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세균 분류시 그람양성, 그람음성하는 것은 어떤 기준으로 나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세균은 작은 단세포 생물로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대부분 거의 투명하게 보입니다.그래서 현미경으로 세균을 관찰하기 위해 여러 시약으로 염색을 진행합니다. 이런 염색 방법 들 중 그람 염색법이 있습니다.크리스탈 바이올렛, 메틸바이올릿-요오드 등의 염기성 염료로 염색하고 탈색제를 사용해 탈색을 진행합니다.그람양성균의 경우 탈색을 진행해도 세포벽에 해당 염료들이 남아 머물러 보라색으로 염색됩니다.그람음성균의 경우 탈색을 진행하면 염료들이 빠져나가 탈색됩니다. 그람 음성균은 대조염색제인 사프라닌과 같은 염색제에 의해 붉게 염색됩니다. 이렇게 탈색제에 의해 염색약이 남아있는 유무가 다른 것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물질이 다르기 때문입니다.그람양성균은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이 많이 포함되어있습니다. 펩티도글리칸은 다당류로 이런 다당류는 크리스탈바이올렛에 염색된 후 탈색제를 처리해도 탈색되지 않고 보라색으로 보입니다.하지만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은 펩티도글리칸 함량이 거의 없고 지질이 포함된 다른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탈색처리하면 탈색됩니다. 이후 사프라닌 염색약을 추가하면, 그람양성균은 아직 남아있는 크리스탈바이올렛 염색제때문에 붉은색이 묻혀 그대로 보라색으로 보이며, 탈색된 그람 음성균은 사프라닌 염색약의 붉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그람염색법으로 이런 두가지 분류로 세균을 구분하는 이유는 이에 따라 세균의 세포벽 구성을 비롯한 여러 특성이 다르며 배양방식이나 살균하는 적합한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Q. 메니에르병은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메니에르병은 어지러움, 청력감소, 귀울림, 귀먹먹함의 증상이 갑작스럽게 반복적으로 생기는 질병입니다. 이는 달팽이관, 전정기관, 반고리관이 있는 내이에 이상이 생겨 발생합니다. 내이를 지나는 림프관에 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져 내림프관이 부어오르고 이 때문에 내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내이에 비정상적으로 많은 림프액이 생기는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보통 저염식 식단으로 조절하거나, 몇가지 약물로 증상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