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쵸 1키로를 먹고 먹은 즉시 몸무게를 재면 0.1키로의 오차도 없이 딱 나쵸 무게만큼 증가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나쵸 1kg을 아주 짧은 시간에 모두 섭취하고 이와 동시에 무게를 측정한다면 딱 나쵸 무게만큼 몸무게가 증가할 것입니다. 이것은 나쵸 1kg을 들고 몸무게를 재는 것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몸무게는 조금씩 감소합니다.몸에서 기본적으로 배출되는 땀과같은 요소를 제외하더라도, 나쵸는 소화과정에서 분해되면서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가 되며 이것들은 폐의 날숨으로 배출되거나 땀 소변 등으로 배출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과 임상 실험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임상시험은 신약 개발 중 동물실험을 통과한 후에 사람을 대상으로 약의 성능과 부작용 등을 테스트 하는 것입니다. 약을 시판하기에 앞서 이 약의 안정성과 효용성을 증명할 목적을 가집니다.생물학적 동등성 시험도 사람에게 시행된다는 점에서 임상시험의 종류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신약이 개발 된 후 해당 약과 동일한 성분과 함량을 가진 복제약이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이 경우 성분에 대해서는 검증이 되었지만, 생체이용률이 같은지는 알 수 없으므로 두 약이 동등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험입니다. 이미 성분에 대해서는 검증이 되었기 때문에 신약개발을 위한 임상시험보다는 절차가 간단합니다. 대조약과 시험약을 각 시험군에 투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혈액에서의 약물 농도를 분석하고, 이후 각 시험군에게 두 약물을 바꾸어 투여한 후 약물 농도를 다시 분석합니다.이것이 통계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보인다면 두 약물은 동등하다고 판단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미의 경우 땅속에서 몇년의 기간을 살다가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매미의 종마다 땅 속에서 자라는 기간이 다릅니다.우리나라에 사는 매미들은 5년정도를 땅 속에서 보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참매미, 말매미, 유지매미가 땅 속에서 5년을 보내고 성충이되어 지상으로 나옵니다.또 주기매미라는 특이한 매미가 있는데 이들은 종마다 5,7,13,17년의 정해진 소수 주기를 지켜 성충이 되어 땅속에서 나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퀴벌레나 모기가 계피향을 실제로 싫어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계피는 육계나무의 가지의 속껍질을 벗겨 말린 것으로 여기에는 신남알데하이드라는 성분이 많이 들어있습니다.이것은 계피향을 내는 물질로 육계나무가 여러 곤충들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물질입니다. 그래서 실제로 어느정도 살충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 향이 나는 곳은 곤충의 접근이 줄어들게 됩니다.계피나뭇가지는 살충제 만큼은 아니지만 모기같은 해충을 쫒는데 도움이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가을에 단풍이 지는 것은 이 엽록소가 변해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 잎에는 엽록소 외에도 붉은색, 노란색, 갈색을 띠는 여러 보조색소들이 있습니다.가을이 되면서 식물이 겨울을 날 준비를 하면서 잎의 활동을 제어하며 이로인해 엽록소가 파괴되고 분해됩니다.이 과정에서 엽록소가 띠던 녹색이 사라지면서, 그동안 가려져 있던 붉은색, 노란색 등의 색을 띠는 안토시아닌, 카로티노이드 등의 색이 드러나 단풍이 들게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알비노로 태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백색증은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지 못하게 되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멜라닌 색소를 만들 수 없어 멜라닌 색소에 의해 색이 나타나는 모든 부분에서 색이 나타나지 않습니다.이들의 시력이 나쁜 이유는 안구에도 멜라닌 색소가 많은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홍채에도 멜라닌 색소가 없기 때문에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 조절이 어렵고, 사람의 안구 안쪽에는 검정색으로 안구 내부를 암실처럼 유지해주는 맥락막이 있는데 이곳에도 색소가 없기에 안구 내에서 빛이 분산되는 정도가 심하여 결과적으로 눈부심이 심해집니다.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잘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빛에 의해 망막의 시세포가 손상되기 쉬우며 시력감퇴 같은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핵전쟁이 일어나도 사라지지 않는 곤충이 바퀴벌레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예전에는 집에서 많이 볼수 있었는데요. 요즘은 집에서 개미 바퀴벌레를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어디갔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요즘에도 많은 집에서 바퀴벌레와 개미는 여전히 발견되고 있습니다. 집에서 잘 볼 수 없는 이유는 살충제의 성능향상과 같은 여러 방역방법의 발달로 이들을 퇴치하는 방법이 많이 개선되었고 위생수준과 인식이 향상된 것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또한 곤충의 유입이 비교적 잦은 1~2층정도의 저층 주택과 주변에 산지가 있는 건물의 경우 이들을 발견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고층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고층에서는 저층보다 이들을 더 발견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gmo와 lmo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유전자를 변형하여 만든 모든 생물과 그 생물로 만든 물질들을 GMO로 통틀어 불러왔지만 살아있고 번식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생물은 자연에 해당 유전자가 유출되어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는 점에 더 주의를 요한다는 점에서 LMO(Living Modified Organisms)로 이름 붙여 살아있는 것을 강조해 따로 분류한 것 입니다.GMO LMO 둘 다 유전자 변형과 관련이 있지만, GMO는 죽거나 번식할 수 없는 유전자 변형 생물들도 포함하는 반면, LMO는 살아서 번식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생물들만을 구분해서 만든 그룹의 이름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퀴벌레가 도움이되는 점이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바퀴벌레는 집에서 발견할 경우 혐오스럽긴 하지만 사실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바퀴벌레는 죽은 동물이나, 썩은 식물 등의 유기물을 먹어서 분해하는 분해자의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바퀴벌레가 먹어서 소화시키는 만큼 이런 물질들이 빨리 사라지게 됩니다.그리고 이 소화과정의 산물로 식물들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여러 유기물질이 식물들이 흡수하기 쉬운 형태로 변하여 식물들이 잘 성장하게 됩니다. 또한 바퀴벌레는 많은 새나 파충류 등의 동물들의 먹이가 되므로 바퀴벌레가 사라지면 이를 주식으로 하던 동물들도 피해를 볼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현재 코로나는 일반 감기 수준으로 완전이 격하되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코로나19 바이러스는 처음 등장했을 때 매우 빠르게 전염되었고 중증화 비율과 치사율도 높은 바이러스 였습니다.하지만 빠른 돌연변이와 높은 전염성에 의해 바이러스의 성질이 더 빠르게 변하였고 현재는 처음처럼 심각한 증상을 보이지는 않습니다. 독성이 높은 바이러스는 숙주가 많이 죽어 전염이 잘 되지 않고, 독성이 낮아지는 돌연변이가 일어난 바이러스가 더 잘 전염되고 이 결과 바이러스는 점점 독성이 약해지는 방향으로 변합니다.하지만 코로나19가 일반 감기 수준으로 격하된 것은 아니며, 현재 감염자가 많이 줄어들었을 뿐 증상은 독감보다 더 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도 꾸준히 변이가 진행되고 있기에 마냥 안심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백신과 거리두기 그리고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로 현재는 마스크를 쓰지 않는 일상으로 돌아왔습니다.하지만 여전히 코로나 19 확진자는 종종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독감처럼 소규모지역에서 유행과 소강이 반복 될 수 있습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