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떤 점에서 두루미는 닭에 가깝고 황새는 독수리에 가까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은 꼭 외형만을 기준으로 하지는 않습니다.외형이 비슷해도 유전적으로 비교하면 서로 거리가 먼 종일 수도 있습니다.위에서 가깝다고 표현한 것은 외형보다는 생태적 관점에서 유사하다는 의미로 보입니다.행동과 먹이만을 기준으로 하여 만들어진 표현으로 보입니다.실제 분류학에서는 계-문-강-목-과-속-종 의 분류 단계에서두루미, 닭, 황새, 독수리는 분류단계 중 '목'단계에서 각각 갈라집니다.두루미목, 닭목, 황새목, 수리목 으로 갈라져 서로간의 거리가 멀고 외형도 다릅니다.닭은 닭기러기상목으로 갈라지고 두루미,황새,독수리는 신조상목으로 갈라지기 때문에 닭과 나머지 3개의 종은 거리가 더 멀다고 할 수 있습니다.두루미 황새 독수리도 서로 거리가 멀며, 서식지의 경우 두루미와 황새는 수생/반수생 조류독수리는 육상조류로 이 관점에서는 두루미와 황새가 가깝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결론적으로 닭과 나머지 셋은 멀고,두루미, 황새, 수리는 서로 닭보다는 가깝지만 여전히 먼 종입니다.
Q. 보통의 경우 나무나 꽃은 곤충, 새, 동물에 의해 꽃가루가 옮겨지면서 열매를 맺는다고 하는데요. 은행나무의 경우는 다르다고 하는데 어떻게 다른지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은행나무는 암나무와 수나무가 나누어진 자웅이주입니다.은행나무의 꽃가루는 비교적 가벼워 바람에 잘 날립니다.그래서 바람에 수나무에 핀 수꽃의 꽃가루가 날리어 암나무의 암꽃에 도달하면 수분이되고 열매가 맺힙니다. 이렇게 바람을 통해 수분하는 식물을 풍매화라고 하며 소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등이 이런 방식으로 수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