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Q.  흙에는 어떠한 영향성분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은 생존에 필요한 당과 같은 영양분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 뿌리로 흡수한 물을 재료로 빛을 이용하여 스스로 합성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광합성 결과물만으로는 필요한 영양분을 모두 획득할 수 없습니다.그래서 필요한 다양한 성분들을 흙에서 흡수하기도 합니다. 흙에서는 주로 물을 흡수하는데 물을 흡수하면서 다른 영양분을 함께 흡수합니다.흙에는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영양분 보다는 식물에게 필요한 다양한 무기염류 등을 흡수합니다.흙에서 질소, 인, 칼륨, 황, 칼슘, 마그네슘 등의 원소를 이온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흡수합니다.그외에 소량이지만 필요한 철, 아연, 망간, 구리, 붕소, 염소, 몰리브덴을 다양한 형태로 흡수합니다. 이런 원소들은 식물이 여러 기능을 원활히 하고 정상적으로 생장하는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Q.  대부분의 식물이 초록색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이 광합성을 사용할 때 주로 사용하는 색소가 녹색을 띠기 때문입니다. 식물은 엽록체 내에 엽록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광합성을 수행합니다. 식물은 엽록소 a, 엽록소 b, 카로틴, 잔토필 등의 다양한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중 엽록소 a와 엽록소 b가 광합성에서 주된 색소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엽록소a는 400~450nm 파장의 빛을 잘 흡수하고 엽록소b는 600~650nm 파장의 빛을 잘 흡수합니다.그밖의 파장의 빛은 대부분 반사하며 이 빛의 색은 녹색을 띱니다. 특히 식물에서 잎은 광합성을 하기위한 부분으로 세포 내에 엽록체를 많이 가지며 엽록체에는 광합성색소인 엽록소가 매우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식물은 주로 녹색을 띠는 부분이 많습니다.
Q.  DNA와 RNA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DNA와 RNA는 둘 다 염기-당-인산으로 구성된 뉴클레오타이드를 단위체로 하는 유전물질입니다.DNA는 아데닌, 구아닌, 사이토신, 티민 4종의 염기를 가지며RNA는 아데닌, 구아닌, 사이토신과 우라실로 구성된 4종의 염기를 가집니다.당부분은 DNA는 디옥시리보오스, RNA는 리보오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DNA는 뉴클레오타이드가 이어져있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2가닥으로 구성되어 서로 상보적 결합을 하여 이중나선 구조를 가집니다. RNA의 경우 폴리뉴클레오타이드 한 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구조로 인해 DNA는 RNA보다 더 안정적이며 비교적 잘 변형되지 않습니다. 세포로 구성된 생물들은 유전 물질로 DNA를 사용합니다.세포내에서 RNA는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RNA는 DNA로 암호화되어있는 유전형질을 전사해 단백질로 번역하는 과정의 전달체로 사용되기도 하고 유전물질을 자르는 등의 효소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단백질 번역시 아미노산을 운반하는 운반체 등의 기능을 할 수도 있습니다.바이러스의 경우 DNA를 유전물질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RNA를 유전물질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Q.  인간이 살아가면서 유전자가 바뀔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인간도 살아가면서 유전자가 다양한 이유에 의해 바뀌게 됩니다.자외선, X선, 바이러스 혹은 세포 복제시의 오류 등은 유전자를 변하게 하는 요소에 속합니다.세포내의 유전자는 변이가 일어나면 수정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완벽하지 않으며 변이된 후 그대로 남는 유전자도 존재하게 됩니다. 발생의 아주 초기에도 이러한 변이는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란성 쌍둥이라도 아주 약간의 유전적 차이를 가지고 태어나기도 합니다.생식세포에 발생하는 돌연변이는 원래 없던 형질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는 자손에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이는 진화를 일으키는 다양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물론 이런 돌연변이는 항상 좋은 특징만을 발생시키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종종 주어진 환경에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변이가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한 유전자는 시간이 지나 세대를 거치면서 집단 내에서 높은 비율로 존재하게 됩니다. 이런 차이점이 누적되면서 진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물론 존재하던 형질의 유전자가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발현될 수 없게 파괴될 수도 있습니다. 이 형질이 현재 주어진 환경에서 없어도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혹은 없는 것이 더 유리하다면 세대를 거듭하다 보면 이 유전자를 가지지 않는 개체의 비율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 역시 진화과정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빌라 입니다. 이 맘때쯤 계속 오는 커다란벌 이름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사진의 벌은 왕바다리(쌍살벌)로 추정됩니다. 왕바다리는 나방 유충과 같은 애벌레들을 주로 사냥해 먹습니다.벌집은 주로 건축물의 하부에 짓기 때문에 도심에서 관찰되기 쉽습니다. 군집은 다른 벌 종류에 비해 작은 편이며 여름에 가장 수가 많고 다양한 먹이를 사냥합니다. 특히 10~11월이 되면 짝짓기철이되며 짝짓기가 끝난 숫벌들이 죽기 때문에 죽은 개체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말벌에 비해서는 덜 공격적인 편입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