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전문가입니다.

한정현 전문가
부산예술고등학교
철학
철학 이미지
Q.  우리가 대화를 하거나 어떤 글을 쓸때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형이상학- 세계의 궁극적 근거를 연구하는 학문. 경험세계인 현실세계를 초월하여 그 뒤에 숨은 본질, 존재의 근본원리를 체계적으로 탐구하려는 학문으로서 영역적·부분적인 지식이 아니라 보편적·전체적인 지식을 구한다.경험적 자연적 인식태도, 일반의 초월이라는 성격을 지니며 신학·논리학·심리학 등이 이에 속한다.형이하학- 유형물에 관한 학문으로 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 곧 생물학·물리학 등 모든 자연과학이 이에 속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도 비누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누가 없던 조선시대에는 비누 대신 쌀겨를 천주머니에 넣고 우려낸 물이나 쌀뜨물을 받아 세안을 했다. 좀 더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녹두, 콩, 팥 등 곡물을 곱게 갈아서 세안제로 쓰기도 했으며 겨울에는 얼굴이 트는 것을 막기 위해 유자 씨를 찧어 달인 물로 세안을 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과거 시험 응시 자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과거의 응시자격은 양인(良人) 이상이면 응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천민이나 승려의 자식은 응시할 수 없었다. 양인 이상은 응시할 수 있었다고 하지만 농민은 사실상 응시하지 못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계모가 전처 자식을 괴롭히는 것을 소재로 한 설화가 전해지는데, 서양에는 어떤 설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데렐라, 백설공주, 라푼젤, 빨간모자, 헨젤과 그레텔,여섯 마리 백조등 대부분 그림형제의 동화에서 많이 나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장마가 시작되려나 봅니다. 문득 비오는 날 신는 장화는 언제부터 신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죽부츠의 재료를 고무로 바꾸어 최초의 고무장화를 발명한 사람은 미국의 히람 허친슨이다. 여담으로 서양에서는 고무장화를 웰링턴 부츠라고 부르는데 이 명칭은 영국의 수상을 역임하기도한 웰링턴 공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웰링턴은 모닝턴 제1 백작의 아들로 1787년 앵거스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수많은 공을 세워 백작과 후작에 이어 공작에 오르고 후에 수상까지 지냈다. 바로 그가 구두를 만드는 기술자에게 가죽으로 장화를 만들게 하여 처음 신었고, 그 결과 사람들은 장화하면 웰링턴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인도는 총리가 가장 높은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의 정치체제는 대통령을 명예직으로 하는 의원 내각제(의회제)이다. 대통령은 상징적인 존재이고 총리가 사실상 국정을 관리하고 책임진다.인도의 총리는 인도의 정부수반으로 내각을 조직/해산하고 정부를 운영할 권한을 가진다. 