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고서 등에 출처 작성하는 법은 어떻게 적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참고문헌에는 저자, 제목, 발행기관, 발행연도, 논문번호 등,인용한 내용이 있는 페이지 번호 등 포함되어야 합니다. 인터넷 페이지의 경우 저자명, 게시일, 제목, 사이트명, URL을 포함하여 표기하면 됩니다.출처표기위치는 보통 3가지 입니다..각주 : 인용문장 끝부분에 번호를 표기하고, 같은장 페이지 하단에 번호와 참고문헌 정보를 작성합니다. 미주 : 인용 문장 끝에 번호를 표기하고, 보고서의 마지막 페이지에 번호와 참고자료 정보를 작성합니다.내주 : 인용 문장 끝에 ()괄호를 치고 저자와 출판연도를 표기/ 문서 마지막페이지에 참고문헌 정보 작성합니다.보고서 길이가 짧은 경우 미주 방식으로 보고서 마지막페이지에 참고자료 정보를 작성합니다.참고자료는 자료 유형이 굉장히 다양하고 표기방식은 자료 성격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해당하는 표기방식을 찾아서 꼼꼼히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교수님들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작성이 누락되면 공적 자료의 경우 나중에 저작권과 관련하여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Q. 높이가 높은 나무는 뿌리에서 나무꼭대기까지 어떻게 수분을 끌어올리나요?
안녕하세요.키가 큰 나무들은 다양한 힘을 활용해서 물을 꼭대기까지 끌어올립니다.나뭇잎의 증산작용으로 인해 물관의 압력이 낮아지고 물이 위쪽으로 끌려 올라갑니다.하지만 대기압의 한계 때문에 이런 끌어당기는 압력은 10m정도까지만 물을 올리수 있습니다.그래서 다른 힘이 필요한데,뿌리에서 물을 계속 흡수하여 물을 위로 밀어올리는 뿌리압을 사용하고,아주 가는 물관의 형태로 모세관 현상을 유도합니다.하지만 이 힘들도 100m가 넘는 나무가 물을 끌어올리는 것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나무의 높은 곳까지 물을 올릴 수 있는 힘은 물분자간의 인력입니다.물분자는 수소결합이라고 불리는 비교적 강한 인력을 가지는데요.위로 끌려올라간 물분자가 밖으로 나가면서 뒤의 물분자를 끌어당기고, 뒤의 물분자가 그 뒤의 물분자를 끌어올리면서 뒤로 계속 반복되어 최종적으로 음압이 발생합니다.그래서 1기압의 조건에서도 더 높게 물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Q. 곤충 중에 완전 변태가 아닌 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은 무엇있나요?
안녕하세요.번데기과정 없이 애벌레 단계부터 계속 허물을 벗으며 성충이되는 과정을 불완전변태라고 하는데요.사실 번데기를 거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의 종이 비교적 소수이고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을 제외하면 모든 절지동물은 불완전변태를 합니다.대표적으로는 노린재, 매미, 메뚜기, 잠자리, 바퀴벌레,사마귀 등이 있습니다.이런 곤충들의 초기 모습은 성체와 비슷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