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주름진 피부를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게 현대 기술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보톡스나 외과적 시술을 통해 주름을 지연시킬수는 있지만 현재 주름진 피부를 근본적으로 젊은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은 개발되지 않았습니다.현대에도 노화에 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러브버그는 외래종인가요? 해충은 아닌가요?
안녕하세요.러브버그는 비교적 최근에 미기록종으로 등록되었기 때문에 해외에서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정확한 유입경로는 알 수 없지만 보통 배를 통해 많은 생물이 유입되므로 인천항을 통해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아마 유입은 더 오래전에 되었겠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대량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수가 많아서 징그러워 보이지만, 물지 않고 독도 없어서 해충은 아니라고 합니다.썩은 식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오히려 생태계에 득이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보통 유충으로 1년정도 살고 성충이되어 1주일정도 생존하며 짝짓기를 하고 죽기 때문에 이런 대량 발생은 1~2주 정도 지속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깜짝 놀랄 때 소름(닭살)이 돋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무서운 영화를 보거나 깜짝 놀라게 되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됩니다.이는 생명에 위협을 느낄 때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교감신경이 작동하면 털 주위의 미세근육이 수축하게됩니다.이렇게되면 털주위의 피부가 솟아올라 소름이 돋게되고, 털도 바짝 서게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공룡은 실제 존재한 동물이 맞나요?????
안녕하세요.공룡의 외형이 바뀌는 이유는 공룡의 화석이 대부분 뼈 화석만이 남아 외형을 정확히 추측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뼈만을 가지고 생물의 피부질감, 피부형태, 피부색, 근육구조 등을 재현하기 힘듭니다.다만 뼈화석이 계속 발견되므로 공룡은 실존했던 생물이 맞습니다.예를 들면 현대의 동물들도 골격만을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외형을 유추하기 힘듭니다.예를들어 하마의 골격만을 보면 매우 거대한 송곳니를 가져하마처럼 통통한 모습을 상상하기 힘들고 특히 초식동물이라는 생각을 하기도 힘듭니다.화석이 대부분 뼈이기 때문에 원래의 외형은 현재 존재하는 생물의 외형을 참고해서 만들게 됩니다.그러다 외형을 유추할 수 있는 새로운 증거가 발견되거나 새로운 이론이 밝혀지면 기존의 외형이 수정되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의 마음음 뇌에 있나요 심장부근에 있나요??
안녕하세요.고대에는 사람이 감정을 느낄 때 심장이 빨리 뛰어 심장에 마음이 있다고 생각했지만, 현대 과학에서 사람의 마음은 뇌에 있다고 봅니다.마음이나 정신의 정확한 기원과 위치는 아직 완전히 알 수 없지만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하거나 생각을 할 때 뇌에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변화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이런 관점에서 다른 장기가 모두 정상이라도뇌사판정을 받으면 사망한 것으로 판단하여 장기기증 등의 선택을 할 수 잇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러브버그? 얘네는 왜 두 마리가 이렇게 붙어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러브버그는 성충은 짝짓기를 목적으로 나타납니다.러브버그의 원래 이름은 붉은등우단털파리인데짝짓기를 하면서 계속 붙어있는 모습을 보고 러브버그라는 별칭이 붙게되었습니다.짝짓기 후에 다른 수컷과 교미하지 않도록 며칠동안 붙어있게됩니다.붙어있는 쪽 중 작은 개체가 수컷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최근들어 러브버그가 기승을 부리나요?
안녕하세요.약 2년 전쯤부터 이맘때 쯤 수도권을 중심으로 러브버그가 대규모로 발생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습니다.최근에 이렇게 대규모로 발생하는 원인은 기후변화와 산림파괴가 지목되고 있습니다.고온 다습한 환경이 러브버그 유충이 성충으로 자라는데 좋은 조건입니다.요즘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이 시기가 러브버그들의 번식기이기 때문입니다.성충의 수명은 일주일 내외이며 이동안 짝짓기를 하게됩니다.성충의 수명이 짧아 보통 1~2주 내에 다시 개체가 줄어들 것으로 생각됩니다.기후변화로인해 러브버그 말고도 하루살이, 대벌레 등이 대규모로 발생하는 현상도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무에 빨간찐득찐득한 무언가(?)생겼는데 봐주세요
안녕하세요.나무에서 흘러나온 수액이 굳은 것 같습니다.보통 곤충이 갉아먹어서 상처가 난 부분에서 수액이 흘러나옵니다. 수액은 상처가 난 부분에 세균이나 다른 벌레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맺혀있는 수액은 그냥 두는게 좋습니다.살충제를 사용해서 벌레를 죽이거나 쫒아낼 수 있으며,이미 상처가 난 부분에 수액을 먹는 곤충이나, 곰팡이 감염이 없는지 살펴야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카멜레온의 경우 피부가 어떻게 되어 있길래, 주변색으로 변환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카멜레온 피부에는 나노사이즈의 결정이 격자무늬를 형성하고 있습니다.이 결정은 빛을 반사합니다. 이런 빛을 반사하는 층이 2개가 있습니다.카멜레온은 피부에 연결된 특수한 근육으로 피부를 늘리거나 줄이면서 이 격자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데,이 격자의 간격에 따라 피부색이 바뀝니다.이는 나노구조의 격자의 간격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된다고 합니다.이렇게 특정 색의 색소 없이도 나노구조에 의해 특정 색이 발현되는 경우는 다른 생물에게서도 관찰됩니다.새들이 가지고있는 푸른색 대부분은 깃털의 미세한 나노구조에 의해 나타납니다.실제로 깃털에 파란색 색소가 없는데도 푸른빛이 나게됩니다.이런 원리를 활용해서 나노구조를 바꾸어 색을 발현하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고 더 연구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꿀벌이 멸종하면 왜 생태계가 파괴되나요?
안녕하세요.꿀벌은 대표적인 꽃가루매개자입니다.많은 식물들이 꿀벌을 통해 꽃가루를 매개하여 수분하고 번식합니다.그래서 꿀벌의 멸종은 주로 꿀벌을 이용해 수분하는 많은 식물종들의 멸종을 불러오고 이것이 연쇄적으로 다른 생물들에게 위협이되며 생태계에 혼란을 일으킵니다.특히 인간이 먹는 작물중 70%정도가 꿀벌이 꽃가루를 매개하여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래서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은 직접적인 식량난을 겪계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