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박조훈 전문가
대학교 과학교육학석사 및 현직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는 지진은 언제부터 발생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지진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은 삼국시대로 거슬로 올라가 삼국사기와 조선왕조실록에서 지진에 관한 기록을 ㅇ찾아볼수 있으며 이 기록들은 대부분 큰 규모의 지진이나 그로 인한 피해를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이 아주 오래전부터 발생해 왔음을 시사합니다. 삼국사기에 백제에서 서기 2세기경 지진이 발생했다고 서술하고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에선 조선시대에 여러차리 지진이 경상도와 전라도에서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우리나라에 공식적인 지진 관측은 1905년 일본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서울에 지진계를 설치하였다고 합니다. 지진기록과 데이터를 공식화한건 이때가 처음이지만 그 전에도 분명히 있었겠지요~ 현대와 된것은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였고 1990년대 이후 정밀한 관측을 하기 시작합니다! 우리나라는 불의고리지점인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해있지 않고 판과 떨어져있기에 자주 발생하지는 않지만 최근에 소규모 지진들이 빈번이 일어나면서 우리나라도 더이상 지진안전국가가 아닌것으로 밝혀져있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가 평편하다고 주장하는 이들의 근거는 무엇인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평평지구론 영어로 Flat Earth Theory는 지구가 구형이 아니라 평평한 원반 모양이라고 하는데 고도가 낮은 곳에서 보았을때 지평선이 곡선이 아닝라 직선이라고 하는것이지요~ 지구의 곡률은 매우 완만하기 때문에 사람의 육안으로 쉽게 감지할 수 없습니다. 고도나 관측 위치가 충분히 높아지면, 수평선의 곡률이 분명히 나타나게 됩니다. 평평지구론자들은 또 멀리 있는 배나 건물이 지평선 너머로 사라지지 않고 계속 보일 때가 있다는 점을 지구가 평평하다는 근거로 듭니다. 구형 지구에서는 멀리 있는 물체가 지구의 곡률로 인해 시야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실제로 물체가 지평선 너머로 사라지는 현상은 망원경이나 줌 렌즈로 관측할 때 그 물체가 보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굴절 현상이나 광학적 왜곡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지구의 곡률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배가 수평선 아래로 사라지는 모습을 망원경으로 다시 보는 경우도 이와 같은 현상입니다. 지구가 구형이 아니라면 중력이라는 개념 자체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들은 물체가 떨어지는 이유를 중력이 아니라 지구가 끊임없이 상향 가속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중력은 잘 확립된 과학적 개념으로, 물체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중력 덕분에 지구 상에서 우리는 대기와 물, 그리고 지구 자체가 구형으로 유지되는 것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평평한 지구에서는 중력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이론으로 대체하려 하지만, 실험과 관측으로 입증된 중력 법칙은 과학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져 있습니다. 평평지구론자들은 인공위성이나 우주선에서 촬영된 지구의 구형 사진이 모두 조작되었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NASA와 같은 기관이 이러한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편집하거나 왜곡하여 사람들이 지구가 구형이라고 믿게 만들었다고 말합니다. 우주에서 촬영된 수많은 사진과 영상은 다양한 기관과 개인에 의해 검증되었으며, 지구의 구형을 직접 확인한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또한, 지구의 구형은 인공위성이나 GPS 시스템을 통해 명백하게 입증됩니다.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과 기관이 협력해 이러한 음모를 숨긴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입니다. 태양과 달이 지구의 머리 위를 회전하면서 일정한 경로를 따라 움직이며, 지구가 자전하거나 공전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그들은 낮과 밤이 태양이 지구의 반대편으로 이동하기 때문이 아니라, 태양이 특정 경로를 따라 평평한 지구 위를 움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태양과 달의 움직임은 천문학적으로 정확히 설명되며,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따라 낮과 밤이 발생합니다. 또한, 계절 변화, 일식, 월식 등의 천문 현상도 지구가 구형임을 입증하는 증거입니다. 