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삼복더위에 양양가음식 챙겨먹는 거는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복은 중국 진나라(기원전 676년)에 만들어졌으며, 복날에는 개장국 즉 보신탕과 삼계탕 등으로 쇠(金)의 기운을 보충해, 더위에 허해진 심신의 균형을 바로 세웠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은 왜 흰색옷을 좋아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인들이 흰색옷을 선호한 까닭은첫째, 흰색이 갖는 포용과 상징성 때문이다. 본연 그대로의 색인 흰색은 가장 자연과 합일되는 순색으로 지고함과 진실, 지조와 기개, 순결, 장수를 상징하며 만물의 근원이 되는 시초를 의미한다. 특히 우리 민족에게 흰색은 이상과 현실의 조화요, 현실을 넘어선 지고의 아름다움을 담은 완벽한 색으로 성과 속, 죽음을 넘나드는 원초적인 색인 동시에 성스럽고 세속적인 색이었다. 실학자 성호 이익(1681∼1763)은 흰색에 대해 “우리나라 풍속은 갓과 흰 베로 만든 도포를 가장 존귀한 의복으로 삼아 길사나 흉사에 모두 통용하였다”고 했다.둘째, 흰옷을 즐겨 입게 된 것은 염색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흰옷은 그 어느 색보다 더러움을 잘 타 비경제적이다. 육당 최남선은 때가 타지 않는 무색옷을 입어야 함에도 흰옷을 입는 것은 시대를 맞출 줄 모르는 어리석은 일이라며 흰옷의 폐단을 지적했다. 흰옷은 염색이 필요 없다. 성호 이익은 옷 한 벌을 염색하는 데 네 식구가 한 달 먹을 양식이 들어가며, 한 필 염색하는 데 한 필 값이 들어간다고 했다. 오히려 언제라도 빨기만 하면 깨끗하고 성스러운 느낌마저 드는 흰옷이 훨씬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다 보니 자연히 흰옷을 즐겨 입게 된 것이다.끝으로 우리의 백의 습속에는 왕과 왕비의 국상도 커다란 몫을 했다. 실학자 이수광은 1565년 이후 여러 번 국상을 치르며 계속해서 흰옷을 입다 보니 마침내 하나의 국속이 되었다고 했다, 거기에 흰색이 상징하는 절제와 검소, 결백의 미덕과 잘 부합됐던 조선시대 국시인 성리학적 이념도 백의 습속을 지속시키는 토양이 됐다. 우리의 백의민족은 단순히 흰옷을 숭상해서가 아니라 이런 요인들로 흰옷을 즐겨 입은 데서 자연히 생겨난 것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홍콩은 영국령이다가 왜 중국으로 복귀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 2차 아편전쟁에서 승리한 영국은 구룡반도와 홍콩섬을 청나라로부터 떼어내고, 1898년 신계 지구를 마지막으로 지금의 홍콩 영역을 확정하여 99년동안 임차하기로 했었는데 그 기간이 다 지난 1997년 홍콩 지역을 다시 중국으로 돌려준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훈요십조에 나오는 차현 이남은 어디를 경계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차현이남은 차현고개 아래와 공주고을을 감싸고 흐르는 공주강 바깥쪽 사이의 지역을 말하고 지금의 청주지방입니다.궁예가 변란을 피해 청주지방 차현고개 인근의 칠장사에서 10여살까지 살았고, 나중에 이 인맥이 정치적 기반이 되어 청주 출신을 중용하여 철원으로 도읍을 옮길 때도 중심세력으로 이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왕건 세력에 의해 궁예가 제거되자 청주지역의 임춘길, 이흔암, 선장 형제 등의 반란이 계속되어 왕건이 그 지역 호족들을 탄압하였다고 합니다.또한 청주 위쪽 차현 고개 아래에 위치한 진천은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킨 김유신 장군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기도 하여 왕건에게는 좋지 않게 인식되는 지역이었습니다. 이런 연유로 청주지방은 왕건이 경계한 지역이 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해방 이후 일본 영화나 음악등을 완전히 금지되었다고 하더라고요 언제 일본문화가 개방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민의 정부부터 참여정부 기간인 1998년부터 2004년까지 6년 동안 4차에 걸쳐 일본 대중문화의 수입을 허용하게 되었습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빵은 우리나라말인가요? 