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팔이 달린 물고기가 있다고 하던데 이런 물고기가 많나요?
안녕하세요팔이달린 물고기는 지느러미가 특이하게 발달해 이를 팔처럼 사용해서 바닥을 기어다닐 수 있습니다. 호주에서 발견된 레드핸드피쉬는 멸종위기종이며, 이외에 지느러미를 팔처럼 사용하는 어류로 심해에 사는 아귀의 몇몇 종들과 갯벌에서 발견돠는 망둑어과의 물고기들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달맞이꽃은 진짜 밤에만 피는꽃인가요?
안녕하세요.달맞이 꽃은 유전적으로 햇빛이 많은 환경에서 꽃을 피울 수 없습니다.그래서 밤에 꽃이 피어나며, 흐려서 햇빛이 적은 날에도 꽃을 피우기도 합니다.달맞이꽃이 주로 밤에 꽃을 피워 수분매개 곤충으로 나방이나 박각시를 활용합니다.낮동안 다른꽃들과 수분매개곤충에 대한 경쟁을 할 필요가 없어 이 점에서 유리합니다.낮달맞이꽃은 달맞이꽃의 아종으로 낮에 꽃을 피웁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중간엽 줄기세포가 어떻게 텔로미어를 연장시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중간엽줄기세포의 텔로미어 연장은 텔로머레이스의 작용에 의해 일어납니다.텔로머레이스는 RNA와 단백질이 결합된 효소로 일종의 역전사효소로 작용하여 텔로미어를 신장합니다.분화가 끝난 세포의 경우 텔로머레이스의 활성과 발현이 떨어집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입과 항문이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는 동물들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발생단계에서 해면동물은 포배기 상태에서 발생단계가 끝나며 매우 단순한 구조를 가집니다. 스펀지같은 작은 입수공들과 커다란 출수공을 가지는데 물의 이동이 방향성은 있지만, 해면동물은 근육,신경계,소화계,배설계가 따로 분화하지 않기 때문에 입과 항문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잇습니다. 자포동물의 경우 발생과정중 낭배기에서 발생단계가 끝나며 낭배기에서 말려들어간 구조가 내배엽이되며 이 공간이 장이됩니다. 그래서 한개의 구멍만 가지고, 그곳으로 먹이를 먹고 찌꺼기를 배출합니다. 히드라 말미잘 산호 해파리 등이 속합니다.편형동물부터 삼배엽성 동물이지만 체강이 없고 대부분 항문을 가지지 않습니다. 플라나리아와 여러 기생충들이 속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몸을 이루는 우주 작은 단위 세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모든 생명체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세포 하나로 이루어진 단세포 생물부터, 수많은 세포로 이루어진 다세포 생물까지 다양한 조합을 이룹니다.우리몸을 이루는 생명의 가장 작은 단위를 세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뼈는 왜 잘안썩고 오래되어도 발굴이 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몸의 다른 부분과 다르게 뼈는 주로 칼슘과 인산염 같은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뼈는 몸에서 가당 단단한 조직이며 뼈의 유기질 부분이 분해되어도 무기질 구조가 오래 남아있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베르그만의 법칙은 무엇인가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베르그만 법칙은 추운 기후에 서식하는 항온동물일수록 몸집이 커지는 경향을 가진다는 법칙입니다.(같은 종일 때)추운 기후에 서식하는 항온동물 일수록 몸의 말단부위가 작아지는 경향을 가진다는 알렌의 법칙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는 추운 기후에서 부피대비 표면적을 최소화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입니다.예시로 사막여우는 몸집이 작고 귀가 큰데 북극여우는 몸집이 비교적 크고 귀가 작습니다.또 극지방 곰들과 열대지방의 곰의 체형 차이도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이가 들면 왜 몸에서 냄새가 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나이가 들어가면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신진대사가 느려지고, 노폐물 배출이 점점 힘들어집니다.주로 노넨알데하이드라는 물질이 냄새를 유발하는데, 이것이 잘 배출되지 못하고 피지샘에 쌓이면서 냄새가 나기 시작합니다.술 담배를 하면 더 심해진다고 하며, 자주 꼼꼼하게 씻고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냄새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달팽이들의 경우 암수 구분을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달팽이는 암수 구분이 없고 한 몸에 암수 생식기를 모두 가진 자웅동체생물입니다.그래서 한 마리가 정자를 제공할 수도 있고 알을 낳을 수도 있습니다.다만 혼자서 자가생식을 하지는 않고 두 개체가 만나서 각각 수컷과 암컷 역할을 맡아 유성생식을 합니다.짝짓기 후 암컷을 맡은 달팽이가 알을 낳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무 줄기는 광합성을 못하나요???
안녕하세요.나무의 가지가 나서 두꺼운 껍질이 생성되기 전 1년정도는 코르크세포가 살아있고 엽록체도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죽은 코르크 조직이 나무 껍질이 되고 두껍게 기둥(줄기)을 감싸며 광합성을 할 수 없게됩니다.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