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야생 토끼는 어디에서 잠을 자나요??
안녕하세요.토끼의 종류마다 생활방식은 다르지만, 보통 굴을 파서 생활하는 경우와 건초로 둥지를 만들어 자는 경우가 있습니다. 굴토끼의 경우 출구가 여러개인 굴을 만들어 침입자가 들어오면 다른 출구로 도망칩니다.토끼는 일반적으로 무리지어서 살고 굴이나 둥지에서 모여 잡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월드워z 보면서 궁금한게 생겼는데 숙주가 건강하지못하면 바이러스도 피해가나요?
안녕하세요.해당 좀비 영화에서 넣은 설정일 뿐 현실에서 바이러스가 숙주의 상태를 판단해서 감염하지 않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바이러스는 종류마다 특징적인 방법(공기, 음식물, 곤충, 체액 등)으로 전파되며 체내에 침투 후 기생 대상인 세포가 살아있으면 기계적으로 침투합니다.숙주가 건강하지 않으면 면역력도 약할 가능성이 높고 오히려 바이러스가 더 쉽게 침투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보고서 등에 출처 작성하는 법은 어떻게 적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참고문헌에는 저자, 제목, 발행기관, 발행연도, 논문번호 등,인용한 내용이 있는 페이지 번호 등 포함되어야 합니다. 인터넷 페이지의 경우 저자명, 게시일, 제목, 사이트명, URL을 포함하여 표기하면 됩니다.출처표기위치는 보통 3가지 입니다..각주 : 인용문장 끝부분에 번호를 표기하고, 같은장 페이지 하단에 번호와 참고문헌 정보를 작성합니다. 미주 : 인용 문장 끝에 번호를 표기하고, 보고서의 마지막 페이지에 번호와 참고자료 정보를 작성합니다.내주 : 인용 문장 끝에 ()괄호를 치고 저자와 출판연도를 표기/ 문서 마지막페이지에 참고문헌 정보 작성합니다.보고서 길이가 짧은 경우 미주 방식으로 보고서 마지막페이지에 참고자료 정보를 작성합니다.참고자료는 자료 유형이 굉장히 다양하고 표기방식은 자료 성격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해당하는 표기방식을 찾아서 꼼꼼히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교수님들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작성이 누락되면 공적 자료의 경우 나중에 저작권과 관련하여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코모도왕도마뱀은 뼈도 소화를 시키나요?
안녕하세요.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동물들은 보통 소화가 되지않는 뼈나 털은 나중에 다시 뱉어낼 수 있습니다.맹금류같은 조류나 뱀,도마뱀 같은 많은 파충류들이 먹이를 통째로 먹고 소화가 끝난 후 소화되지 않는 뼈와 털은 뭉쳐진 펠릿으로 만들어 입으로 다시 토해냅니다.코모도왕도마뱀도 소화되지 않은 뼈와 털 등은 펠릿으로 뭉쳐서 뱉어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은뿌리만살아있으면 언제든살아나나요
안녕하세요.식물은 세포분열이 활발한 생장점과 형성층을 가집니다. 식물마다 차이는 있지만 이런 분열조직들은 대체로 엄청난 재생능력을 가집니다.형성층은 주로 식물의 부피를 키우는 역할을 합니다. 형성층은 주로 물관과 체관, 그리고 내부 조직을 만들지만 다른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미분화된 세포들로 되어있어 특정 조직에 손상이 왔을 때 다른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식물에게 영양소와 물 등 생존에 필요한 조건만 갖춰지면 유실된 다른 조직을 다시 재생할 수 있습니다. 뿌리는 물을 흡수하고 영양소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어 식물에서 굉장히 중요한 조직입니다.재생을 위해 세포분열시켜 성장시키는데는 많은 물이 필요합니다.뿌리 없이는 물의 흡수가 힘들기 때문에 다른 부분보다는 뿌리가 살아남는게 좀 더 유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문어 내장에 있는 먹물의 용도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문어나 오징어가 가진 먹물은 바다속에서 포식자와 마주쳤을 때 포식자로부터 무사히 도망치기 위해 사용됩니다.오징어와 문어의 먹물은 조금 차이가 있는데, 오징어의 먹물은 점성이 높고, 문어는 점성이 없습니다.오징어 먹물은 점성 때문에 일정시간 분산되지 않는데, 포식자가 분사된 먹물에 관심을 가지도록 속여 그사이 자신은 도망갑니다.문어의 경우 먹물을 뿜으면 바로 분산되어 연막같은 역할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몸에 칼로 베이거나 상처가 생기면 피가 나옵니다. 그리고 나서 피딱지가 생기죠.
