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바퀴벌레나 모기가 계피향을 실제로 싫어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계피는 육계나무의 가지의 속껍질을 벗겨 말린 것으로 여기에는 신남알데하이드라는 성분이 많이 들어있습니다.이것은 계피향을 내는 물질로 육계나무가 여러 곤충들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물질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어느정도 살충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향이 나는 곳은 곤충의 접근이 줄어들게 됩니다.계피나뭇가지는 살충제 만큼은 아니지만 모기같은 해충을 쫒는데 도움이 됩니다.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가을에 단풍이 지는 것은 이 엽록소가 변해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 잎에는 엽록소 외에도 붉은색, 노란색, 갈색을 띠는 여러 보조색소들이 있습니다.가을이 되면서 식물이 겨울을 날 준비를 하면서 잎의 활동을 제어하며 이로인해 엽록소가 파괴되고 분해됩니다.이 과정에서 엽록소가 띠던 녹색이 사라지면서, 그동안 가려져 있던 붉은색, 노란색 등의 색을 띠는 안토시아닌, 카로티노이드 등의 색이 드러나 단풍이 들게됩니다.
2024년 7월 22일 작성 됨
Q.
알비노로 태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백색증은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지 못하게 되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멜라닌 색소를 만들 수 없어 멜라닌 색소에 의해 색이 나타나는 모든 부분에서 색이 나타나지 않습니다.이들의 시력이 나쁜 이유는 안구에도 멜라닌 색소가 많은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홍채에도 멜라닌 색소가 없기 때문에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 조절이 어렵고, 사람의 안구 안쪽에는 검정색으로 안구 내부를 암실처럼 유지해주는 맥락막이 있는데 이곳에도 색소가 없기에 안구 내에서 빛이 분산되는 정도가 심하여 결과적으로 눈부심이 심해집니다.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잘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빛에 의해 망막의 시세포가 손상되기 쉬우며 시력감퇴 같은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2024년 7월 22일 작성 됨
Q.
핵전쟁이 일어나도 사라지지 않는 곤충이 바퀴벌레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예전에는 집에서 많이 볼수 있었는데요. 요즘은 집에서 개미 바퀴벌레를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어디갔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요즘에도 많은 집에서 바퀴벌레와 개미는 여전히 발견되고 있습니다. 집에서 잘 볼 수 없는 이유는 살충제의 성능향상과 같은 여러 방역방법의 발달로 이들을 퇴치하는 방법이 많이 개선되었고 위생수준과 인식이 향상된 것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또한 곤충의 유입이 비교적 잦은 1~2층정도의 저층 주택과 주변에 산지가 있는 건물의 경우 이들을 발견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고층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고층에서는 저층보다 이들을 더 발견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2024년 7월 22일 작성 됨
Q.
gmo와 lmo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유전자를 변형하여 만든 모든 생물과 그 생물로 만든 물질들을 GMO로 통틀어 불러왔지만 살아있고 번식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생물은 자연에 해당 유전자가 유출되어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는 점에 더 주의를 요한다는 점에서 LMO(Living Modified Organisms)로 이름 붙여 살아있는 것을 강조해 따로 분류한 것 입니다.GMO LMO 둘 다 유전자 변형과 관련이 있지만, GMO는 죽거나 번식할 수 없는 유전자 변형 생물들도 포함하는 반면, LMO는 살아서 번식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생물들만을 구분해서 만든 그룹의 이름입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