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절지동물에는 개미나 거미같은 곤충도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절지동물에는 개미와 같은 곤충도 포함되며, 거미도 곤충은 아니지만 포함됩니다.절지동물은 동물종의 약 75%를 차지하는 매우 다양한 동물군으로 외골격을 가지고 몸이 마디로 나누어져 있는 동물들을 말합니다. 곤충, 거미, 갑각류등이 포함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혀에서 느껴지는 미각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혀에서는 단맛,짠맛,신맛,쓴맛,감칠맛 그리고 최근에 추가된 지방맛 을 느낄 수 있습니다.매운맛 떫은맛은 미각이 아닌 촉각이지만 음식을 먹을 때 더 다양한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러브버그와 같은 벌레들은 방역이 어려운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러브버그 대량발생은 비교적 최근(몇년 전)에 발생하고 있는 일입니다.많은 피해를 주는 해충이었다면 빠르게 방역을 진행했겠지만,러브버그가 대량발생하여 불편함을 주는 것 외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점에방역의 방식에 고민을 하고 있는듯 합니다.살충제를 살포하여 일부 방역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런 방식으로 진행하는 방역은 한계가 있고이후 살충제에 내성을 가진 개체가 대량으로 등장할 수도 있습니다.또 러브버그의 수가 갑자기 많이 줄게되면 다른 벌레의 수가 급격히 늘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러브버그도 썩은 유기물을 분해하며 다른 생물의 먹이가 되므로방역 전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합니다.하지만 불편함이 오래 지속된다면 분명 문제가 될 것이므로러브버그 대량발생의 원인을 빠르게 분석하고 체계적인 방역 대책을 세워 진행해야할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모기는 세상에 백해무익 한 곤충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모기는 많은 피해를 주지만 그래도 몇가지 장점을 가집니다.모기는 잘 번식하기 때문에 다양한 생물의 먹이가 됩니다.새,박쥐,개구리,거미,잠자리 등 모기를 주식으로 하는 많은 동물이 있습니다.특히 모기유충인 장구벌레는 많은 수중생물의 먹이가됩니다.모기가 모두 사라지면 모기를 주식으로 하던 생물들은 멸종하거나 개체수가 감소할 것입니다.특정 모기들은 카카오 꽃의 수분매개자 역할을 합니다.모기의 입 구조를 모방해서 통증이 적은 무통주사바늘을 개발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간상세포와 원추세포의 역할은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간상세포의 경우 빛의 밝음과 어둠을 구별하며 약한 빛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주변을 볼 수 있게 합니다.원추세포는 빛의 색을 구별하는 세포입니다.원추세포는 빨강 초록 파랑에 반응 하는 세가지 종류가 있으며빛의 파장에 따라 각 원추세포의 반응 정도가 다르며 반응하는 비율에 따라 뇌에서 다양한 색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극피동물은 해양생물만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극피동물에는 해삼, 성게, 불가사리 등이 있습니다.극피동물은 삼투조절능력이 거의 없어서 모두 해양에서 서식하는 생물만 있습니다.육지나 민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해양환경에서는 조간대부터 심해까지 다양한 곳에 서식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나무의 뿌리는 어떤일을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의 뿌리는 비나 바람에 넘어지지 않도록 식물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고, 흙의 양분과 물을 흡수합니다. 기생식물의 경우 다른 식물에 뿌리를 고정하여 양분을 흡수하기도 합니다.또 특정 식물들은 뿌리에 양분을 많이 저장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0일 작성 됨
Q.
광견병에 걸린면 왜 물을 무서워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광견병은 광견병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걸리게되는 질병으로 보통 침을 통해 감염되며감염된 동물에게 물려 침같은 타액이 몸에 들어와 감염됩니다.광견병 바이러스는 신경세포에 특이적으로 감염되어 여러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납니다.특히 사람의 경우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음식을 삼키는데 사용되는 연하 근육에 통증과 경련이 발생합니다.그래서 물을 삼키면 엄청난 고통을 받고 삼키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게되며 물 자체에 대한 공포가 유발됩니다. 이런 상태는 광견병 바이러스가 이미 중추 신경계까지 침입한 상황이기 때문에 생존률이 매우 낮습니다.광견병 바이러스는 신경세포를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중추신경계까지 도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그래서 물림사고로 광견병 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바로 병원을 찾아가 광견병 백신을 접종받으면 바이러스가 중추신경계에 도달하기 전에 항체를 생성할 수 있어서 회복이 가능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0일 작성 됨
Q.
새의부리는 부러지면 다시자라나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새의 부리는 두개골에 연결되어있지만 뼈와는 성분이 다르며 주로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이루어져있습니다.우리 몸에서 자라는 손톱 발톱 머리카락 등이 케라틴으로 이루어져있는데요.부리도 이처럼 조금씩 자랍니다.그래서 부리의 일부분이 손상될경우 회복이 가능하지만너무 많은 부분이 손상될 경우 자연 회복이 어렵습니다.특히 야생에서는 먹이활동을 할 수 없게되므로 생존이 거의 불가능합니다.수리나 솔개가 일부러 부리를 깨고 새 부리를 얻는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거짓입니다.그래서 부리가 심하게 부러진 새에게 3D프린터로 제작한 인공부리나 합성수지 혹은 티타늄으로 제작한 인공부리를 장착해주는 치료를 해주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0일 작성 됨
Q.
자르면 계속해서 분열하여 생존하는 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실존하는 생물중에 자를경우 자른 부분이 모두 개체가 되는 가장 유명한 생물은 플라나리아 입니다.환경조건만 좋다면 잘라도 자른 부분들이 재생하여 각각 하나의 개체가 됩니다.재생능력이 무척 뛰어나 꽤 많은 조각으로 잘라도 잘린 조각들이 각각의 개체로 재생합니다.(물론 회복을 위해 시간이 필요합니다.)
101
102
103
104
1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