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최우영입니다.

안녕하세요. 물리치료사 최우영입니다.

최우영 전문가
허필우신경외과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학교에서 축구하다 왼쪽어깨 쇄골이 부러짐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사진을 보았을 때, 단순히 금이 간게 아닌 뼈가 분리된 쇄골골절로 보여 이는 수술치료를 하는게 좋습니다.만약 수술을 하지 않으면 성장하면서 변형이될 수 있고 어깨의 가동범위에도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쇄골 뼈 수술은 금속판으로 나사와 함께 고정하는데 대부분 1~2시간정도 걸리며, 수술 후 회복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6개월에서 10개월 금속판과 나사를 제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성인은 불편감이 없다면 계속 금속을 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발가락 골절은 어떻게 해야 빨리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잘 붙고 있는데, 곧 운동경기 시합을 뛰어야한다면, 개인적으로는 뛰지 않는것을 추천드립니다.통증이 있다는것 자체가 아직 신경 또는 연부 조직이 덜 회복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골절로 인해 불안정성 또는 걸을 때 불균형 보행패턴이 남아 있어 이러한 재활도 꼭 해주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그리고 마지막으로 통증없이 발가락에 체중을 실을 수 있는지? 통증없이 5분간 뛸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 이게 안된다면 운동하시면 안됩니다..ㅠㅠ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관절부분을 뚝 소리가 날 정도로 꺾으면 시원하던데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목이 자주 뻐근하고 뭉쳐 "뚝" 소리를 내면서 시원하게 하는건 관절 내 기포가 터지는 소리이며, 말씀하신것처럼 순간적으로 관절 내 압력이 낮아져 시원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플라시보 효과도 있습니다.)하지만 너무 자주 꺽는다면, 목뼈 관절을 지탱해주는 인대들이 느슨해져 불안정성이 나타날 수 있고 만약 과하게 꺾는다면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그리고 경추에는 자율신경계가 지나가기 때문에 너무 과하게 꺾으면 어지럼증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개인적으로 단순 목 스트레칭 하는것을 추천드리며, 온찜질도 도움이될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손가락 신경 절단으로 수술 후 한달정도지났는데 일할때 손 사용해도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손가락 깊게 베어서 신경이 손상되어 수술을 받았다면, 회복할 때 까지는 다친손은 쓰지 않는것이 좋습니다.만약 무리해서 사용하게 된다면, 염증이 재발되어 신경이 재손상될 수 있고 기능회복도 느릴 수 있습니다.신경재생은 시간이 오래걸리며, 최소 2~3개월정도는 쉬어줘야합니다.그리고 수술부위는 쉽게 붓고 압박받으면 쉽게 다칠 수 있어 더더욱 조심하셔야합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하체 운동만하면 무릎이 아픈데 계속 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하체운동 후 무릎이 아프다면, 슬개건염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이러한 통증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릎의 안정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하체 운동 시 넙다리네갈래근과 햄스트링이 적절히 사용하여 무릎의 안정성을 만들어줘야하는데, 아마 하체 앞쪽 근육인 넙다리네갈래근만 너무 과하게 사용하여 무릎 앞쪽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고, 골반이 너무 전방경사가 되어서도 무릎 앞쪽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우선 당분간은 쉬어주시고 햄스트링 운동을 하시면서 하체운동을 하는것이 좋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거북목은 한번 생기면 고칠 수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것처럼 병원에서 오시는 환자분들도 거북목 또는 일자목이 있으면 정상으로 돌아오기 힘드냐고 여쭤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초기 또는 중기에는 충분히 거북목 교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심하게 나타난다면 뼈가 변형되고 관절이 유착되었기 때문에 완전히 복원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아마 나이가 42세이시면 충분히 재활을 통해 올바른 목의 커브를 만들 수 있습니다.그리고 가장 중요한건 오랜시간 한 자세를 오래 유지하지마시고 30~40분에 한번씩 움직여주는것이 좋습니다.(이건 꼭 지켜주셔야합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비 오는 날 무릎이 쑤시다 라고 하시죠??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것처럼 비가 오기전에 무릎이 쑤시는 이유는 기압 변화와 습도, 온도가 떨어져 몸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비가 오기 전 대기압이 낮아지면 우리 몸을 누르는 외부압력이 줄어들어 관절 내부 조직들이 팽창해질 수 있고 대부분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어르신 분들은 계속된 압박으로 염증이 이미 있거나 신경 말단이 자극을 받아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관절염 환자는 관절사이에 염증이 있어 이미 예민한 상태인데, 외부 압력이 줄어들어 안에 있는 조직이 붓고 신경을 건드려 더 아프게 됩니다.다른 원인으로는 체온이 저하되어 근육과 인대가 수축해 관절낭이 수축하게되고 관절의 유연성이 감소되어 더 많은 근육의 힘이 들어가 통증이 쉽게 나타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의자에 오래 앉아 있으면 등이 아프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오래앉아 있으면, 충분히 등도 아플 수 있습니다.대부분 등을 과하게 펴거나 또는 등을 과하게 구부렸을 때 장력으로 인해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나중엔 날개뼈 안쪽까지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등의 움직임을 만들어주는것이 중요한데, 폄 움직임과 회전움직임 만드는것을 추천드립니다.아래사진처럼 흉추를 회전하면 뻣뻣한 등을 이완하는데 큰 도움이될 수 있습니다.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큰 도움이되실 수 있습니다.https://blog.naver.com/brain-theraphy/223538415226?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손목이 너무 아프네요 ㅜㅜ 파스로도안되고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말씀하신것처럼 며칠전부터 휴대폰을 많이하여 손목에 욱신거리는 통증이 있다면, 손목을 과하게 사용하였거나 특정한 자세로 오래 유지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또는 반복적으로 손목을 사용하여 손목을 움직이는 힘줄과 인대에 염증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가장 가능성 큰 원인은 휴대폰을 오래들고있어 근육의 과사용으로 인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손목을 사용할 때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손목이 나을 때 까지 당분간은 최대한 쉬는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나이가 들어가면 할아버지나 할머니의 등이 굽어서 지팡이를 짚고 다니게 된 이유는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나이가 들면서 척추후만증이 나타나는 원인은 다양하게 있습니다.우선, 나이가 들면 골다공증이 생기는데, 골다공증으로 인해 척추가 압박되어 등과 허리가 주저앉는 압박골절이 생겨 등이 굽을 수 있습니다.다른 원인으로는 척추 주변근육이 약해지거나 옛날에 농사일을 너무 오래하셔서 척추후만증이 나타나 등이 점점 굽을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단순히 나이가 들면서 근육이 약해져 지탱하지 못해 중력으로 인해 점점 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관절이 너무 과하게 굳어있고 나이가 들면 재활이 힘들 수 있지만, 대부분은 조금씩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