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김휴 전문가
휴쿤스트
Q.  클로드 모네가 그린 인상 해돋이는 기법이 어떻게 되나요?
모네 이전의 모든 화가들은 실내에서 유화를 고전기법을 단계적으로 그렸다면 모네는 최초로 야외에서 실재 빛에 반사된 대상이나 풍경을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에 즉흥적인 감동을 받았고 그에대한 연구를 한 화가입니다. 이러한 관찰이 이후 인상파라는 화풍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특별한 기법이라기보다는 야외에서 유화를 단번에 그려야했기때문에 마르지 않은 밑작업 위에 다른컬러를 혼합하기 때문에 캔버스자체가 파레트역할을 하게되며 붓 또한 색이 묻어있는 붓을 적당히 닦아 다른색을 쓰다보니 컬러가 칙칙해지고 원색이 무채색으로 바뀌어가는 현상이 되는데 실제 우리가 바라보는 풍경의 빛 역시 회색조가 많습니다. 기존의 작품들은 정교하게 밑작업하여 마른 칠 위에 단계를 밟아그렸다면 모네는 여러 색의 점들이 모여 관찰자가 색을 혼합하게 하는 방식이 된것입니다. 패턴화라고도 부르며 임패스토기법도 있고 전체적으로 알라프리마 기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흥적인 유화작업입니다.
Q.  화가가 직업이 되는 기준은 어떤 것인지요?
보통 화가는 시각미술중에서 평면에 그림을 그리는 사람으로 학벌과 상관없이 그림에 재능이 좋고 지속적인 전시를 하고 또는 주문을 받아 그리기도합니다. 그 외에 개인의 세계관이나 스토리를 개념화하여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는 사람을 작가라고하며 그 일로 먹고사는 사람을 전업작가라고합니다. 물론 명문대나 미술관련 경력이 높을수록 인지도는 더 있겠으나 본격적으로 그림이 말해주기 때문에 그 인정이 그림에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좀 아직도 출신을 보는듯합니다. 미술작가나 화가나 전세계에는 미술관련 학과를 나오지 않은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예전에 한국은 개인전 몇회냐 단체전 합 등등 기준이 있었으나 꼰대시절이며 지금은 누구나 그림 그릴수있고 마음먹으면 대관하여 전시할 기회를 마련할수있습니다.
Q.  미술작품을 해석시 사후해석인지 아니면 작품출시와 동시 작가의 해석인것인지 궁금합니다
보통 미술작가는 개인차가 있지만 대부분 작품을 진행하기전에 작가노트라는 글을 쓰고 작품이 완성되기전에 작게 구상이나 에스키스를 합니다. 이러한 기록들이 구체적인 작가는 작품의 비평이나 관련업종 미술관 갤러리들의 해석이 좀더 개인작가 초점으로 해석되어지게 됩니다. 작가가 연구한것을 바탕으로 해석되어지는 경우가 더욱 많습니다. 이러한 작가 생의 업적을 기록하고 보유하는것을 아카이브라고 합니다. 이런 기록을 보통 작가들이 많이 하는경우에 그 작가 평가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옛 미술가들이 편지를 주고받고 자신의 목표나 다짐. 현재 심경 등을 사 후 되짚어 보게 합니다. 이런 모든 기록을 작가 사 후 시장이 유추하여 스토리를 넣는 작업을 통해 시장성을 형성시키는것이 시장관계자입니다.
