의견을 적극 개진하고,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트럼프 대통령의 25% 관세 부과 발표 이후 미국 내 산업계와 소비자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먼저, 미국내 철강 및 알루미늄 생산업체들은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고, 시장 점유율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다만, 자동차, 가전제품, 건설 등 철강과 알루미늄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제조업체들은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인해 생산 비용 증가와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이로 인해 수익성 악화와 소비자 수요 감소를 걱정하고 있습니다.요약하자면, 전반적으로, 이번 관세 부과 조치는 철강 및 알루미늄 생산업체들에게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제조업체와 소비자들에게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투자자의 입장에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입니다.감사합니다
Q. 트럼프 대통령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이 조치가 미국 경제에 미칠 긍정적·부정적 영향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부과 근거는 과도한 철강 수입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는 판단에 따라, 자국 산업을 보호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철강과 알루미늄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이러한 관세의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로 국내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이 수입 경쟁으로부터 보호받아 생산량 증가와 일자리 창출이 기대됩니다. 예를 들어 현대제철의 경우에도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철강과 알루미늄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자동차, 건설, 포장 등 다양한 산업에서 원가 상승으로 인해 최종 제품 가격이 인상되어 소비자 부담이 증가할 수 있기에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아울러, 타 국가와의 무역분쟁을 우려하는 입장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