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교육기관인 성균관과 4학, 향교에 대해 자세한 내용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균관, 4학, 향교는 지금으로 치면 일종의 공립학교로서 학생들은 주로 서당을 거쳐 향교나 4학에 입학하게 됩니다. 향교는 지방에 세워진 관학교육기관이고, 4학은 한양에 세워진 관학교육기관이었습니다. “향교 = 지방 국립학교, 4학 = 중앙 국립학교”라 생각하시면 편합니다4학과 향교는 별다른 시험과 자격 없이 입학이 가능했으나, 조선의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은 입학 자격이 필요했습니다. 바로 시험을 통과해야 하는 것이었는데요, 조선의 과거는 소과와 대과 시험으로 나뉘는데, 소과는 생원시와 진사시, 대과는 초시-복시-전시의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 성균관은 소과시험에 합격한 생원과 진사들이 입학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성균관에서 특정 출결 점수를 넘으면 대과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인류 최초의 직립원인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Australopithecus)에 속하는 멸종된 화석 인류의 한 종이다. 아파렌시스(afarensis)라는 종명은 발견지인 아프리카 대륙에서 따와 라틴어로 "아프리카의"라는 뜻으로, 학명은 아프리카의 남쪽 유인원이라는 의미이다. 이명으로는 루시의 종(Lucy's Speices)이 있다.이 종은 남아프리카 일대에서 발생하여 신생대 신제3기 플라이오세인 약 390만 년 전에서 290만 년 전까지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주로 오늘날의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케냐 지대를 무대 삼아 살았다. 직립 보행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화석이 많다. 또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의 어린 모습 정도의 체격을 하고 있다.아파렌시스는 현생 인류의 직계조상인 호모 사피엔스와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를 포함하는 사람속에 더욱 가까이 관련되어 있다고 여겨지며, 많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의 종과 현존하는 사람속(Homo)의 공통 조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의사들이 하얀색 가운을 입게 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사들이 가운을 입는 것은 진료 중에 발생하는 오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가운의 색이 하얀 이유는 불결해졌을 때 바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하지만 의사들이 가운을 입게 된 것은 처음에는 의학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수도사들이 질병의 치료를 맡았었는데 의사 역할로 전문화되고 성직자용 가운이 의사의 가운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에두아르 마네의 ‘올랭피아‘ 작품의 모델을 비평가들은 왜 시체라고 비유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마네 당시의 여성 누드화라면 당연히 여신과 요정, 신화 속 왕비와 공주 등을 그려야 할 때였다. 이들의 아름다운 외모, 풍만한 몸, 부드러운 자태를 묘사해야 할 시대였다. 이건 수백년 전부터 지금껏 이어진 불문율이었다. 하지만 마네의 그림은 그간의 공식을 깨부순 변종이었다. 그렇기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 주인공은 무려 현실 여성이었다. 게다가 '올랭피아'는 성매매 여성을 가리키는 은어였다. 마네는 티치아노의 '우르비노 비너스'를 패러디하고선, 은밀한 여신은커녕 관람객을 노려보는 듯한 뒷골목 여인을 표현한 셈이었다. 이뿐인가. (당시 기준으로)지위가 낮은 흑인 하인이 큐피드 자리를 꿰찼다. (물론 당시 기준으로)불운을 의미하는 까만 고양이가 충절의 상징인 개의 자리를 대체했다. 도발적 요소가 가득하다 못해 넘쳐흘렀다. 예술계 기득권 입장에선 이 정도면 그냥 싸우자는 게 아닌가 싶었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알렉상드르 카바넬의 그림 '비너스의 탄생'을 보면 마네의 그림이 얼마나 발칙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는 통치자 나폴레옹 3세가 보자마자 사들인 당시 교과서 같은 작품이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미국에서 국민들의 사랑과 존경을 가장 많이받는 대통령은 누구일까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대 미국 대통령을 평가할 때 최고의 대통령 3명을 꼽자면 국부 조지 워싱턴과 2차 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끌고 팍스 아메리카나를 설계한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그리고 링컨인데, 이 중에서 1위를 제일 많이 차지한 대통령은 바로 링컨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실제 역사속에서도 삼국지 조운이 정말 명장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수가 쓴 삼국지 정사 촉서 조운전은 아래에 있는 내용이 전부로 대중이 흔히 아는 조운의 활약상은 이후 배송지가 조운별전에서 인용해 주석으로 보충한 내용이다.