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씨가 없는 수박은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씨없는 수박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유전자를 변형시킨 것은 아닙니다.일반적인 수박은 2n=22의 염색체 구성을 가집니다.이 수박은 감수분열하여 n=11인 생식세포(난세포, 꽃가루)를 만듭니다.씨없는 수박은 콜히친이라는 약물을 처리해서 감수분열시 염색체수가 반으로 나뉘는 과정을 일어나지 않게 만들수 있습니다. (콜히친은 백합과 식물의 씨앗이나 구근에서 얻을 수 있는 알칼로이드입니다.)그렇게 되면 이 수박의 생식세포인 꽃가루와 난세포는 각각 2n=22의 염색체 구성을 가지게 됩니다.이 꽃가루와 난세포를 수분시켜 수박을 만들게하면 염색체 구성이 4배체인 수박이 만들어집니다. 4n=444배체 수박의 암꽃은 2배체인 난세포(2n=22)를 만듭니다. 이것을 보통의 수박종자의 꽃가루(n=11)와 수정시키면3배체인 수박 씨(3n=33)가 만들어집니다.이 씨앗을 심으면 3n인 수박종자가 만들어질 것입니다.3n의 수박 종자는 감수분열 시 염색체가 1대1로 쌍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감수분열 결과 불완전한 난세포를 만들게됩니다.이것을 보통의 수박의 꽃가루(n=11)와 수분시키면 씨를 만들지 못하고 과육은 성장시키기 때문에 씨없는 수박이 만들어집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들녁에 피어나서 손짓하는 듯한 이 풀을 아십니가?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사진에 보이는 식물은 강아지풀로 보입니다.벼목 벼과 강아지풀속에 속하는 식물입니다.모양이 강아지 꼬리와 닮아있고 바람에 살랑살랑 흔들리는 모습에서 이름붙여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미어캣도 독에 대한 내성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미어켓은 여러가지 독에 면역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주식인 전갈이나 거미의 독에는 주식인 만큼 그들의 독에 면역력이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고, 몇몇 독사의 독에도 면역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이테를 통해서 나무의 나이를 파악할수 있다고 하는데, 모든 나무가 나이테를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나이테는 여름과 겨울의 환경차이 때문에 나무가 성장하는 속도가 달라 만들어지는 무늬입니다. 여름과 겨울이 반복되면서 한 줄이 생기기 때문에 이것으로 나이를 알 수 있습니다.하지만 원리가 계절에 따른 성장속도차이이기 때문에 이상기후가 생기는 등의 상황에서 나이테가 나무의 나이를 절대적으로 말하지는 않습니다.계절에 따른 온도가 성장속도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생기는 것이므로 우리나라와 달리 시기에 따라 계절의 차이가 거의 없는 지역에서는 나이테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주민센터 근처에서 가져온 em배양액을 먹어도 무해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EM배양액도 쌀뜨물로 만든 일종의 비료이고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미생물이 유산균과 효모같은 흔한 미생물이라고 알려져 있어 소량이 입에 들어왔다고 해서 큰 문제가 될 가능성은 적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작에 쓰이는 모든 미생물들이 공개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혹시나 몸에 이상이 느껴진다면 바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영장류는 인간의 조상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인간도 분류상 영장류에 속하며현대의 원숭이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 등은 인류의 조상이 아닙니다.사람들이 이와 관련해서 많은 오해를 하지만영장류들은 공통 조상을 가지는 것이고 고릴라가 진화해서 인류가 된 것이 아닙니다.현대의 인간, 원숭이,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는 각자 가장 진화한 종들입니다.계통수는 거시적 관점의 하나의 거대한 가계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런 가계도에 빗대서 말하면 인간과 고릴라, 침팬지 등의 영장류는 서로 친척관계라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가계도를 거슬러 올라가면 할아버지 할머니가 나올 것 입니다.할아버지 할머니가 공통조상에 해당됩니다.공통조상의 모습이 침팬지와 비슷할 수는 있지만 현대의 침팬치와 같은 종은 아닙니다.할아버지 젊을 때 모습과 손자의 모습이 비슷하다해서 할아버지=손자가 아닌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미의 울음소리로 암수구별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암컷은 수컷과 달리 소리를 낼 수 있는 기관이 없습니다.수컷 매미의 몸통의 절반정도는 큰 소리를 내기위해서 빈 공간을 가집니다.하지만 암컷 매미는 이런 기관이 없고 대신 해당 위치에 알을 낳을 수 있는 생식기관이 있습니다.그래서 울음소리를 내는 매미는 수컷, 내지 않는 매미는 암컷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학적으로 n차 소비자라는 건 정의하기 나름인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어떤 먹이사슬을 관점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n차 소비자에 차수의 상한은 없습니다.다만 차수가 높아질 수록 에너지의 이용율이 낮아집니다.한 소비자가 가진 에너지 중 일부는 다음 소비자에게 전달될 때 열에너지 형태로 유실됩니다.그래서 생태계 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이전 소비자가 가진 전체 에너지의 10%정도만 다음 소비자에게 전달됩니다.그렇기에 너무 높은 차수의 소비자는 존재하기 어렵고 이 때문에 잘 언급되지는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아직도 발견되지않은 생명체들은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지구는 굉장히 넓고 인간이 도달하지 못한 장소가 굉장히 많습니다. 인간이 발견하고 분류해 놓은 종보다 아직 발견되지 않은 종이 더 많을 것입니다. 또한 현재도 진화는 계속 진행중이며, 특정 종이 멸종하고 반대로 새로운 종이 나타나는 현상은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코가 막히면 음식맛을 못느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우리가 흔히 혀로만 음식의 맛을 느낀다고 생각하지만, 혀에서만 오는 감각이 음식 맛의 전부는 아닙니다.혀의 미뢰에서 느껴지는 기본 맛인 단맛,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 등은 후각 없이도 느껴지지만,뇌는 그것만으로 음식의 맛을 판단하지 않습니다.특정 음식의 냄새가 그 음식의 맛의 인식에 함께 포함됩니다.코가 막혀서 냄새를 맡지 못하는 상황에는 혀로 느낄 수 있는 기본적인 맛만 느껴지고 후각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실제 음식보다 맛이 무미건조하게 느껴집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