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철강. 알루미늄에 25%관세를 미국에서 부과 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현대제철. 포스코 등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미국이 철강(25%)·알루미늄(10%) 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은 한국 철강업체(현대제철, 포스코 등)에 큰 타격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2018년에도 트럼프 정부는 철강 25% 관세를 부과했으나, 한국은 수출 쿼터(할당제) 적용으로 예외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기에 우리나라는 일단 쿼터제를 활용하고 추가적으로 미국에 생산공장을 건설하여 이러한 관세를 최대한 회피하고자 노력할 듯 합니다.감사합니다
Q. 미국 중국 무역전쟁 향후 전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미국과 중국의 경제 대립은 단순한 무역 관세 문제가 아니라, 기술 패권과 공급망 재편까지 포함하는 복합적인 경제 전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중국의 반도체, AI, 첨단기술 접근을 강력하게 제한하고 있으며,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다시 돌리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은 희토류·배터리 원자재 수출 제한 및 자국 기술 보호 강화를 통하여 보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쟁은 결국 중국에 불리하게 흘러갈 가능성이 높습니다만, 현재 약 10년동안 결론이 나지 않았기에 계속 지지부진하게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Q. 트럼프가 관세를 올린다고 하는데 모든 물품에 적용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이러한 관세를 어떠한 물품에 대하여 올리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에 모든 물품에 대하여 관세를 부과하게된다면 모든 물품이 부과대상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일부 물품에 대하여 지정하여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물품에 대한 관세만 상승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이번에 미국의 중국에 대한 보복조치는 전체 물품에 대한 관세부과였지만, 중국은 석탄, 픽업트럭 등에 대하여만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감사합니다
Q.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비중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대한민국)의 대미 수출 비중은 매년 변동이 있지만, 최근 수치를 기준으로 보면 대략 전체 수출의 15~18% 수준입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총 수출액은 약 6,857억 달러였으며, 그중 미국으로의 수출은 1,316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약 19.2%를 차지했습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현재 '24년은 중국으로의 수출액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가장 중요한 시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