[조운(趙雲)은 자(字)가 자룡(子龍)이고 기주 상산(常山) 진정(眞定) 사람이다. 본래 공손찬의 세력에 속했는데 공손찬이 유비에게 전해를 도와 원소를 막게 하니 조운이 이에 수종(隨從)하여 유비를 위해 기병을 지휘했다.유비가 당양(當陽) 장판(長阪)에서 조조에게 추격당해 처자를 버리고 남쪽으로 달아나자 조운이 유선과 감부인을 보호하여 모두 위난을 면할 수 있었다. 이후 아문장군(牙門將軍)으로 올랐다. 유비가 촉(蜀)으로 들어갈 때 조운은 형주에 남았다.유비가 가맹(葭萌)에서 환군해 유장을 공격하고 제갈량을 불렀다. 제갈량이 조운과 장비 등을 이끌고 강을 거슬러 서쪽으로 올라가면서 여러 군현을 평정했다. 강주(江州)에 도착하자 조운을 나누어 보내 외수(外水)를 따라 강양(江陽)으로 올라가게 하니 성도에서 제갈량과 합류했다. 성도가 평정된 뒤 조운을 익군장군(翊軍將軍)으로 삼았다.건흥 원년(223년)에 후주는 조운을 중호군(中護軍), 정남장군(征南將軍)으로 임명했고 영창정후(永昌亭侯)에 봉했다가 진동장군(鎭東將軍)으로 올렸다.건흥 5년(227년), 조운은 제갈량을 수행해 한중에 주둔했다.그 이듬해(228년), 제갈량이 출군하면서 야곡도(斜谷道)로 행군하겠다고 거짓 정보를 퍼뜨리자 조진이 대군을 보냈다. 제갈량은 조운과 등지에게 명해 이것을 막게 하고 자신은 기산을 공격했다. 조운과 등지의 군사들은 약하고 적의 군세는 강해 기곡(箕谷)에서 실리(失利)했으나 군사들을 거두어 굳게 지켰으므로 대패에 이르지는 않았다. 군이 퇴각한 뒤 진군장군(鎭軍將軍)으로 강등됐다.건흥 7년(229년)에 죽었다. 시호를 추증해 순평후(順平侯)라 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진시황제가 분서갱유를 일으킨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진시황 시대 분서갱유, 즉 전국적인 사상 탄압의 단초가 되었다고 평가받는 사건은 기원전 213년 함양 연회에서 일어났다. 이때 전국에서 부로(父老) 70여 명을 초대해 연회를 벌이다가 참가자 중 한 명인 주청신이 황제의 공덕과 군현제의 실행을 찬양하자, 다른 참가자인 순우월이 옛 것을 버리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이때 당시 자리에 있던 이사가 옛 사상과 제도에 매달려 있다면 통치에 해로울 것, 의약 · 점술 · 농업 등의 책을 제외한 제자백가의 책들과 시(시경), 서(서경), 진을 제외한 국가들의 역사서를 불태울 것을 주장하여 이를 실행에 옮기게 된다. 이것이 분서(焚書) 사건이다.1년 뒤 후생(侯生)과 노생(虜生) 등이 실패로 끝난 진시황의 불로초 탐색을 놓고 "불로초 따위에 정신이 팔리다니, 이건 책 다 불태워서 고전 공부를 안 했기 때문임."이라는 식으로 진시황을 비난했다. 이 사건이 발단이 되어 전국의 불온 사상가 460여 명이 함양에 매장되었고, 이것이 후대에 갱유(坑儒)로 불리게 된다. 갱유에 대해서는 사실이 분명하지 않고 이설(異說)이 많아 후세 유학자가 꾸며낸 것, 그게 아니어도 실상이 상당히 과장된 것으로 추측되기도 한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도의 갠지스강이 인도에서 상징하는 바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갠지스강은 힌두교인들에게는 성스러운 강으로 불경에도 자주 언급된다. 한문 번역 불경에서 갠지스를 항하(恒河)라고 했는데 강가(Ganga)를 음역한 것이다.갠지스강에서 목욕도 하고 사람이 죽으면 시체를 화장해서 갠지스에 뿌려주기도 한다. 그만큼 갠지스는 힌두교인, 그리고 인도인에게 어머니와 같은 존재이고 또 공경의 대상이다. 이 갠지스의 의인화인 강가 여신 역시 정화의 힘을 가진 길한 신으로 여겨지곤 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탈모인들은 어떻게 상투를 틀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탈모인들이 상투 틀기가 더 좋았다고 합니다. 특히나 정수리쪽 탈모인들한테 상투는 축복이였다고 합니다. 머리숱이 많으면 상투 틀기가 쉽지 않았고 상투를 틀어도 덥수룩하게 지저분해 보이고 갑갑하고 머리가 뜨는 바람에 갓을 쓰기도 힘들었다고 합니다. 거기다 여름엔 열이차고 땀도 많이 났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제 강점기 시대 때 안중근 의사와 유관순 열사에서 의사와 열사의 호칭은 무슨 차이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사와 열사의 차이점의 주된 핵심은 무력이나 폭력의 사용 여부다.의사는 무력을 사용한 의로운 사람이고, 열사는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 저항하다가 돌아가신 분들을 뜻한다.의사로는 윤봉길 의사(상하이 폭탄 투척), 안중근 의사(이토 히로부미 저격), 이봉창 의사(히로히토 수류탄 투척)등이 있고 열사로는 유관순 열사(삼일절 삼일운동), 이준 열사(헤이그 특사)가 있다.
1361371381391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