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휴 미술전문가입니다.

김휴 전문가
휴쿤스트
미술
미술 이미지
Q.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편입니다. 프랑스 파리의 몽마르트는 왜 예술가들의 요람으로 여겨지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현재 파리의 북부지역인 몽마르트르는 파리에서 유일하게 고지대로 알려져있습니다. 불어로 순교자(마르트르)의 언덕(몽)이라 불립니다. 루이6세때 수도원과 수녀원으로 시작해 프랑스혁명 이후 철거하였고 이후 석고광산 및 생산지이자 풍차가 많은 지역으로 이름나면서 1860년에 파리로 통합되었습니다. 1871년 프로이센 전쟁 당시 이지역 높은 언덕에 대포를 보관하였고 이후 현재 사크레쾨르 대성당이 있는 곳으로 문화와 예술, 주거지 골목상권과 어우러져 있는 관광소명지 입니다. 19세기 이곳에 최초로 샹송바와 무도회장인 물랑루즈. 검은고양이등이 생기면서  환락가로 변신하며 시인들과 철학 문학 미술 음악등 다양한 예술가들이 술집과 카바레를 다니면서 소통하고 즐기던 곳입니다.그야말로 환락을 즐기는 예술가들이 모여들던 곳의 결정체였다고 합니다.  인상파화가들이 줄곧 이곳에서 많이 작업하였고 피카소도 머물렀던 곳입니다.20세기 이후 예술가들은 몽마르트에서 몽파르나스로 대거 이주하였고 현재는 잡상인들과 상업화가들이 관광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꽤 복잡하며 19세기의 예술 느낌은 없어졌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팝아트라고 하는것이 정확게 무엇을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팝아트는 대중문화를 차용한 미술이라고 보시면됩니다. 1960년대 엘리트미술 분야의 표현주의 이후 추상표현주의가 떠오르자 오히려 대중들에게 친숙한 대중성을 더욱 강조하며 영미권에서 유행한 미술분야입니다. 대표적으로 리차드프린스. 앤디워홀. 로히 리히텐슈타인 등 상업적매체를 오브제로 활용하여 작품화한것이 특징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유화는 어디에 그리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유화용 화포 또는 캔버스라고 합니다. 캔버스는 라틴어 삼베로 짠 것을 토대로하여 그리스어 칸나비스 cannabis 대마초의 어원이기도 합니다. 르네상스 시기 유화를 목판 판넬 위에 석회를 바른 후 그렸는데 상업발전 이후 캔버스가 발전하며 린넨 마. 면천이 등장했고 이후 공업화되어 보급되었습니다.  미술이 발전한 르네상스 시대에 기후조건상 도화지 지류가 습한조건에 맞지않아 천 활용을 많이 하면서 캔버스가 발전하였고 캔버스는 많은 곳에 사용되었습니다. 배의 돛, 트럭 덮개, 대포덮개. 등 사용가능하면 모든곳에 쓰여졌다고 합니다. 유화에 쓰이는 캔버스는 특정규격 FPM등 정식규격이 생겼으며 전문가가 쓰는 삼나무를 한옥짓듯 짜임새있게 틀을 만들어 그위에 천을 씌워 젯소를 바르고 유화를 그리는 방식으로써 지금까지도 오래된 전통과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캔버스용으로 제작된 알루미늄 프레임에 천을 쒸워 쓰기도 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톤 다운된 하늘색 만드는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보통하늘색은 주색상이 블루보다 화이트양이 많습니다. 질문자님의 색상은 화이트에 블루계열중 컴포우즈블루계열이나 블루그레이를 소량 혼합한 후 그레이컬러를 혼합하면 됩니다. 그레이는 쿨과 웜톤이 있는데 쿨에 가깝게 만들며 더 정확한 컬러를 맞추기 위해 레드를 아주 극소량 넣어주면서 지나치면 그린으로 잡아주시면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모나리자 그림이 생각 보다 작다고 하던데 크기가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모나리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리자부인을 그린 그림으로 다빈치의 스푸마토기법이 아우라있게 잘 표현된 수작으로 원근법도용과 구성. 인물의 스토리텔링등 다양한 궁금증을 유발시키는 그림입니다. 1503~1506년 경에 그려진 그림으로 프랑스 정부로 넘어가 현재 루브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찾는 이 모나리자의 그림크기는 실제로 매우 작아 실망을 하거나 더 희귀한 느낌을 전해주는데 실제 작품의 크기는 53x77cm 입니다. 사시나무판넬에 크려진 유화작품입니다. 캔버스 기준 크기로는 약 20호에 해당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최후의 만찬 그림 중 유다는 몇번째 인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최후의 만찬 중 유다는 왼쪽으로부터 5번째 입니다. 베드로 유다 요한 그옆에 예수님입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시길 이들 중 한명이 나를 배신할것이라고 하자 제자들 모두 제가 그럴사람인지를 묻는 가운데 각자의 심리적인 묘사가 돋보입니다. 이 작품은 다빈치가 1495년부터 2년에 걸쳐 그린 수도원 벽화입니다.  밀라노에 있는 산타마리아델레그라치에 수도원에 있으며 1980년에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습니다. 성경구절로 최후의 만찬은 유월절 새언약으로 처형 전날 인류를 구원하고자 했던 예수님의 헌신과 사랑을 느낄 수 있는 장면을 묘사한 것입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화가밥로스는 어느나라사람인가요 ??