평평한 지구에서는 이 모든 현상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풍은 어느 정도로 예측이 가능한 자연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 예측은 예보의 가장 중요한 요 소중 하나인데 3~5일정도의 기간까지 경로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해 내지요~ 위성자료나 기상레이더 컴퓨터 모델 등을 통해 태풍이 형성된 이후 이동할 경로를 추적하게 되며 1~2일 전까지의 경로 예측은 매우 정확하지만 5일 이상의 장기예측엔 다소 불확실성이 커지고 대기의 흐름, 기압골, 제트 기류 등의 여러 요인들에 의해 태풍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자료는 기상청에서 세계 각국의 기상기관들과 새로운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갱신하는 과정을 통해 세부적인 결정을 하게 됩니다!태풍의 풍향과 풍속은 경로 예측보다 조금 더 어려우며 지형, 기압변화, 해수 온도 등에 의해 풍속이 변동되기도 합니다~ 태풍의 강도 변화는 특히 태풍이 육지에 접근하거나 해수면 온도가 급변할 때 예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태풍이 갑자기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예측의 어려움을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태풍의 강수량은 쉽게 예측하기 어려우며 많은양의 비를 내리게 되며 이동속도, 지형, 기압변화 등에 크게 달라지게 하는 역할을 하지요~ 태풍의 크기(범위)는 대체로 예측이 가능하며 바람과 강수의 영향을 받는 지역의 면적을 의미하며, 이는 위성 사진과 컴퓨터 모델을 통해 비교적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태풍의 강도 변화는 경로 예측보다 불확실성이 클 수 있습니다. 태풍은 해수면 온도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따뜻한 해수 위에서는 강해지지만, 차가운 해수나 육지에 가까워지면 약해질 수 있습니다. 태풍 예측은 대기 모델과 기상 데이터의 정밀도에 따라 크게 좌우됩니다. 오늘날의 기상 예측 시스템은 고도의 기술을 사용해 정밀하게 예측하지만, 대기 중의 작은 변화나 예기치 못한 상황이 태풍의 경로와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예술과 과학의 관계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예쑬과 과학 모두 창의적인 사고력을 필요로하며 에쑬가는 감정과 인간 경험을 표현하는 방식을 ㅗㅌㅇ해 창의성을 발휘한다면 과학자는 자연과 우주의 법칙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창의성을 사용하게 되는것이지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경우 예술가이면서 과학자이기도 하였지요~ 과학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상을 설명하지만 그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인 표현이나 그래픽 심미적인 요소를 갖추어야 하지요~ 예술가들이 과학적인 발견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면 일반적인 대중이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하는 것이지요~ 최근엔 디지털 아트나 증강현실가상현실 등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전통예술뿐만아니라 현대 예술에서 성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한류가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하지요~과학또한 반도체 IT기술 등에서 강점을 보이지만 기초 과학이나 혁신적인 연구에선 많은 발전을 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예술과 과학의 경계가 더욱 모호해지고, 융합이 주요 트렌드가 될 것입니다. 과학적 발견이 새로운 예술 형식을 만들어내고, 예술적 창의성은 과학적 혁신을 촉진할 것입니다. 인공지능 AI 기술이 예쑬에 활용되면서 AI아트같은것들도 각광받고 있지요~예술과 과학 모두 환경 문제와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해법을 찾는 반면, 예술가는 사람들의 감정적 공감을 이끌어내고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습니다. 미래에는 예술과 과학을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교육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를 동시에 육성하는 방향으로 교육 시스템이 변모하며,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에 예술(A, Arts)을 더한 STEAM 교육을 더욱 더 강조하게 되겠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가 큰가요 태양이 큰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지구의 지름은 약 12,742km이며 태양의 지름은 약 1,391,000km입니다. 태양은 지구에 약 109배에 달하며 부피로 본다면 130만개의 지구가 이안에 들어가게 되는것이지요~ 태양은 태양게 전체 질량의 99.86%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5865875885895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