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3동안 병원비 돌려받기 이런게 뭐에요?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해당 기능은, 본인의 건강보험 진료 내역을 기반으로 실손보험 또는 건강보험 환급 가능 금액을 예측해주는 서비스로 보입니다.이 기능은 건강보험공단과 연동되어 최근 3년간의 병원 이용 이력과 보험금 청구 가능 내역을 조회하고, 환급이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항목들을 정리해 주는 구조입니다.실제 해당 서비스 자체는 보이스피싱이나 사기라고 보기 어렵고, 일정 부분 기능은 실손보험 청구 누락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그러나 주의할 점은, 해당 플랫폼이 공공기관이 아닌 민간 서비스라는 점이며, 개인정보를 입력하거나 계좌정보를 제공할 경우에는 철저히 확인이 필요합니다.민간 서비스지만 광고로 저렇게 노출하는 이유가 있을것으로 보입니다.조심스럽지만 차라리 금융위원회랑 생명,손해보험 협회에서 운영하는 공식 보험 통합조회 시스템을 이용하시기를 더 추천드립니다." 내보험 찾아줌 " 을 검색해보시면 바로 연결 됩니다. 여기서 이용하면 공공기관 차원에서 휴면보험금등도 모두 볼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Q. 한의원에서 치료목적으로 한약을 지어서 먹은 적이 있는데 한약치료는 보장에서 제외가 되었던데, 치료목적인데 왜 안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한약은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아니므로 비급여로 취급되서 보상되지 않습니다.일부 09년 7월 이전 가입한 몇몇 실손보험의 경우 입원치료목적의 한약에 대해 청구가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만. 원칙적으로 표준화(2009년8월)이후 부터는 한약이 보장되지 않습니다.질문자님께서 납득이 되지 않는 부분도 이해갑니다.다만 건강보험은 국가가 '의료적으로 필요하고, 비용효과적인 행위'를 보장하는 체계입니다.국가에서는 한약은 표준화되지 않은 개인 맞춤 조제로 보고 약제 구성·용량·적응증이 다양해서 치료효과 검증이 제도적으로 곤란하다고 봅니다.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첩약을 건강보험 적용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는 있습니다.정리해보자면, 의학적 표준성과 보험재정 관리측면에서 건강보험 적용을 못하고 있고, 실손보험 약관상에서도 역시 그러한 이유로 보장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