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밥로스는 미국사람입니다. 42년생으로 플로리다 출신입니다. 군인시절 그림을 취미로그렸고 접시에 그림을 그려팔기 시작했는데 그 수입이 군대월급보다 많아져 전역을 하고 화가가 되기로 결심했다고합니다. 그때 만난 스승의 웻온웻 유화기법을 통해 한번에 그려내기 시작했고 스승의 대타로 강연을 하게되는데 그 장면을 목격한 코왈스키라는 사람이 밥로스를 티비에 출연시키게 되었고 초대박이 납니다. 완벽주의자였던 밥로스는 아프로스타일 헤어를 유지하고 티비프로그램 ‘그림그리는 즐거움’이  승승장구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ebs에서 ‘밥로스의 그림을 그립시다’로 제목을 변경하여 방송되었고 총 31시즌 403화작이라고 합니다 어렸을때 아버지 목수일을 도울때 다쳤던 손가락을 파레트에 숨기고 투명파레트가 카메라렌즈에 반사되길래 직접 파레트를 샌딩하여 불투명하게 만들기도했으며 화면 각도, 자신의 포즈등 모두 직접 구성 연출했다고 합니다. 물론 도전적이고 비판적인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에게 밥로스는 그저 취미화가나 기술자나 이발소그림이지만 밥로스는 그만의 장르가 예술이 되어 인기있는 미국 최고의 화가이기도 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미술 전시회에 갔을 경우 그 전시회를 십분 이해하려면 어떤 것이 필요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전시를 보고 이해를 잘 하거나 감동을 받으려면 자신이 관심이 있는 분야를 먼저 찾아내고 그중에서도 어떻게 나눠지는지 알아본 후 작품의 표현성질을 알아보시면 좋습니다. 예를 들면 큰 컨셉이 있는데 작가가 그 컨셉을 1차원적으로 시각화하여 드러내려하는지 은유하고 비꼬아 3차원적으로 표현하려하는데 그 표현기법이나 행위 패턴이 있다던지 하는 작품 성질을 보셔야합니다. 작품은 시와 비슷합니다. 컨셉이 사랑하는 엄마 라고 한다면 엄마의 얼굴을 잘 그린 그림도 있고 깊고 푸른 바다를 그릴수도 있고 엄마와 나의 존재 인터페이스를 찾아 갈수도있고 또 각각의 성질이 있다하더라도 작가들만의 표현이 제각각 다를수있습니다. 음식맛이 다 다르듯이 미술은 더욱 심상이 표현되어집니다. 전시를 너무 이해관계에서만 보려하면 관람자는 결국 1차원적인 상태에서 알기를 바라는것이 됩니다. 때로는 도데체 뭔지 모르겠다 한들 그것이 또 표현 방식이구나 하며 받아드리시다보면 점점 비유가 없는 작품이 시시해지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취향도 변해 돌고도는데 작가들도 그림을 그리면서 바뀌어갑니다. 그런 모든것이 안목이 되고 정지되어 있지 않습니다. 미술이 가장 아름다운것은 변화에 있으니 다양하게 여러 마술장르를 즐겨보세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앤디 워홀이 유명한 이유를 잘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미술은 시대정신을 반영합니다. 인류가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면서 새로운 장르를 만들어내고 또 사라지거나 돌고 돌게됩니다. 그런 여러분야중 미술에서는 아방가르드 정신이 있어요. 새로운 분야를 만들어 냈다는 것에 인정을 받고 한 시대를 풍미한다고 볼수있습니다. 2차세계대전 이후 미술시장이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추상표현주의가 한참 유행이던 시절 미국과 구소련은 냉전을 겪으면서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자본주의와 돈의 흐름앞에서 앤디워홀은 미국의 자본주의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면서 대중적인 콜라나 세제, 상징적인 팝 이미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미술세계를 보여줍니다. 뉴욕의 거물급인사들과 사진작업을 하면서 소비문화의 패러다임을 그대로 반영한 미술공장 즉 워홀의 팩토리를 만들며 음악 프로듀서나 콜라보 등 여러형태의 상업적 디자인을 만들어갑니다. 현재의 엔터테인먼트 개념과 조금 다르지만 그 분야를 당시 시대분위기에 맞게 디자인하여 예술적 성공을 이룬 케이스입니다. 물론 전통 순수미술 분야에서는 반갑지도 않으며 미술작품으로 인정을 안하는 작가들도 꽤 있겠지만 모든 이슈에는 존재하는 것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앤디워홀의 미적감각이 탁월하다고 보고 실크스크린작품에서 워홀만의 작품세계를 나타냈다고 보여집니다. 참고로 영화 바스키아를 보시면 조금 더 당시 시대와 유행. 분위기를 엿볼수 있습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그림을 그릴때 꼭 캔버스에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휴 전문가입니다.좋은질문같습니다. 캔버스는 천종류의 마 면 린넨등을 틀에 씌운것을 말합니다. 원시 이후 점차 재료가 발전하면서 보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물감이 변색이나 크랙. 습도에 잘 버티는지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그런 물감 중 단연 유화가 현존하는 가장 뛰어난 보존력을 가졌다고 볼수있는데 그 유화를 잘 뒷받침해주는 표면 즉. 밑바탕이 마포나 천이 오래 버티기 때문입니다.또 천이 짜인 실들이 기후에 따라 숨을 쉬도록 추운지방과 따듯한지방의 캔버스 짜임이 다릅니다. 유화는 그만큼 견고하고 내구성이강하며 보존력이 좋기때문에 그에 맞는 바닥이 캔버스이기 때문입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