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테이프는 유리소재로 만든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유리섬유테이프를 말씀하시는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테이프는 플라스틱인 폴리프로필렌(PP)을 기초로 한 재질이 많습니다. 종이나 PVC, 금속재질 등 다양한 테이프가 있는데 그 중 유리섬유(글라스화이바) 소재를 포함한 테이프도 있습니다. 유리섬유테이프도 여러 형태로 만들어져 나오는데 유리섬유로 강화된 필라멘트 테이프란 것도 있고, 망사형태 등이 있습니다. 고밀도 포장, 내열성 등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유리성분이 들어갔지만 일반 테이프처럼 유연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달에 물이 있다고 인간이 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있다면 식수조달이 쉬워지고, 식물을 키울 수도 있을겁니다. 식수 문제만 해결되어도 매우 큰 문제 한가지를 해결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 전에 사람을 포함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공간도 건축해야 합니다. 초기에는 지구에서 필요한 공기를 가지고 가야 할 것이고, 차츰차츰 달에서 생육하게 만든 식물이나 여러 미생물 등을 통해서 필요한 공기도 조달할 수 있을 겁니다. 대략적인 상상으로는 그렇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가 너무 많습니다. 물이 있다고 해도 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게 매우 힘들 것입니다. 공기를 가둬둘 수 있는 공간을 만들더라도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토질이 맞을지도 확인해야 하고, 대기권이 없기 때문에 태양광을 일부 걸러줄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물론 공간을 구성할 때 미리 생물이 살기 적정하게 만들어 줄 유리처리나 외장처리를 하면 됩니다만 막대한 비용이 들것이기 때문에 작은 공간부터 시작해야 할 것입니다. 차츰 공간을 늘려가야 하는데 앞서 구성한 곳의 보수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1/6정도인데 지구에서 살던 인간이나 동물에게는 부적합할 것입니다. 이를 해결할 기술이 갖춰져야 합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문제들이 있습니다. 다 해결하기에는 너무 오랜 기간이 걸리거나 해결 못할 수도 있습니다. 달에서 살기 위한 환경을 민들기 보다는 달에 있는 희토류나 그 외에 유용한 자원 등에 대한 연구시설을 검토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 추측합니다. 달의 현재 환경은 인간이나 생물이 살기 힘든 것은 맞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만화에서 보면 방귀를 낄 때 불을 붙이면 로켓처럼 날아가던데 실제로 가능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방귀성분에는 메탄, 질소, 이산화탄소, 수소 등이 들어가 있는데 이중 메탄과 수소가 점화력이 있기 때문에 실제 방귀에 불을 붙일 수는 있습니다. 방귀 속에 메탄이 20~30%가량 포함되어 있는데 메탄은 인화성이 있어 메탄이 늘어날수록 불이 잘 붙을 것입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화상에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재미난 발상이라고만 생각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