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염정흠 전문가
EU건축사사무소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축사는 어떤 환경으로 구성되어야, 적합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축사는 가축이 살기 좋은 환경을 구축하면서 관리도 편해야 될 것입니다. 가축의 특성상 배변시 장소를 가리지 않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닥에 깔아둔 것을 치우기도 쉬워야 합니다. 소변과 같은 것이 잘 흡수되거나 빨리 배수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예전부터 마른 풀(볏짚)이나 톱밥 같은 것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요즘은 인공 바닥재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농사를 짓던 곳에서 소를 키우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농사 후 생겨나는 볏짚 같은 것을 많이 깔아주었을 것입니다. 요즘은 발효 톱밥을 깔아주는 곳도 있습니다. 축사의 특성상 냄새가 많이 나기 때문에 환기가 잘 되도록 사방이 뚫여 있는데도 냄새가 많이 발생합니다. 그런 것을 줄여주기 위해서 발효톱밥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톱밥에 있는 미생물이 분변 흡수를 잘하고 냄새를 줄여주는 것입니다. 위생을 위해서 자주 교체해주어야 합니다. 인공바닥재는 배수를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어떤 바닥재든 청소는 자주 해줘야 합니다. 톱밥이나 건초는 교체도 어렵지 않고, 사용한 것은 퇴비로 만들 수도 있어서 축사 깔짚으로 좋을 것 같습니다. 계속 사용해왔던 방식이고, 번식에도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적절한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일반 건물에는 환기 장치가 얼마정도나 있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환기장치는 필요에 따라 다릅니다. 지하층에 주차장이 설치될 경우에는 법적 기준에 따라 환기장치를 결정합니다. 주차장이 아닌 일반 건축물에 기계환기 대상은 3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이나 주택을 포함한 주택 이외의 시설과 동일 건축물로 건축한 30세대 이상의 주택 등으로 주로 주거용 건축물입니다. 기준은 시간당 환기 성능, 오염물질 제거나 여과 성능 등 여러 기준에 맞춰 계획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보통 신축공동주택에 적용되지만 단독주택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주거용 외에도 필요하다면 환기장치를 설치할 수 있지만 비용적인 문제로 소규모에는 주로 자연환기를 계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건물 리모델링은 어떠한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리모델링을 하게 될 경우 기존 건축물의 현황을 조사합니다. 이때 구조체의 점검도 합니다. 현행 기준에 맞지 않으면 구조 보강을 하고, 보수가 필요하다면 보수공사도 이루어집니다. 구조체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현행 기준에도 맞도록 설계되고, 손상된 곳이 없을 때입니다. 리모델링의 장점은 기존 건축물을 철거했을 때 발생하는 폐기물을 줄이고, 신축시 사용될 자원을 아낄 수 있는 것입니다. 일부 철거와 보강으로 폐기물 발생이나 자원을 추가 사용하겠지만 철거 후 신축 하는 것 보다는 적다는 것입니다.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리모델링도 하기 어렵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지하상가 50평 벽쪽 위 공간을 막아야 냉난방, 습도에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사진에 벽이 이중이라면 방습벽인 것 같습니다. 지하층은 외벽으로 스며 들어오는 수분과 결로가 생기 쉬워서 내부에 블록벽을 하나 더 만들어서 공간을 만듭니다. 그 사이 공간으로 배수를 하고, 내부 벽이 습기를 줄여주는 것입니다. 만약 균열이 심하다면 보수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면을 첨부해 보겠습니다.오래 전에는 지하 옹벽을 시공할 때 단열재를 빼는 경우도 더러 있었습니다. 그런 경우 내부 온도가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방습벽이라도 제대로 시공되어 있는게 그나마 도움이 됩니다. 그런 이유에서라도 보수는 필요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옥상위 철판에 몰탈을 발라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철판이 휘면서 다른 철판과 벌어져 틈이 생기거나 콘크리트 난관과 벌어져서 틈이 생긴 것 같습니다. 철판에 몰탈을 바르는 것 보다는 휘어진 철판을 최대한 펴주고 틈에 실리콘을 바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몰탈은 금속재에서 박리 되기 싶습니다. 특히 외부라면 더 유지가 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전국적인 땅꺼짐, 씽크홀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최근 나타나고 있는 싱크홀의 원인은 자연 발생 보다 인재사고로 볼 수 있습니다. 