일본어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빵은 1543년부터 포르투갈을 통해 일본에 전파 되기 시작합니다.포르투갈어로 빵은 pão라고 하며 이것이 빵의 어원이 되었습니다.한국은 일본의 영향을 받아 빵 이라고 부르게 된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도에도 나라가 있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탐라는 3세기 초반부터 12세기 초반까지 약 천년 동안 제주지역에 존재했던 고대 정치체이다. 조선 후기 역사가 한치윤의 저서 ‘해동역사’에 의하면 탐라는 섬을 말하는 ‘탐’과 나라를 의미하는 ‘라’가 합쳐진 것이라 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 속에서 공자는 인육을 즐겼단 말이 있던데 진짜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자가 자신의 애제자인 자로가 정쟁에 휘말려 해(醢), 즉 젓갈이 되는 끔찍한 죽음을 맞이했고 이를 들은 공자는 탄식하며 제자가 맞이한 최후를 상기시키기 때문인지 집 안의 해(젓갈)를 몽땅 내다버리고 죽을 때까지 다시는 입에도 대지 않았다고 한다.이 이야기가 '공자는 인육젓갈을 즐겨 먹었는데 제자가 인육젓갈이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뚝 끊었다'로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당연하지만 해(醢)는 젓갈이라는 뜻밖에 없다. '고기나 생선을 소금에 절이는 보존발효식품'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자로가 소금에 절여져 젓갈 신세가 되었다고 해서 온 세상의 젓갈을 다 인육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가당치도 않은 허튼소리에 불과하다. 당장 해(醢)란 단어는 조선왕조실록에도 수백 차례 나오며 멀리 갈 것도 없이 우리가 오늘날도 먹는 전통 한국 요리 중에는 식해(食醢)가 있다. '식해라니 인육젓갈을 먹는다는 뜻이냐?' 라고 묻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북송 시기 '시장에서 인육을 팔았다'는 기록이 있다고 해석한 이야기들도 사실은 '젓갈을 팔았다'라는 구절을 오독한 것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만인의 총은 누구의 무덤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때 호남 점령의 실패가 임진왜란의 패인이라 판단한 왜적은 11만 대군으로 1597년 전라도를 침공하기 위하여 우군은 전주성을 좌군5만6천은 남원성을 공격하였다.조정에서는 남원성을 사수하기 위하여 전라병마사 이복남 장군이 이끄는 1천여의 군사와 명나라 부총병 양원의 3천병사로 하여금 남원성을 지키게 하였다.적은 8월 12일 남원에 당도하여 성을 겹겹이 포위하였으며, 13일부터 16일밤까지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성민 6천여 명을 포함한 1만여 의사들은 혈전 분투하다가 장렬하게 모두 순절하였다.전쟁이 끝난 뒤 피난에서 돌아온 성민들이 시신을 한 무덤에 모시고 1612년(광해군4년) 사당을 건립하여 전라병마사 이복남 등 7충신을 모셨으며 1653(효종4년)에는 충렬사액이 있었고 1675년(숙종원년)에 남원역 뒤 동충동으로 이건한 뒤 1836년(헌종2년) 사헌부지평 오흥업을 추배하니 8충신이 되었다. 그러다 1871년(고종8년) 사우 훼철령에 의거 사당이 철폐되어 제단을 설치하고 춘추로 향사하여 왔다. 그러나 일제가 제단를 파괴, 재산을 압수하고 제사마저 금지하였다. 그러다 광복과 더불어 다시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모셔오다가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출생년도는 몇 년도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960년에 108만 명으로 역사상 최고점을 기록하였다. 이 시기 의료 기술 및 의료 인프라 접근성이 개선되어 이전 시대에 비해 영아 사망률이 크게 줄어들며 인구 증가세를 가속화 했다.
1261271281291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