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Q.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의 형태학적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둘 다 구과목 소나무과 소나무속에 속하는 종입니다. 리기다소나무와 소나무의 가장 큰 차이는 소나무의 경우 갈라진 가지의 잎집에서 잎이 자라나지만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나무의 중심줄기에서도 솔잎이 자란다는 것 입니다.또한 소나무의 경우 잎이 2개씩 모여나고, 리기다소나무는 잎이 3개씩 모여납니다. 소나무는 수피가 붉은색을 띠지만 리기다소나무는 수피가 갈색에 가깝고 소나무에 비해 송진이 많이 나옵니다.리기다소나무는 소나무에 비해 가지가 옆으로 넓게 뻗지 않습니다.
Q.  비오는날에 화단에서 달팽이를 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달팽이는 알에서 태어날 때부터 껍질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다만 처음에는 달팽이의 크기만큼 작고 안이 비칠만큼 얇으며 단단하지 않습니다.달팽이가 알에서 나올 때 알껍질을 먹으면서 나오는데 알껍질에서 얻는 영양소로 껍질을 강화합니다.이후 껍질은 달팽이가 먹는 먹이에 포함된 칼슘과 단백질을 점액질로 공급받으며 크기가 커집니다. 껍질의 안쪽에는 달팽이의 주요 내장기관이 위치합니다. 달팽이 이지만 껍질이 없는 민달팽이는 껍질을 가진 달팽이와 다른 종들이며 껍질이 있는 달팽이들의 껍질이 있는 자리에 얇은 외투막 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Q.  정자형성 과정 중 정원세포 제1정모세포에 관해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것처럼정원세포 > 제1정모세포 되는 과정이 그냥 복제하는 과정을 뜻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정원세포는 일종의 줄기세포입니다. 계속해서 체세포 분열을 진행해서 수를 늘리고 제1정모세포를 공급합니다.정원세포가 체세포분열하여 충분한 정자를 생성할만큼 세포 수가 늘어나면 감수분열로 진행합니다.체세포 분열 중 세포질 분열까지 완료되면 두 개의 정원세포가 되고체세포 분열 중 세포질 분열을 진행하지 않고 감수분열로 진행될 세포는 제1정모세포라고 할 수 있습니다.정원세포 > 제1정모세포가 체세포 분열로 되어있는데이는 제1 정모세포가 되는 감수분열 준비단계가 체세포분열 주기에서 간기와 패턴이 같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체세포분열과 다른 점은 간기의 G2기가 없고 이후 감수분열 과정이 진행됨)
Q.  옥수수는 광합성을 어떤 과정을 통하여 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옥수수는 대표적인 C4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C4식물은 더 건조하고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광합성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에서 C4 식물에는 옥수수를 비롯해서 다양한 아열대 및 열대 식물이 속합니다. 옥수수, 사탕수수, 수수, 조, 강아지풀 등이 속합니다. C3식물은 지구상의 대부분의 식물이 속합니다. 벼(열대성이지만 C3), 밀, 보리, 떡갈나무, 참나무, 돼지풀 등이 속합니다.CAM식물은 사막과 같은 매우 건조하고 낮밤의 환경이 매우 다른 환경에서 서식하는 식물들입니다. 파인애플, 선인장, 돌나물 등이 속합니다. 이들은 주로 두꺼운 큐티클 층을 가지며 두꺼운 다육질 구조를 가집니다.
Q.  폰노이만 같은 슈퍼 천재가 자주 등장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지구에 인간만큼 높은 지능을 가진 종들이 없지만 그래도 각자 번성하고 있는 것처럼높은 지능은 생존하기위한 여러 수단 중 하나일 뿐 생존에 필수적이지는 않습니다. 높은 지능이 생존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집단내 모든 개체의 지능이 높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예를 들어 높은 지능을 가진 사람의 아이디어로 먼 미래의 집단의 생존을 높힐 수도 있겠지만,당장을 살아가는 데에는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든 둥글다고 생각하든 큰 차이가 없기 때문입니다.지능의 경우도 다양한 유전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규분포를 따르며 평균에 가까운 값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치합니다. 상위를 차지하는 사람의 비율은 매우 적습니다.높은 지능을 가진 사람이 더 자주 등장하려면 높은 지능이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여 지능의 평균값이 높아야 합니다.뇌는 몸에서 에너지를 매우 많이 소모하는 기관이며 높은 지능은 더 밀도높은 신경세포를 요구하고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합니다.인간이 높은 지능을 가지고 발전하여 생존할 수 있는 이유는 높은 지능을 유지할 수 있는 에너지원(열량)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뇌는 일반적으로 체중의 약2%를 차지하지만 하루 섭취하는 에너지의 25%를 소모합니다.진화과정에서 인류의 뇌의 발달은 불의 사용으로 음식을 익혀 먹어 더 쉽게 분해하여 많은 영양분을 얻을 수 있게 되어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그래서 어떤 환경에서는 높기보다 적당한 지능이 생존에 더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지능은 완전히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 같은 환경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그렇기에 아무리 뛰어난 유전자를 가지더라도 환경조건이 맞지 않는다면 높은 지능으로 발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로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발휘하여 집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드물게 천재가 나타난다 해도 혹은 나타나지 않더라도 서로의 협력으로 환경문제와 같은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