세계 1위의 노동인구를 가진 국력을 바탕으로, 인도의 총리는 미국 대통령, 연준 의장 ,중화인민공화국 최고영도인 다음 가는 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개도국과 제3세계의 의장 역할은 2030년대 이후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때 조세는 어떤식으로 거두들였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의 조세수입은 전세(田稅)·역(役), 그리고 공납(貢納)이 그 기본이었다. 전세는 농토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과전법에서는 1결에 최고 30두(斗)까지만 받게 하였고, 세종 때에는 이를 더 낮추어 1결에 최고 20두, 최저 4두를 받되, 전분6등법(田分六等法)과 연분9등법(年分九等法)으로 구분하여 수취하였다. 정확한 전세의 부과를 위해서는 농토의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였고, 이에 따라 양전(量田)사업이 20년마다 실시되어 양안(量案)이라는 토지대장이 작성되었다.그러나 전란으로 토지가 황폐하고 토지대장이 소실되어 왜란 전의 토지결수(土地結數)에 비해 왜란 후에는 1/3로 감소되었다. 그리하여 개간사업이 진행되고 양전사업이 실시되면서 숙종 때에는 140만 결까지 증가되었는데, 이것은 거의 세종 때의 수준으로 회복된 것이다. 그러나 은결(隱結)이나 면세지(免稅地)의 증가로 국가의 전세수입은 별로 늘지 않았다.또 전세제도가 인조 때 영정법(永定法)으로 개편되어 세율이 1결마다 4두로 경감되었고 이와 같이 수세지와 수세율의 감소로 국가의 전세수입이 현저하게 줄어들자 이를 메우기 위하여 여러 가지 부가세가 징수되었다. 이리하여 조선 후기에 이르러 일부 지방에서는 부가세와 수수료를 합치면 1결에 100두, 즉 수확고의 반 이상이 되는 많은 양을 징수하였다. 게다가 관리들은 황폐한 진전(陳田)에서도 세를 징수하였는데 이를 백지징세(白地徵稅)라고 하였고, 또 사적으로 횡령한 공금을 보충하기 위하여 도결(都結)이라 하여 정액 이상의 세금을 종종 징수하였다.역(役)에서는 국가의 토목사업 등에 동원되는 요역(徭役)과 국방을 맡는 군역(軍役)의 두 가지가 있다. 역의 대상은 원칙적으로 16∼60세까지의 정남(丁男)이었고, 16세기에는 역의 대가로 군포(軍布) 2필을 납부하였는데, 1년에 2필의 포를 납부한다는 것은 무거운 부담이었다. 게다가 탐관오리들의 농간으로 어린아이를 정남으로 편입시켜 군포를 징수하는 황구첨정(黃口簽丁), 죽은 자에 대하여도 포를 징수하는 백골징포(白骨徵布) 등의 부정이 유행하였고, 무거운 부담을 견디지 못하여 도망하는 경우에는 이웃이나 친척 ·동리에 부담시키는 인징(隣徵)·족징(族徵)·동징(洞徵)이 가해졌다.이에 영조 때에는 군포 2필을 1필로 반감시켰으며, 그 부족액을 어세(漁稅)·염세(鹽稅)·선박세(船舶稅) 등과 결작(結作)의 징수로 보충하였다. 그러나 악습은 여전히 자행되어 농민은 유망(流亡)하게 되고 마침내 민란의 원인이 되었다. 공납은 각 지방의 특산물을 바치게 하는 세납으로, 각 고을을 단위로 하여 국가나 왕실에서 필요한 지방 특산물을 그 지방의 수령이 책임지고 거두어서 바쳤다. 공납은 현물로 바쳐야 하기 때문에 납입·저장·운반에 어려움이 많았고, 이를 계기로 이른바 방납(防納)이라는 부정이 행해져 국민에게 큰 고통을 주었다.이에 방납의 폐단을 제거하고, 전세수입의 감소로 인한 재정 보완을 위해 광해군 때부터 100년간 대동법(大同法)을 추진, 대동미(大同米)라는 이름으로 토지 1결에서 미곡 12두를 징수하게 하였다. 대동법이 실시됨으로써 거의 모든 조세가 전세화되었으니 1결의 토지에서 전세 4두, 삼수미(三手米) 1두 2승, 대동미 12두, 결작 2두 등 20두(斗)에 이르렀다. 이들 세곡은 17세기 이래로 화폐제도가 실시되면서 금납화(金納化)되기도 하였으나, 대개 관선(官船) 또는 사선(私船)을 통해 서울로 조운(漕運)되었으며, 조운을 위하여 연해안 또는 수변에 조창(漕倉)이 설립되었다. 이와 같은 조세 제도는 갑오개혁 때에 모두 금납화되어 갔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순신장군은 왜 백의종군 했나요?