Q.  근대와 현대를 대표하는 미술 작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미술을 조금 이해하고 시작하기 위해서는 미술사를 적당히 보시고 관심이 가는 시대를 조금 더 깊이 보신 후 그 시대의 전후를 살펴보시면서 어떤 영향으로 인해 변화가 일어났는지 헤아려보시는것이 좋습니다. 근대미술은 1860년~ 1970년대까지를 가리킵니다. 이 근대 시기부터 현대미술이 시작된 것으로 보셔도 됩니다. 어디서부터가 현대인지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근대미술의 탄생은 기존의 자연을 모사하는 반복적인 방향에서 탈피하고자 눈에 보이는것보다 인간의 감정을 불어넣어 표현하는 표현주의가 시작되면서부터 자리를 잡아가게되는데 이는 인상파를 허무는 계기가 되기도하면서 인상파가 있었기에 발전한것입니다. 예를들면 뭉크 역시 인상주의 미술을 배우고 이후 개인의 표현적인 작품이 탄생하게되었는데 후기 인상파들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고흐 고갱 세잔을 대표하는 후기 인상주의는 근대미술이지만 훗날 현대미술의 막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세잔의 진실된 작품성질이 당시 어린 피카소 모딜리아니 달리 등 많은 전위적 미술가들의 개념적인 미술 탄생을 불러 일으켰고 그 영향은 새로운 시도와 연구 등 미술의 방향성이 탈바꿈된 계기입니다. 이전 미술은 정해진 명암법이나 구도 색감 배치들이 전형적인 고전방식에 액자를 맞추고 전시하는 개념에서 개인들의 아이덴티티를 내세운 아방가르드가 나타나면서 너도나도 아방가르드 화가가 되기를 꿈꾸게 됩니다. 이렇게 근대미술은 새로운 세계관을 열어 모더니즘의 기초가 되었으나 모더니즘의 끝이 너무나 엘리트주의로 확산되면서 점하나찍고 전시하고 아무것도 그리지않고 전시하며 논리를 주장하는등 대중들의 이해도와 거리가 멀어지게 됩니다. 2차세계대전이 종전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차차 포스트모더니즘 시대가 열립니다. 근대미술이 현대적이지만 무겁고 고차원적이며 권위적이라면 현대미술은 현대적이지만 가벼워지고 다양하며 다원적입니다. 쉽게말하자면 우리 할아버지들이 미술을 했다면 물론 꿈도꾸지않지만 장벽이 높았고 장벽을 이기면 자신이 차지할수있는 영위가 컸을테지만 지금 아이들이 미술을 한다면 언제든지 시킬 수 있고 전시도 가능하고 온라인으로 활동도 하겠지만 그만큼 유명해져도 그만큼 빨리 사라질수있습니다. 근대 현대를 대표하는 미술작품은 너무나 많아서 직접 찾아 여러장르를 보시는것도 좋을 듯 합니다.
Q.  뭉크가 생전당시에 병든아이를 발표 했을때 당시 평론가들에게 비난을 받았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뭉크는 생전에 가족사와 죽음 질병 아픔이 많은 자신을 광기로 무장하여 글을 쓰며 작업했습니다. 누가봐도 편안하게 감상할 작품이 아닌 괴로운감정이나 미친사람으로 보여졌을것입니다. 평론가들은 당연히 그런 뭉크의 그림을 미친사람으로 보았고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보여주기에는 관람불가판정을 받을만큼의 광기어린 작품들이많습니다. 그래서 뭉크는 오히려 그러한 광기를 더욱 키워드로 내세워 절규작품에 터치일부분에 미친자만이 그릴수있는그림이라는 글을 적어놓기도 했습니다. 이런 뭉크를 받아준건 독일이었습니다. 당시 1차 전쟁 이 후 패전국가였던 독일은 자신들의 삶이 뭉크의 작품처럼 괴로운 시기였고 이러한 독일관념주의 철학이 등장하면서 실존주의 사상과 철학이 쏟아지면서 뭉크의 표현은 독일에서 대 히트를 치게됩니다. 독일미술은 뭉크를 시작으로 표현주의 미술에 흠뻑젖어들어 유행이됩니다. 독일표현주의의 탄생이 뭉크와 연관성이 매우 크다고 볼수있습니다. 이 후 2차세계대전이 일어날 무렵 뭉크는 나치에 의해 퇴폐미술로 낙인찍히자 노르웨이에 이만점이 넘는 모든 작품을 기증합니다. 훗날 뭉크의 회화작품은 노르웨이르 대표하는 국보급 화가가 된 계기가 되며 도난등 많은 에피소드를 지니며 뭉크미술관이 지어지게 된것입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