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일 유전자 조작은 문제가 없는걸까요?
안녕하세요.많은 과일과 채소의 경우 오랜기간 품종개량을 통해 현재 우리가 먹는 형태가 되었습니다.이것 역시 특정 유전자만 계속 전달되도록 인공적으로 교배를 시킨 결과인데요.수박 바나나 당근 옥수수 등 대부분의 작물은 이들의 초기 형태와 매우 다릅니다. 혹은 유채나 겨자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방울양배추 케일 콜라비 양배추가 모두 한 야생겨자에서 파생된 채소들이라는 점도 인공적인 유전자 조작(품종개량)으로 볼 수 있습니다.그리고 직접 유전자를 유전자가위로 자른 후 다른 유전자를 삽입하는 경우는 주로 콩,옥수수,면화,카놀라 등에 시행되고있습니다. 이미 두부에 들어가는 콩, 주변의 옥수수 등의 작물에 적용되어 먹고있습니다. 또 여러 종류의 귤(한라봉, 천혜향,레드향), 포도(샤인머스켓, 거봉), 딸기(설향,매향 등), 여러종의 사과 와 같은 과일도 인공적으로 교배를 진행햐여 만든 종입니다.사실 우리가 현재 먹는 대부분의 식물성 음식들은 사람이 유전자를 인공적으로 바꾸지 않은 것을 찾기가 더 어렵습니다.이런 방법으로 생산량 증가나 맛과 영양소의 다양화라는 관점에서 식량문제와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유전자 조작이라는 말이 우리에게 거부감을 주기는 하지만, 사실 방식의 차이일 뿐 오래전 부터 진행되어 사람들이 섭취하면서 안정성은 어느정도 검증되었다고 봅니다. 또 드물게 자연적으로 일어나기도 합니다.소화과정에서 유전자도 모두 분해되어 정보를 잃고, 다른 영양소도 기본형으로 몸에 흡수되기 때문에 건강에 크게 문제될 가능성은 적습니다. 알레르기나 독성이 생길수 있는데 이는 작물을 개발한 후 안정성을 검증하는 단계에서 걸러집니다.유전자 변형 생물은 사람이 먹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보다는 변형 유전자가 야생으로 유출되었을 때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합니다.예를들면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작물이, 주변의 유연종과 교배하여 새로운 잡초가 생기면, 제초제에도 죽지않는 잡초가 생길 수 있습니다.
Q. 후천적으로 발달한 것도 유전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후천적으로 얻게 된 형질은 일반적으로 유전되지 않습니다.생식세포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이 아니라면, 체세포에 변화된 유전자는 생식세포에 전달되지 않습니다.체세포와 생식세포는 바이스만장벽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습니다.운동 선수들의 자녀들의 운동신경이 뛰어난 것은, 운동 선수인 부모들의 선천적인 골격과 근육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물려받은 것이 영향을 줄 수 있고, 또 그들 주변의 환경이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데, 부모와 비슷한 환경(운동신경 발달에 도움이되는)에서 생활할 것 이므로 운동에 도움이 되는 유전자 발현이 활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지 않는 유전자는 억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운동량, 먹는 음식, 생활주기 등 다양한 환경요소가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