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3년 들어 가장 큰 국제 무역 협정은 무엇인가용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2023년에 발효된 가장 큰 무역협정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입니다. RCEP은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총 15개국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협정으로, 2023년 6월 2일에 15개 서명국에서 전면 발효되었습니다. RCEP의 발효로 인해 회원국 간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이 완화되어 무역과 투자가 촉진되고, 역내 공급망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통일된 원산지 규정 적용으로 기업들의 협정 활용 편의성이 증대되었습니다. 특히, 한국은 RCEP을 통해 일본과 최초로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여 대일본 무역에서 특혜관세 적용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RCEP은 2023년 발효된 무역협정 중 가장 큰 규모와 영향을 가진 협정으로 평가됩니다.감사합니다
Q. 환율 변동이 수출입과 경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1. 수출 기업에 대한 영향: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출 기업의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집니다.환율 하락(원화 가치 상승):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어 수출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출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2. 수입 물가에 대한 영향:환율 상승: 수입 상품의 원화 환산 가격이 상승하여 수입 물가가 오르고, 이는 국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환율 하락: 수입 상품의 원화 환산 가격이 하락하여 수입 물가가 내려가고, 이는 국내 물가 안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이에 따라 외환보유고의 경우 외화로 표기가 되기에 별도로 달라지는 점은 없습니다. 다만 환율의 급변동 시에는 이를 통하여 환율을 안정화시키고자 하기에 변동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환율에 대하여 리스크 헷징상품을 가입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국가의 경우 자체적으로 파생상품 운영 등이 필요합니다.감사합니다
Q. 경상수지의 구성요소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경상수지는 한 국가가 일정 기간 동안 외국과 거래한 결과로 나타나는 수입과 지출의 차액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합산하여 경상수지를 계산하며, 이는 국가 경제의 대외 거래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상품수지: 일반적인 상품의 수출입을 포함하는 무역거래로, 수출에서 수입을 뺀 차액입니다.서비스수지: 운송, 여행, 금융, 지적재산 사용료 등 서비스의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지입니다.소득수지: 국내외 노동자의 임금 소득과 투자 소득(이자, 배당 등)에서 발생하는 수지입니다.경상이전수지: 개인 송금, 기부, 원조 등 대가 없이 주고받는 거래에서 발생하는 수지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