노후 배관이 누수 되거나 공사 중에 배관을 파손시켜 누수가 발생하며 주변 지반을 침식해서 발생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그 외에도 공사 중에 흙막이나 물막이 공사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발생하거나 지하층을 깊게 건축하여 지하수에 영향을 주어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 지하철 공사 중 흙막이와 물막이 공사를 제대로 하지 얺아 싱크홀이 발생한 사례도 있으며, 호수 주변 지하층 공사로 인해 싱크홀이 발생한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추가로 몇 년 전 조사 결과 서울만 해도 30년 이상된 노후 배관이 매우 많았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일본 역시 이러한 문제로 싱크홀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집을 지을때 수압을 높이는 공사도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상수인입 방식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저수조(물탱크)를 설치해서 공급하는지, 수도직결방식인지 차이도 있습니다. 요즘은 물탱크 방식이 층수가 높은 경우 많이 적용하기 때문에 직결방식으로 생각하여 답변을 남기겠습니다.상수도 인입시 수압을 높인다기 보다 해당 지역 관로의 수압을 측정하여 전체 관로의 수압을 조절합니다. 특정 건물만 수압이 낮은 것이 아니라 주변 건물의 수압도 낮은 경우라면 상수도사업본부에 요청하여 수압검사를 하여 원인을 찾아야 됩니다. 그 후 상수도 수압이 낮다고 판단될 경우 상수도의 수압을 높여줄 것입니다. 상수도의 문제가 아니라면 인입되는 배관의 관경이 작거나 노후배관 내에 이물질이 축척되어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인입관이 작은 경우를 예시로 인입 배관이 15A인데 건물 내에서 사용되는 배관이 20A들이 있다면 수압이 낮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인입배관을 25A로 건물에서 사용하는 관경 보다 높여주면 됩니다. 대부분 건물 내에 생활용수 배관들이 15~25A 정도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생각하면 인입배관을 25A 정도로 하면 충분한 수압이 나올 것입니다. (일반 수전에 25A 배관을 거의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요즘 인입관경을 25A로 많이 사용하여 인입관경이 작아서 수압이 낮아지는 것을 줄이고 있습니다.) 노후 배관이라면 예전에 아연도강관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철이 부식되어 내부 공간을 좁게 만들었을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배관을 교체해야 됩니다. 요즘은 위생과 부식 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수압을 높여줄 가압펌프를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층수가 많은 건물이 아니라면 대부분 수도직결 방식으로 수압이 확보 되고 있습니다. 어느 정도 층수까지 수압이 확보되는지는 지역마다 차이는 있습니다. 사전에 확인해 봐야 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싱크홀이라는 것이 건물 또는 지하철 공사가 주요 원인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현장 주변 싱크홀은 몇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공사 전에 주중 매설된 배관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공사해야 되며, 배관 주변에서는 더 조심해야 됩니다. 하지만 중장비 기사들이 작업 중에 조심성 없게 시공하면서 배관을 파손시킬 수 있습니다. 때로는 공사구간 주변으로 흙막이, 물막이 공사 등의 조치를 제대로 취하지 않으면서 흙이 무너지며 배관에 영향을 줄 수도 있고, 지하수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그로 인해 싱크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노후된 배관이 장비와 충돌이 없었는데도 공사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 파손될 수도 있습니다. 공사와 무관하게 노후되어서 누수되었는데, 공사시점과 맞물려서 공사로 인한 것이라 오인할 수도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싱크홀로 일어난사고 자연재해로봐야하나요 ??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하수관의 누수로 인한 것이나 지하층 공사로 지하수가 영향을 받는 등의 원인으로 생겨나는 싱크홀은 인재사고라 보는게 맞을 듯합니다. 인간의 행위가 발단이 되는 것이고,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테라스 모래자갈 시공시 우천시 물은 어디로 빠지는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흔히 역전지붕용 드레인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드레인 위에 자갈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트랜치로 막고 자갈을 올립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를 올리겠습니다.위 사진처럼 시공하는데 보통은 자갈이나 건식 판재로 덮어서 마무리합니다. 그런데 모래까지 덮으면 자갈 틈으로 모래가 흘러 들어갈 우려가 있습니다. 모래가 너무 많이 들어갔는데 우수관 끝까지 빠져나가디 않고 쌓일 수도 있습니다. 마사와 같이 굵은 것으로 사용해야 될 것 같습니다.배수는 첨부한 사진과 설명을 참고해 주십시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