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리나라 및 해외 계절별 구름의 높낮이가 틀린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구름의 높이는 대기의 온도, 습도, 기압에 의해 결정되는데 여름철에는 대기 상층부가 더워지면서 구름이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대류 활동이 활발해지기 때문인데,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면서 고도가 높은 곳에 적운(뭉개구름)이나 적란운(비구름)이 만들어지기 쉽습니다. 이러한 구름은 보통 중상층에 위치하며, 하늘이 맑을 때는 구름이 아주 높게 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가을과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지면서 대류 활동이 약해지고, 상대적으로 구름이 낮은 고도에 형성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안개구름이나 층운(낮고 넓게 퍼진 구름)이 형성되며, 이는 지면 가까이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구름이 더 낮게 보일 수 있습니다. 구름은 고도에 따라 고층운(6000m이상의 고도에서 형성되며 권운, 권적운, 권층운등이 있으며 상층 구름이라고 함), 중층운(2000~6000m사이의 구름으로 고적운, 고층운과 같은 구름으로 가을이나 봄철에 자주 보임), 저층운(2000m이하의 낮은 고도에 형성되며 층운, 적운 등을 가지며 겨울철에 나타남)으로 나눌수 잇습니다! 해외나 우리나 비슷하게 구름이 나타나지만 위도에 따라 그지역의 기후나 지리적인특성으로 달라지는 경우도 생기지요~ 열대 지방에서는 고온의 대기가 많은 수분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 높은 곳에 구름이 형성될 가능성이 큰 반면, 한대 지방이나 온대 지방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 구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구름의 높이가 달라지는 주요 이유는 대기 온도와 압력 때문입니다. 여름철에는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상승 기류가 강해지고, 구름이 더 높은 고도에서 형성됩니다. 반면, 가을과 겨울에는 공기가 차가워져 상승 기류가 약해지고, 구름이 낮은 고도에서 형성됩니다. 이 외에도 습도, 대기의 안정성 등의 요인도 구름 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가끔 달이 붉게 보이기도 하는데요 어떤 이유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으면 지구 대기를 통과하는 달빛의 경로가 길어지게 되고 이과정에서 일어나는 대기의 산란현상이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파라냇ㄱ이나 녹색빛과 같은 짧은 파장은 대기중의 입자에 의해 산란되지만 빨간색은 긴파장으로 상댖거으로 덜 산란되면서 빨간색 빛이 남아 있어 달이 붉으스름하게 보이게 되는것이지요~ 또는 개기월식이 발생할때 달이 붉게 보이기도 하는데 개기월식시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리맞가 달을 가리면서 붉으스름하게 태양빛이 산란되며 굴절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됩니다.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짧은 파장은 산란되고 긴 파장은 굴절되어 달 표면에 도달하게 되는 레드문현상이라고 하지요~ 달이 붉게 보이는 또 다른 이유는 대기 중의 먼지, 연기, 화산재 또는 기타 오염 물질 때문일 수 있습니다. 대기 중에 이와 같은 입자가 많이 있을 경우,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붉은빛이 강조되면서 달이 붉게 보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요즘에 라니냐현상과 엘니뇨 현상이란 말을 듣게 되는데 이 용어는 무슨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엘리뇨는 태평양 동부와 중부 적도 지역이ㅡ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으로서 바닷물이 평소보다 따뜼해지며 바람과 해류의 패턴도 크게 변동되는 현상이지요~엘리뇨가 발생하면 태평양 서부지역은 건조해지고 가뭄이 발생하며 남아메리카 서해안 지역은 해수면의 온도를 상승시켜 강수량이 증가하고 홍수나 폭우 같은 기상재해를 발생시키게 하지요~ 전세계적으로 엘리뇨가 발생하면 온난화경향을 보이며 극심한 강우 가뭄등의 극단적인 현상을 일으키게 합니다. 라니냐는 엘리뇨와 반대이며 태평양 동부와 중부 적도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지는 현상을 일컫습니다. 태평양 서부지역은 더 ㅁ낳은 강우와 홍수가 발생하며 남아메리카 서해안은 건조해져 가뭄이 발생하게 되지요. 전세계적으로 기온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이며 극심한 추위와 폭설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엘리뇨와 라니냐는 무역풍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ㄸ라 달라지게 되는데 엘리뇨는 무역풍이 약해지거나 반대로 불게 되면서 해수가 동쪽으로 밀려 나가면서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며 라니냐는 더 많은 차가운 해수가 동태평양에 축적되고 서태평양은 습해지게 되면서 나타나게 되는것입니다~ 엘리뇨와 라니냐는 단순히 해양 온도 변화에 국한된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기후 패턴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하고 강수량, 온도, 폭풍우, 가뭄 등에 영향을 미쳐 기상이변현상이 나타나게 되는것이지요~ 엘리뇨와 라니냐는 2~7년 주기로 발생하고 보통 지속시간은 9개월~2년 정도의 시간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파도는 어떠한 이유가 발생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파도의 주요 발생 원인은 바람이며 바람이 바다 표면을 지나가며 물 분자를 밀어내면서 파도를 표면을 지나가며 물 분자를 밀어내면서 파도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바람이 강하게 불면 파도의 크기와 힘이 더 커지게 되는것이죠. 바람이 물표면과 만나는 마찰력이 파도를 일으키는 주요 기작 중 하나입니다. 바람의 속도, 지속시간, 그리고 바람이 불어오는 거리에 따라 파도의 크기와 강도가 결정되며 먼 거리에서 오랜 시간 동안 강한 바람이 불면 더 큰 파도가 형성될수 있는 것이지요~ 바닥의 수심과 해양 지형도 파도의 형태와 강도에 영향을 미치며 해안선 ㄱ느처로 파도가 다가올때 수심이 얕아지면 파도의 소 ㄱ도가 느려지게 되고 파도는 더 높아지게 되어 강해질수 있께 되는 것지이요~ 이러한 현상은 경사나 수심 변화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해저 지형이 복잡하거나 해안선이 굴곡진 지역에선 파도가 더 크게 발생하거나 굴절되어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수 있게 되는것이지요~! 파도는 조석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조석은 지구의 바닷물이 달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끌려가는 현상인데 이로 인하여 밀물과 썰물이 발생하게 되는ㄱ ㅓㅅ이지용~ 조석에 의한 물의 이동이 파도의 강도나 주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밀물 때는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파도가 더 강하게 느껴질 수 있고, 썰물 때는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습니다. 지구 자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코리올리 또한 바라과 해류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파도의 발생과 이동 경로에 영향을 미치게 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