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하루살이 날벌레들은 진짜하루만살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하루살이는 성충의 수명은 몇시간 혹은 1~2주 정도입니다.그래서 매우 짧게 사는 종이라고 생각되지만, 유충시기를 물 속에서 길게 보냅니다.유충시기까지 합친 수명은 약 1년 정도입니다.물가에서 많이 날아다니는 날벌레 중에는 깔따구라는 벌레도 있습니다.깔따구는 유충기간이 2주 내외, 성충은 약1~2주정도의 수명을 가집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혹시 이게 무슨 벌레 집인지 아시는분?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모양이 호리병벌이 만드는 집과 비슷합니다.호리병벌은 흙으로 집을 짓습니다.집의 모양은 주로 호리병 모양인데 벽에 붙여 지을경우 위의 모습과 비슷하게 짓기도 합니다.호리병벌은 애벌레에게 알을 낳고 집에 가둡니다.그러면 알에서 호리병벌의 유충이 태어나 애벌레를 잡아먹습니다.그래서 집안에는 호리병벌이 잡아서 넣어둔 애벌레가 들어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균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생물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곰팡이는 많은 진균이 모여 군집을 이루면서 우리가 볼 수 있을 정도로 넓은 면적을 차지합니다.곰팡이의 세포 하나하나도 우리는 맨눈으로 볼 수 없지만 이렇게 군집을 이루어 커지게되면 우리가 곰팡이가 생겼음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세균의 경우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기는 힘들지만, 배양을 할 시 세균도 곰팡이처럼 콜로니를 이루며 눈으로 볼 수 있는 만큼 수가 증식합니다. 세균 하나하나는 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작지만 이런 콜로니는 많은 세균들이 모여서 볼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가집니다.충치의 경우 세균의 활동으로 만들어진 산이 치아를 부식시킨 자리입니다. 이를 잘 닦지 않을 경우 이나 잇몸에 치태가 생기는데, 이것은 세균들이 많이 증식하여 표면을 뒤덮은 모습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오후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수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몸에는 유전적으로 각인되어 있는 생체시계가 작용합니다.그래서 우리 몸의 호르몬 분비도 이것의 작용으로 일정한 주기를 가집니다.오후 10시부터 새벽2시에 수면과 관련된 호르몬인 멜라토닌이나, 성장호르몬 같은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됩니다.그래서 이 때 수면을 하는 것이 숙면을 취하는데 도움이 되며 여러 호르몬들의 분비와 작용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데자뷰'가 생기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데자뷰는 발생하는 원리가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습니다.여러 가설들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1.기억은 해마가 관장하고, 해마 주변의 비피질이 지금 보는것이 기억과의 연관성을 검증하는데, 해마는 반응하지 않는데 비피질만 반응하는 신경계 혼란이 생깁니다. 그래서 데자뷰 같은 현상이 일어납니다.2.뇌는 우리가 짧은시간 보아서 기억하지 못하는 것도 무의식적으로 기억해둡니다.그래서 이미 접한 것이지만 기억하지 못하고, 나중에 비슷한 무엇인가를 접했을 때 예전에 보았다는 것은 기억하지 못하고 처음 접했는데 익숙한 것처럼 느껴집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루시페린에 의한 생체발광 설명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루시페린의 생체발광에는 루시페린, 루시퍼레이즈(효소), 산소, ATP가 필요합니다. 루시페린에 ATP가 결합합니다. 이 결과 활성루시페린(루시페린 아데닌산)이 생성 + PPi(인산기 두개)가 떨어져 나갑니다. 활성 루시페린은 루시퍼레이즈 효소의 도움을 받아 산소분자와 반응하여 >산화루시페린 + AMP 가 되며 이 때 발광현상이 일어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발아되지 않은 콩이 호흡을 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땅 속에서 발아하는 식물의 씨앗은 땅 위로 줄기와 잎이 올라오기 전 까지는 광합성을 할 수 없습니다.땅위로 올라올만큼 성장하려면 영양분이 필요한데, 광합성으로는 얻을 수 없으니 원래부터 가지고 있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배젖이 바로 이 양분이 저장된 장소입니다.콩을 반으로 갈라서 관찰하면 식물로 발달하는 어린 눈부분과 떡잎이 될 부분이 관찰됩니다.떡잎이 될 부분이 초기 발달에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고 있는 배젖입니다.콩이 발아를 시작하는 것은 배의 세포가 생명활동을 시작했다는 것 입니다.그래서 발아과정이 시작되면 호흡이 시작됩니다.호흡은 가지고 양분을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배젖에 있는 양분을 배가 흡수하여 세포호흡을 진행하여 에너지로 바꾸어 생명활동에 사용합니다.배젖의 양분을 사용하여 세포분열을 하고 발아과정을 진행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밤낮을 구분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밤과 낮의 구분은 주로 빛의 양 같은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합니다.빛의 양에 따라 몸의 호르몬이나 신경계의 작용이 바뀌게 됩니다.하지만 빛의 양과 별개로 많은 생물들은 생체시계를 가져 리듬을 가지고 있습니다.빛의 변화가 없어도 많은 생물들의 몸의 활성이 24시간 주기를 가지고 변하는 것이 관찰됩니다. 생체시계와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해당 유전자에 의해 몸의 여러 다른 활성이 조절된다고 합니다.특히 식물은 이동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더 발달된 생체시계 기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습니다. 이런 유전자는 지구의 자전주기에 맞춰 적응하여 오랜기관 진화된 산물로 보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실내에서 꽃이나 채소등을 키울 경우 태양광 LED등을 설치하면 식물 생장과 성장에 유익한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빛이 잘 들지않는 실내에 태양광 LED를 사용하여 식물에 빛을 주어도 식물이 광합성을 하여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햇빛보다 광량은 적지만 식물이 광합성에 사용하는 가시광선은 LED에서 나오나 햇빛에서 나오나 관계없이 같은 파장이면 사용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실내에서 대량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스마트팜 같은 경우도 LED등을 사용해서 식물에게 빛을 제공합니다.다만 식물이 광주기를 가져서 밤낮을 구분하듯, LED를 켜고 끄는 것도 이 주기를 지켜주는 것이 식물의 성장에는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어떻게 한 계란에서 두개의 노른자가 나올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닭의 노른자는 사람과 비교하면 사람의 난자와 구조와 비슷합니다.노른자는 닭의 난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노른자막에 나중에 병아리로 발생할 수 있는 배아가 있고, 노른자는 영양성분입니다.닭이 배란을 할 때 한개의 배가 배란되고 그것이 노른자 한개이며 껍질로 감싸지며 달걀의 구조로 완성되어 알로 배출됩니다.그런데 닭의 배란이 불규칙 할 경우 하루에 두번 배란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 경우 두개의 난자가 한 껍질에 싸여서 알로 배출되고 이것이 노른자가 두개인 쌍란입니다.
66676869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