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염정흠 전문가
EU건축사사무소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르코르뷔지에의 건축 철학 중 주거는 살기 위한 기계다는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집을 설계할 때 사람이 생활하기에 실용적이어야 된다는 의미입니다. 기능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도 아름다움도 추구하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르 꼬르뷔지에가 어머니를 위해서 설계한 주택을 보면 거실, 주방, 침실의 동선이 순환되도록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생활에 편의를 위한 의도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주거용 건축물은 생활하는데 있어서 기능이 중요한 것입니다. 기능을 갖춘 다음 외적인 미를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도심의 싱크홀 발생 원인의 절반이 하수관 때문이라고 하는데 왜 여기 점검에 예산을 충분히 투입하지는 않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예산 투입을 하기 힘들어서 입니다. 도시가 형성될 때 주요 배관망이 함께 형성되었습니다. 그렇다보니 노후관이 있다면 그 시기에 매설된 관들을 대부분 교체해야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려면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쉽사리 예산을 편성할 수 없습니다. 일본의 경우 50년 이상된 배관들이 많은데 그것을 다 교체하려면 수십~수백조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서울 기준 30년 이상의 노후관이 총 6300km 가량 됩니다. 100km 구간을 정비하는데 2000억원이 든다는 것을 기준으로 추정하자면 12조 6000억원 가량 필요합니다. 노후관 정비사업을 하려면 다른 사업은 포기해야 될 것입니다. 그래서 노후관정비사업이 지지부진하게 되는 원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그동안 쓸데 없이 사용한 예산을 이런데 사용했더라면 현재 상황까지는 안 되었을 것이라 생각도 듭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요즘 땅꺼짐 사고가 많은데요?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도심에서 싱크홀이 발생하는 경우 자연발생하는 것은 매우 적습니다. 인간의 행위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봅니다. 지하 깊은 곳까지 공사를 하다가 지하수에 영향을 줘서 흐르는 방향이 바뀌거나 유속이 바뀌며 지하에서 침식작용이 발생하여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경우로는 지중에 매설된 배관이 노후되어 파손 되거나 지하 공사 중에 파손시켜 누수가 될 경우 주변 지반이 침식되어서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조사해봐야 알겠지만 공사 중에 빠진 공정이 있었거나 배관 파손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모듈주택의 장단점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모듈러 건축의 가장 큰 장점은 현장에서 공사기간이 단축되는 것입니다. 각 모듈도 공장제작이며,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제작시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장 준비와 모듈러 제작을 동시에도 할 수 있어서 전체 기간 또한 단축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모듈러는 형태가 단순하기 때문에 하자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사전 테스트도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모듈러의 하자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현장에서 배관 및 배선 연결과 구조 결합에서 실수가 없다면 하자가 많이 줄어듭니다. 그 외에조 현장 진동고과 소음이나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도 줄어드는 장점이 있습니다.단점은 정해진 형태가 있어서 공간 구성이 자유롭지 않습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형태가 단순하시 때문에 인테리어 역시 큰 개성을 부여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공간의 변화를 주려면 가구 배치로 하거나 공간을 조금 포기하고 가벽을 설치해야 될 것입니다. 취향에 따른 공간 배치에 대해서는 기존 아파트 역시 정해진 공간에 입주하는 것이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닐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 외에도 고층화가 어려웠던 것이 있었지만 어느 정도 해결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모듈러 건축물의 하자 발생시 책임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문제를 정확히 파악해야 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지진시 실내에서 안전을 확보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일본에서는 지진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진시 실내 안전을 위한 대처가 잘 된 곳이 많이 보입니다. 특히 집에서 필요한 부분들이죠. 가족 중에 일본에 사는 가족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번 방문하면서 일본의 가정집을 볼 수 있었습니다. 집에서 지진 발생시 문제가 될 것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부딪혀서 부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래서인지 일본에서 높이가 높은 수납장은 벽에 고정이 되거나 되도록 설치하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수납장에 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았습니다. 