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건물이 견딜수 있는 무게를 어떻게 아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건축을 할 때 구조계산을 통해서 구조체의 세부 내용을 설계합니다. 하지만 50년 전 건축물이라면 구조 안전의 확인 의무 대상이었을 가능성이 낮습니다. 내진설계를 도입한 것이 1988년 8월경으로 그 전까지는 대부분 경험치로 설계해 왔습니다. 당시에도 대규모 건축물(10만제곱미터 이상, 6층 이상) 만이 의무 대상이었습니다. 그렇다면 해당 건축물은 구조안전의 확인 의무대상이 아니었을 것으로 예상되며, 내진설계를 하지 않았을 겁니다. 그런 건축물을 구조 검토 없이 리모델링을 하면서 13톤의 자제하중이 늘어난 것이 부담스러운 하중인 것은 맞습니다. 그 무게가 각 부위의 바닥으로 골고루 나누어서 시공했다고 해도 최하층의 구조체는 상부 하중을 다 받아내야 하므로 최하층 구조체가 얼마나 튼튼하게 지어졌을지가 문제입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얼마나 잘 관리되어온 건축물인지도 중요합니다. 만약 리모델링을 할 때 구조 검토를 거쳤다면 공사 당시 기준에 맞춰서 계산하기 때문에 그나마 안전할 것입니다. 그것이 아니라면 확실히 안전하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설계가 잘못되었다면 벌써 무너졌을 겁니다. 아직도 잘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엉터리 설계는 아니었고, 당시 시공도 잘 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연식이 오래 된 것이 문제인 듯합니다.
Q. 결로현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곳은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단열을 어떻게 했냐에 따라서 결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내단열과 외단열이 겹치는 부분에서는 외단열이 끝난 지점부터 구조체는 차가워 집니다. 그리고, 내단열이 끝나는 지점으로 그 냉기가 흘러 들어옵니다. 그런 것을 열교현상이라고 합니다. 열교가 발생하는 부위에 습도가 높은 공기가 닿으면 공기 중 수증기가 이슬점에 도달하여 결로로 맺히는 것입니다. 내외부 온도 차이가 심하고, 실내의 습도가 높을수록 많은 양의 결로가 발생합니다. 만약 전체를 내단열로 시공했는데 결로가 생겼다면 단열재의 기밀성이 부족하여 틈으로 공기가 들어가고, 그 넘어로는 외기로 인해서 차가워진 구조체가 있어서 결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 단열형태는 전체를 외단열로 하여 구조체가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이 또한 기밀성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정밀한 시공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내벽에 얇은 단열재를 추가한다면 구조체가 내외기에 영향을 받지 않게 만들 수 있습니다. 대신 비용이 추가되는 것이기 때문에 내단열 추가는 선택사항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외단열을 잘 한다면 내단열을 추가하지 않아도 단열은 충분할 것입니다. 전체를 외단열로 시공했는데도 결로가 발생한다면 단열재의 성능, 기밀성, 실내가 과습상태가 아닌지 등을 의심해봐야 할 것입니다.
Q. 도심 속 녹지 공간의 확대가 대기 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도심 녹지는 몇 가지 주요효과가 있습니다. 잘 아시는 효과로는 식물이 이산화탄소룰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해 줌으로써 이산화탄소로 인한 온실효과도 줄이면서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녹지 공간은 주민들에게 심리족 안정감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도심지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에게는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해주고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연환경에서 시간을 보낸 사람들은 우울증과 불안감이 감소하는 경향이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자연과의 소통 공간이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도심에서 바닥을 보시면 대부분 콘크리트, 아스팔트, 블럭 등으로 포장이 되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블럭의 경우 그나마 물 흡수가 되기 때문에 비가 많이 내렸을 때 물빠짐이 되겠지만 다른 포장의 경우 물이 고이기 쉽고, 주변 우수관로를 통해서만 배수가 됩니다. 이마저도 관로에 이물질로 인해 홍수로 이어질 수 있는데, 자연녹지는 물흡수가 잘 되는 자연지반이기 때문에 홍수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도심은 생물들이 살아가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녹지공간이 있다면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도심에 사람들이 많이 다니면 시각적으로 혼잡한 느낌이 들 수 있는데 녹지공간이나 나무들이 있으면 시각적으로 혼잡함을 줄이고 여유롭게 느껴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그 외에도 다양한 효과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