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하마와 고래가 왜 서로 그렇게 가까운 종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진화 과정에서 하마와 고래가 공통조상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계통수 상 서로 친적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둘은 우제목(소목)이라는 분류군에 함께 포함되어있습니다. 기원이 되는 공통 조상에서 진화과정을 거쳐 각각 하마와 고래의 조상으로 분화되었습니다.계속 대를 이어오며 각자의 방향으로 진화되며 현대의 하마와 고래가 되었습니다.이들이 갈라진 시기가 비교적 최근이기 때문에 하마와 고래는 각자 다른 생물과 비교하는 것에비해 서로 가깝습니다.이는 현대의 하마와 고래의 유전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와 지속적으로 발견된 화석증거에 의해 밝혀졌습니다.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버섯은 어떤 곰팡이의 한 종류인지 궁금해요. 보통 곰팡이는 먹으면 탈이 나던데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버섯은 '진균류'에 속하는 생물 중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큰 유성 자실체를 형성하는 생물을 말합니다.곰팡이의 경우 이 자실체가 한가닥으로 되어있어 매우 작게 보입니다.결론적으로 우리가 흔이 알고있는 버섯 모양을 만드는 것은 버섯으로 보는 것인데요.유성자실체의 크기로 구별하지만 서식하는 곳 아래에 균사를 펼치고 있으며 포자로 번식하는 등 버섯과 곰팡이는 매우 유사하며 실제로 가까운 종들입니다. 우리 주변에 흔히 보이는 곰팡이는 상한 음식이나 눅눅한 벽지에서 보이는 곰팡이인만큼 좋지 않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곰팡이도 버섯처럼 식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블루 치즈는 푸른곰팡이를 활용하여 만든 치즈이고, 된장과 간장 그리고 막걸리 등을 만드는데에는 누룩곰팡이가 사용됩니다.와인과 같은 술을 만들 때 사용하는 효모도 균류에 속합니다.버섯의 경우도 수많은 버섯들 중 식용가능한 버섯은 일부입니다.또한 식용할 수 있는 버섯도 대부분 생으로는 먹을 수 없습니다.이들도 독을 가진 경우가 많고 다만 열에 의해 파괴되는 독을 가진 것 입니다.대표적으로 팽이버섯은 우리가 찌개를 비롯한 요리에 자주 들어가지만 반드시 익혀먹어야 합니다.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육상 포유류와 비교시 해양 포유류 동물이 매우 작을수가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공기는 열을 잘 전도하지 않지만 물의 경우 쉽게 열을 빼앗아 갑니다.그래서 수중에서는 육지에 비해 체온을 잃기 쉽습니다.포유류는 정온동물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해야만 생존할 수 있습니다.몸집이 작은 경우 부피대비 표면적이 넓어서 열을 빼앗기기 쉽습니다.이 경우 공기중에서는 괜찮지만 수중이라면 체온이 급격히 감소하여 생존에 영향을 줍니다.체온유지의 관점에서 물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포유류들은 어느정도 큰 몸을 가져야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육상포유류에 비해 몸의 크기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적도에 주로 활동하는 고래가 극지방의 고래보다 더 크기가 훨씬 작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적도와 극지방에 서식하는 고래 종들의 크기 차이는 각 지역의 온도차이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추운 지역에서는 열을 잃지 않기위해 큰 몸을 가지는 것이 유리합니다.체온은 몸의 표면적이 넓을 수록 빠르게 빠져나갑니다.몸의 부피가 커지면 부피대비 표면적은 줄어듭니다.생성되는 열에 비해 빠져나가는 열의 비율이 줄어드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반대로 적도지역은 온도가 높으므로 열을 잘 배출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작은 몸은 몸의 부피대비 표면적을 늘려주어 열을 잘 발산할 수 있습니다.또한 지방층은 보온을 하는 역할을 하는데 추운 극지방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두꺼운 지방층을 가지는 것이 유리합니다.지방층도 부피를 많이 차지하므로 이 역시 몸집이 커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지렁이는 몸이 잘려도 다시 재생된다고 하는데 이게 실제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지렁이는 강한 재생능력을 가지고 있어 몸이 잘리더라도 다시 재생할 수 있습니다.다만 재생능력으로 유명한 플라나리아만큼 재생능력이 강한 것은 아니며그렇기에 자른다고 해서 두마리가 되지는 않습니다.잘린 두 부분 중 뇌와 주요 장기가 있는 부분이 기준이 되어 재생됩니다.(특정 종은 잘리면 두마리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지렁이는 다양한 종이 있어 종마다 최대로 클 수 있는 길이는 다릅니다.일반적으로 10cm 내외의 길이를 가지지만, 호주 등에 서식하는 종들의 경우 1m이상 자라는 종도 있고 최대 3m의 길이로 자라는 종도 있다고 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