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겨울철 건설업 쪽에서 사용하는 방동제의 성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콘크리트가 동해를 입지 않도록 해주는 방동제는 특수 질소 화합물이 주성분입니다. 섭취하게 될 경우 구토, 발작 증세가 나타나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방동제의 주성분도 남겨드리겠습니다. 방동제 주성분은 아질산나트륨, 아질산칼슘, 계면활성제, 이산화규소, 멜라민, 물, 기타첨가물이 들어갑니다.
Q. 이를 닦고나서 물로 헹구는것이 좋은가요? 안헹구는 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외국의 경우 불소성분과 치아가 반응하는 시간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치약을 뱉고 물로 헹구는 것까지는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그렇게 권장하는 국가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치약에 불소 뿐 아니라 계면활성제나 미세한 연마제(요즘은 연마성분이 없는 제품이 많은 것 같습니다., 보존제 등이 유해할 수도 있다고 판단하여 양치 후 입을 헴구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치약의 사용방법에도 헹구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불소 또한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되면 급성으로 복통과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헹궈주는 것이 좋겠죠? 그래도 치사량 기준을 보면 불소 1000ppm(고불소에 속함)의 치약을 기준으로 소아는 치약 하나, 성인은 치약 두개 정도를 한꺼번에 섭취했을 때라고 하니 약간의 치약을 섭취하는 것으로는 위험하지 않습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계면활성제, 연마제, 보존제 등도 있지만 이 역시 안전성을 인증받고 사용하였을 것이기 때문에 소량 섭취로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냥 잘 뱉어내는 것으로도 괜찮긴 합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유해성 정도가 다르고, 계면활성제가 가장 문제인데 입에 성분이 남아 있을 때 구강건조증을 유발하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 구취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요즘은 자연유래성분으로 대체된 제품이 늘고 있어서 굳이 헹구지 않아도 될 제품도 있을 것 같습니다.의학적으로 충치예방을 위해서는 헹구지 않고 거품을 뱉는 것으로 끝내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논문에서 나온 실험 결과를 보면 물로 헹궈낸 그룹도 충치예방의 효과가 있었고, 거품을 뱉기만 한 그룹과 큰 차이는 없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 점을 보면 양치를 올바르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국내 치과의사 중에는 불소가 치아와 접촉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양치시간을 늘릴 것을 추천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는 양치 후 거품만 뱉고 입 안에 불소성분이 남아 있도록 하는 외국과 비슷한 개념일 듯합니다.치약의 여러 성분들을 섭취하는 것이 불안하다면 양치 시간을 늘려주고, 물로 헹궈서 마무리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추가적으로 칫솔질을 할 때 너무 세게 누르면 치아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치아와 솔이 접촉만 한다는 생각으로 문질러주면 됩니다. 치아 사이에 음식물을 제거하는 것을 치실이나 치간칫솔이 효과적입니다. 일반적인 양치는 불소와 치아의 접촉시간이 중요하며, 표면에 음식물은 약한 솔질에도 제거가 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내진설계를 하는 과학적 원리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내진설계라는 것은 지진을 견뎌내기 위한 설계이기도 하지만 건축물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진동 및 하중에 견디기 위한 설계이기도 합니다. 구조설계시 건축물에 영향을 주는 힘을 하중이라 표현하는데 지진하중, 풍하중, 적설하중, 건축물 자체하중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설계합니다. 그 중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지진이기 때문에 지진에 대비한 설계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지진과 태풍, 적설량 등은 오랫동안 기록해온 데이터 중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계산되어 집니다. 이 기준은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값을 높게 잡아서 대입하는 구조기술사가 많습니다. 그래야지 더 안전하니까요.여러가지 하중이 건축물에 작용했을 때 건축물 전체가 어떤 방향으로 쓰러지는지 시뮬레이션을 합니다. 그리고 더 세부적으로 구조체 각 부재의 어느 부위가 가장 큰 힘을 받게 되는지 찾아냅니다. 힘의 방향도 확인합니다. 어떠한 방향에서 가잔 큰 힘이 작용해서 무너진다는 결과가 나오면 그 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조체를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보를 보면 한 건축물에 있는 보도 위치나 다른 보들과의 관계에 따라 힘을 많이 받는 부위가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학적 계산으로 각 부위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확인하고 적절한 양의 철근 강도와 개수를 결정해서 설계해줍니다. 철근이 너무 많아도 건축물이 쉽게 무너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양의 철근과 부재 사이즈로 설계해야 됩니다. 그 외에도 내진설비 중 건축물에 작용한 진동을 대신 흡수하여 상쇄시키는 것도 있습니다. 형태는 다양하지만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건축물이 흔들렸을 때 내진설비가 그 진동을 흡수해서 대신 흔들림으로써 건축물의 흔들림은 줄어들거나 멈추게 됩니다. 롯데타워 등과 같은 초고층 건축물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Q. 매일 운동하는게 근육에 좋나요? 쉬어야 좋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운동 강도나 종류, 회복속도, 영양섭취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휴식을 충분히 가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운동 강도가 높지 않아 근섬유 손상이 거의 없다면 매일 해도 되지만 고강도 운동으로 인해 근섬유 손상이 있다면 회복에 대략 이틀정도 걸립니다. 만약 회복이 다 되지 않은 부위를 운동할 경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강도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부위를 나누어서 한 부위가 휴식을 취할 동안 다른 부위를 운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 2분할, 3분할 등으로 운동 부위를 나누고, 운동을 쉬는 날도 정하는 것이 그런 이유입니다. 휴식을 취하는 동안 간에서 단백질 합성을 하며 손상된 근섬유를 더 강하고, 크게 회복시켜줍니다. 이러한 것은 고강도 운동의 경우로 어떠한 운동이냐에 따라 차이는 있습니다. 휴식 시간을 짧우면서 자주 가지는 경우가 있고, 길게 가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운동선수의 경우 휴식시간이 과하게 길어지지 않도록 전문가의 지도 하에 정하기도 합니다. 그때도 시간의 차이지 휴식은 꼭 필요로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갑자기 인류가 달 탐사를 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달에 희토류를 채굴하기 위한 목적이 강한 우주개발입니다. 달에는 희토류, 헬륨-3, 우라늄 등 희귀 자원들이 풍부하다고 알려졌습니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희귀 자원을 먼저 차지하기 위해서 우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우주 개발은 막대한 비용이 들고, 그로 인한 이득이 없다고 여겨져서 중단했지만 희귀 자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다시 개발에 들어갔다고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