안녕하세요.출혈은 생명유지에 위협이 될 수 있어, 혈액에는 다양한 출혈을 막는 기작이 있습니다.이런 지혈과정은 굉장히 복잡한 단계를 거쳐 진행됩니다.먼저 근처의 혈관이 수축하여 혈류량을 줄입니다. 그리고 혈액의 혈소판이 손상부위에 부착되고 혈소판 마개가 생성됩니다.이 다음 여러가지 혈액응고인자들이 활성화됩니다. 이 과정이 가장 복잡한 과정입니다. 혈액응고인자는 12종류가 있고 이들이 순차적으로 다른 인자를 활성화 시키면서최종적으로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활성, 트롬빈이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만들고피브린에 또 다른 응고인자가 작용해 안정화된 그물망 구조를 만들고 혈병이 생성됩니다. 혈액응고 기작이 이렇게 복잡한 이유는 출혈부위가 아닌 곳에서 피가 굳으면 몸에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합니다.혈관에서 피가 굳어 혈전이 생기면 혈관을 막아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같은 심각한 질환을 일으킵니다.복잡한 응고인자들의 관여는 출혈이 있을때만 피를 굳게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화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화석은 고생물의 유해나 흔적이 여러 형태로 남아있는 것을 말합니다.생물체나 생물체의 유해가 퇴적물에 묻히고, 유해는 썩고 비교적 단단한 부분이 남게됩니다.뼈나 껍데기같은 단단한 부분도 시간이지나면서 삭게 되는데 이 공간에 광물이 스며들면서 뼈의 모양대로 굳어 형태를 유지합니다.주물틀에 액체 금속을 넣어서 형태를 뜨는 방식과 비슷합니다.발자국이나 피부 무늬같이 눌려서 생긴 흔적이 화석으로 남기도 합니다.화석이 되기 위해선 생물체에게 비교적 단단한 부분이 있어야하고, 유해가 모두 썩기전에 빠르게 묻혀 보존되고, 뼈가 광물화 되어야합니다.그리고 지각변동을 받지 않아 보존되어야 발견됩니다.이 외에 호박내부에서 보존된 곤충이 그대로 화석이되거나, 극지방 근처에서 저온이 유지되어 유해가 그대로 보존되는 특수한 경우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높이가 높은 나무는 뿌리에서 나무꼭대기까지 어떻게 수분을 끌어올리나요?
안녕하세요.키가 큰 나무들은 다양한 힘을 활용해서 물을 꼭대기까지 끌어올립니다.나뭇잎의 증산작용으로 인해 물관의 압력이 낮아지고 물이 위쪽으로 끌려 올라갑니다.하지만 대기압의 한계 때문에 이런 끌어당기는 압력은 10m정도까지만 물을 올리수 있습니다.그래서 다른 힘이 필요한데,뿌리에서 물을 계속 흡수하여 물을 위로 밀어올리는 뿌리압을 사용하고,아주 가는 물관의 형태로 모세관 현상을 유도합니다.하지만 이 힘들도 100m가 넘는 나무가 물을 끌어올리는 것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나무의 높은 곳까지 물을 올릴 수 있는 힘은 물분자간의 인력입니다.물분자는 수소결합이라고 불리는 비교적 강한 인력을 가지는데요.위로 끌려올라간 물분자가 밖으로 나가면서 뒤의 물분자를 끌어당기고, 뒤의 물분자가 그 뒤의 물분자를 끌어올리면서 뒤로 계속 반복되어 최종적으로 음압이 발생합니다.그래서 1기압의 조건에서도 더 높게 물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곤충 중에 완전 변태가 아닌 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은 무엇있나요?
안녕하세요.번데기과정 없이 애벌레 단계부터 계속 허물을 벗으며 성충이되는 과정을 불완전변태라고 하는데요.사실 번데기를 거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의 종이 비교적 소수이고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을 제외하면 모든 절지동물은 불완전변태를 합니다.대표적으로는 노린재, 매미, 메뚜기, 잠자리, 바퀴벌레,사마귀 등이 있습니다.이런 곤충들의 초기 모습은 성체와 비슷합니다.
1361371381391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