이순신이 백의종군하게 된 계기는 아래의 두가지 사건 때문이다. 첫 번째는 부산 왜영 방화 사건. 이순신이 자신의 부하들인 안위와 김난서 등이 부산 왜영에 숨어들어서 적의 배와 장비들을 불태웠다는 내용의 보고를 올렸는데, 이 보고 이후 이조좌랑이던 김신국이 이순신의 보고를 허위 보고라고 올린 사건이다. 이원익의 추가 보고와 의금부의 조사 결과, 이순신의 보고는 아래 부하들이 허위로 이순신에게 보고를 올림으로써 이순신이 왕에게 보고를 허위로 하게 되었다는 내용인데, 이게 이후에 이순신이 파직되는 이유 중 하나가 된다. 다만 의금부의 조사 결과와 이원익의 추가 보고만으로 이순신이 거짓으로 조정에 보고를 올렸다고 하기에는 무리인 부분이 많은데, 조정에서도 분명 이순신의 부하가 이순신에게 허위 보고를 올려서 이를 그대로 알리다 보니 졸지에 거짓 보고를 하게 된 것이지 이순신이 의도적으로 허위 보고를 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파악하고 있었다.더 웃긴 것은 허위 보고를 올린 관계자들이 조사를 받았지만 막상 한양에 압송된 사람은 이순신밖에 없다. 정말 허위 보고를 추궁하고자 했다면 안위나 김난서까지 같이 압송되었어야 하는데 이들은 압송은 커녕 파직도 되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이순신의 파직이 결정됐을 때 선조는 자기 입으로 직접 부산 방화 사건은 안위와 김난서가 행한 일인데 이순신이 공을 가로챈 것이다 라고 언급함으로써 이순신의 부하들이 한 행동임은 인정하지만 은근슬쩍 이순신 잘못으로 몰아갔으니 사실상 허위보고 사건은 그냥 이순신을 떨어트리려는 명분에 불과하다.2번째는 가토의 도해. 얼마 전 일본의 이중간첩인 요시라로부터 "가토 기요마사가 바다를 건너올 것"이라는 정보가 입수되었는데, 이 정보가 조정에 보고된 것이 1597년 1월 1일이다. 조정에서는 즉각 비변사에서 회의를 거쳐 이순신에게 출격 명령을 내렸는데, 이순신이 1월 6일부터 남해현에 공무차 들어갔다가 풍랑에 갇혀서 빠져나오지 못하던 상태였기 때문에 시간을 잡아먹다 보니 가토가 진작 바다를 건너서 부산에 도착해버렸다. 조정에서도 이를 파악하여 가토를 잡을 수 없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혹시 추가로 있을 상륙 부대에게 압박을 주기 위하여 부산포로 출격을 명했고, 이순신은 69척의 함대로 부산포를 두들기며 명령을 충실히 이행했다. 통념처럼 무작정 출전 거부만 한 것이 아니다.그러나 이순신이 가토를 잡지 못했다고 책망하면서 "저라면 잡을 수 있습니다"라고 한 원균의 장계가 조정으로 올라오고, 이와 더불어 이순신을 숙청하려고 이미 혈안이 되어 있던 선조에 의해서 싸우라는 명을 거부했다는 이유로 1597년 2월 26일에 이순신을 파직 및 압송하고 그 후임으로 원균을 임명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다음으로 큰 섬은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거제도는 한반도에서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섬(379.5㎢)이다. 두 번째이기는 하지만 1위인 제주도가 거제도보다 4.8배 커 1위와 2위 사이의 차이가 큰 편이다. 한편 세 번째인 진도(367.8㎢)와는 면적이 대동소이하다. 인구도 제주도에 이어 섬 중에서 두 번째로 많다. 인구밀도 자체는 제주도보다 더 높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는 왜 국호를 고구려라고 칭하지 않았나요?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애초에 현재 불리어지는 고구려라는 이름은 현대 한국에서 왕건의 고려와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고 장수왕 때부터 원래 '고려'라고 고정하여 불렀습니다.그러므로 왕건은 말 그대로 고려라는 국호를 계승한 것입니다.
1361371381391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