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대기업 인사팀 출신 공인노무사 현해광입니다.
안녕하세요! 대기업 인사팀 출신 공인노무사 현해광입니다.
현해광 전문가
노무법인 서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1년 12월 17일 작성 됨
Q.
퇴사 30일 안내 기간을 못채울 경우 받는 불이익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현해광노무사입니다.기존 회사의 퇴사일과 새로운 사업장에서의 입사일이 겹치더라도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근로자는 헌법상 직업선택의 자유가 있으며, 근로기준법에 따라 강제근로를 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므로 언제든지 사직의 의사표시를 하고 퇴사를 할 수 있습니다.다만 갑작스러운 퇴사로 인하여 사업장에 실질적인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 업무방해죄에 해당하거나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을 부담할 수 있으나, 인정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21년 12월 17일 작성 됨
Q.
연봉계약서 미작성시 불이익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현해광노무사입니다.연봉계약서 작성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기존 연봉계약이 최저임금에 미달하지 않는다면 해당 계약이 그대로 유지되게 됩니다. 별도의 법적인 불이익은 발생하지 않습니다.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21년 12월 17일 작성 됨
Q.
퇴사시에는 연차 기준이 몰까요?
안녕하세요. 현해광노무사입니다.퇴사시에는 별도로 입사일을 기준으로 다시 산정하되 적어도 입사일을 기준으로 산정한 연차 일수보다는 부족하지 않도록 지급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최소한 입사일을 기준으로 한 연차휴가일수는 보장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21년 12월 17일 작성 됨
Q.
퇴직금 지급기준이 되는 날이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현해광노무사입니다.일용직이라 하더라도 상시적으로 근무를 하였다면 최초 입사일인 5월 24일을 기준으로 퇴직금을 산정하여 지급하여야 합니다.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21년 12월 17일 작성 됨
Q.
신입사원은 연가가 없는건가요? 있다면 며칠이죠?
안녕하세요. 현해광노무사입니다.근속기간 1년 미만 기간동안에는 1개월 만근시 1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하며 그 이후에는 연단위 출근율에 따른 연차휴가가 부여됩니다. 2년에 1일씩 가산되며 최대 25일까지 발생합니다.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206
207
208
209
2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