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참다랑어는 죽을 때까지 쉬지않고 헤엄친다?
안녕하세요.물고기의 아가미는 계속 새로운 물이 통과해야 산소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경골어류는 대부분 아가미근육이 발달하여 정지상태에서 아가미를 개폐하며 숨을 쉴 수 있습니다.다랑어의 경우 경골어류이지만 아가미 근육이 발달하지 않아서 직접 물을 끌어당길 수 없기 때문에 아가미에 물이 계속 지나가게 하기위해서 입을 벌리고 앞으로 헤엄쳐야합니다.대형상어류도 이런식으로 호흡하기 떄문에 끈임없이 헤엄쳐야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하루살이가 입이 없다는데 어떤 식으로 생존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하루살이 성충은 입이 없어서 먹이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몸에 저장된 양분으로만 활동합니다.때문에 일주일정도가 성충의 수명이며 그안에 짝짓기를 마치기위해 노력합니다.성충의 형태가 되는 것은 짝짓기만이 목적인 것입니다.종종 성충이 되는 곤충들은 입이 없거나 먹이를 먹지않는 경우가 있습니다.누에나방의 일부종도 입이 없고, 깔따구 성충도 입이 없습니다.이들이 성충 형태가 되면 짝짓기 이외의 활동을 하지 않으며 몸에 저장되었던 에너지가 소진되면 굶어 죽게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렁이에 암수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어요?
안녕하세요.지렁이는 암수가 한 몸인 자웅동체 생물입니다.그래서 한 개체가 정자를 생성할 수도 있고 알도 낳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자가수정을 하지는 않습니다.다른 지렁이와 만나서 짝짓기를 하며 짝짓기 후 일주일 정도가 지나면 노란색 알을 흙에 낳습니다. 알은 약 3주후에 부화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상어는 실제로 사람을 잡아먹을까요??
안녕하세요.영화와 달리 상어가 사람을 공격하는 사건은 매우 드물다고 합니다.종종 상어가 사람을 공격하기도 하지만 인간을 주된 먹이로 인식하여 공격한 경우는 드물다고 합니다.주로 물개로 착각하여 공격한다고 하며 인간은 선호되는 먹이는 아닌것으로 보입니다.(하지만 배가 많이 고프면 먹겠죠.)이런 공격성은 종마다 차이가 납니다.또한 먹이로 인식하지 않더라도 공격당하면 상당히 위험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모기는 숫컷은 피를 먹지않는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모기의 경우 암컷만 피를 빤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암컷 모기가 흡혈을 하는 이유는 알을 낳기 위해서 입니다.즉 산란기에 들어선 암컷 모기가 흡혈을 합니다.이는 알을 성숙시키기위해서 단백질과 철분이 많이 필요한데 이것이 피에 많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을 이루는 계는 종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분류체계에서 계의 경우 세균계, 고세균계, 원생생물계, 균계, 식물계, 동물계 의 6계 체제로 분류하고 있습니다.이런 분류체계는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더 세분화 될 수 있습니다.아메바는 현재 원생생물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바이러스의 경우 생명체로 보기에 애매한 부분이 많아 생물 분류에 속하지 않고 바이러스만 따루 분류하는 체계가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임상 실험을 쥐가지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임상시험은 의약품 개발 중 사람에게 진행하는 실험입니다.임상시험 전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것은 전임상시험이라고 합니다.전임상시험은 쥐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동물들이 활용됩니다.전임상시험에 활용되는 동물들은 이미 어느정도 실험에 적합하게 모델링이 되어있습니다.최근에는 동물실험 전 배양된 세포에 시험하는 단계를 거치기도 합니다. 영장류 대신 쥐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비용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입니다.침팬치와 오랑우탄이 쥐보다 사람과 유사하겠지만 개체수가 적어 실험허가가 나기 힘들며개체당 비용이 매우 비싸고 사육과 관리에 드는 비용또한 만만치 않습니다.수명이 길고 새끼의 숫자도 적어 실험결과를 얻는데도 오랜시간이 걸립니다.쥐는 사육관리가 쉽고 번식력이 강하며 개체간 차이가 크지않아 통계적 유의성 확보에 유리합니다.또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쥐(mouse) 이외에 포유류에 속하는 랫(큰쥐 : rat), 기니피그, 토끼, 개, 돼지, 소 등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미생물들에게도 뇌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뇌는 수많은 신경세포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장기입니다.그래서 단세포미생물의 경우 뇌를 가질 수 없습니다.하지만 다세포로 이루어진 작은 생물들은 여러개의 신경세포를 가지며 이것이 뇌의 기능을 합니다. 완보동물의 경우 아주 작지만 신경세포로 이루어진 뇌와 신경계를 갖습니다.연구가 많이 되고있는 예쁜꼬마선충도 신경세포를 가지며 예쁜꼬마선충은 신경세포의 수고 302개로 밝혀져 있고 각 뉴런이 연결된 지도도 완성되어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조개에서 진주는 어떻게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진주는 진주조개가 체내로 들어온 이물질을 제거하려는 과정에서 만들어집니다.진주조개의 체내에 이물질이 침투하면 진주조개가 그것을 몸에서 격리하기 위해 탄산칼슘이 표함된 단백질 층으로 덮습니다. 일종의 면역반응으로 볼 수 잇습니다.이물질을 진주층으로 덮은 후 이것을 다시 진주층으로 덮는 과정이 계속 반복되면서 진주의 크기가 점점 커지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닭이먼저다 계란이 먼저다 뭐가진짜 먼전가요??
안녕하세요.해당 문제는 꽤 오랜시간 논쟁이 된 문제입니다.이 문제가 어려운 이유는 닭과 닭의 조상의 경계가 어디인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2010년 영국의 한 연구팀은 유전자 분석으로 달걀의 딱딱한 껍데기를 만들 때 오보클레디딘-17이라는 단백질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혀냈고닭 이전의 조상은 이 유전자가 없어서 딱딱한 껍데기를 가진 알이 아닌 양막으로 된 알을 낳았을 것이며돌연변이로 오보클레디딘-17 유전자를 획득한 닭이 태어나 최초의 달걀을 낳았을 것이라고 합니다.즉 최초의 계란(단단한 껍데기를 가진)은 유전자가 바뀌어 오보클레디딘-17을 획득한 암탉만 낳을 수 있었고, 이 암탉은 계란에서 태어난 것이 아니므로 닭이 먼저라는 결론을 내었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