별도로 구입하는 가구를 되도록 낮은 것으로 두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인테리어시 높은 수납장도 많이 사용합니다. 그런 경우 벽에 고정하지 않는데 지진지 넘어지면서 사람이 부딪힐 수 있습니다. 높은 수납장은 벽에 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떨어져서 맞을 경우 부상 위험이 있는 물건은 높은 곳에 두면 안됩니다.(당연히 높은 곳에 무거운 물건을 두진 않겠지만요.) 그럼에도 조명기구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니 책상, 식탁 같은 하부에 공간이 있는 가구 밑으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 가정에서 예방으로 특별한 것이 없습니다. 지진 발생시 넘어질 수 있는 가구를 두는 것을 피하거나 잘 고정해 두는 것이 좋고, 조금이라도 무게가 나가는 물건은 낮은 곳에 수납하면 됩니다. 조명은 잘 보강해도 지진의 강도에 따라 떨어질 수 있으니 책상이나 식탁 하부로 피해야 됩니다. 지진이 발생하면 소강상태가 될 때까지는 피했다가 나와야 합니다. 건물이 흔들릴 때 이동하다가 넘어져서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싱크홀은 자연재난이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원래 싱크홀은 자연 현상으로 인해 생겨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도심에서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은 인간의 행위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많습니다. 싱크홀 발생 원리는 지표나 지하 석회질이 물에 의해 용해되고, 그 물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면 생겨나는 지하 동공이나 지하수가 흐르며 침식작용을 해서 생겨나는 지하 동공으로 상부 지반이 무너지며 발생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도심에서 생겨나는 싱크홀은 비슷한 원리지만 그 원인이 다릅니다. 지하 공사 중에 지하수의 흐름에 영향을 줘서 침식작용이 발생하게 만들거나 지중에 매립된 배관을 파손시키거나 노후로 인해 파손 되었을 때 누수로 인해 주변 토사가 다른 곳으로 흘러가서 생긴 동공으로 지반이 무너져 내려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사전에 공사 환경을 잘 검토하고 예방조치를 해야 하고, 노후된 배관을 사고 발생 전에 교체하는 것이 그나마 싱크홀 발생울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시멘트는 한번금가면 다 갈아엎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시멘트는 물과 혼합해서 굳어지면 단단하게 형태를 유지하는 재료입니다. 그래서 물을 섞는 것이 필수인데 타설 후 마르면서 수축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금이 갈 수 있습니다. 금이 가는 것을 최소화 하려면 양생(말려서 굳히는 과정)할 때 표면에 물을 조금씩 뿌려서 서서히 굳어지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빨리 수분이 증발하며 굳어지면 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정확히 어떤 작업을 하려고 시멘트를 사용한 것인지 몰라서 갈아 엎어야 할지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크랙인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조립식 판넬주택 경량철골이 없이 짓는 경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주택이라면 구조안전의 확인 대상입니다. 구조계산을 해야 되는데 경량철골이나 일반 철골 없이 계산이 힘듭니다. 샌드위치판넬 만으로는 압축력을 버티는 것도 풍하중을 버티는 것도 어렵습니다. 격벽식으로 시공하는 것은 실내에 벽을 구획할 때는 가능하겠지만 판넬이 구조체로 사용되기는 어렵습니다.구조안전 확인은 어떻게 받아냈는지 궁금하네요.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석회석이 많은지역이 싱크홀위험성이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주로 싱크홀이 발생하는 원인이 지하수가 땅 속에 석회질을 녹인 다음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면 빈 공간이 생겨나서 상부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것입니다. 그 외에도 연약지반에 지하수와 함께 이동하며 동공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경우 보다는 석회질이 용해되거나 기존 동굴이 무너지면서 생기는 것이 많을 것입니다. 그래서 석회석이 많은 지역은 싱크홀 발생 빈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철근의 이음부가 설계기준항복강도의 125% 이상의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우, 이음부의 위치에 대한 제한이 없음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보통 철근을 이음할 때 겹침 이음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규정상 규격이 D35 초과할 경우 겹침이음을 하면 안 됩니다. 그럴 경우 용접이음, 가스압접이음, 기계적이음을 해야 될 것입니다. 이때 용접이음과 기계적이음에 대해서 설계기준 항복 강도의 125% 이상 발휘해야 된다는 기준이 있습니다.(콘크리트 구조 설계 기준) 더 복잡한 기준이 더 있지만 질문에서 얘기하신 125%에 대한 기준이 나오는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그리고, 이음부 위치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이음부 위치에 대한 기준은 겹침이음에 있는데, 응력이 낮은 부분에 하고 겹침이음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하는 것이 좋다고 되어 있습니다.제가 추측해 보기로는 이음에 대해서 설계기준 항복강도의 125% 이상 발휘해야 한다는 기준이 용접이음이나 기계적 이음에 기준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음부 위치에 대한 기준은 겹침이음에서 나오기 때문에 이음부의 위치 제한을 두지 않는 것으로 본 것 같습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