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혹멧돼지는 왜 초원에 사는 멧돼지이면서도 나무가 많은 덤불지대를 좋아하나요?
말씀하신대로 혹멧돼지는 탁 트인 초원에 사는 동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나무가 많고 풀이 빽빽한 덤불지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혹멧돼지가 덤불지대를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초원은 먹이를 찾기에는 좋지만, 사방이 트여 있어 맹수들의 눈에 띄기 쉽습니다. 반면 덤불지대는 빽빽한 수풀이 시야를 가려주므로, 혹멧돼지는 이곳에 몸을 숨겨 천적인 사자나 하이에나, 표범 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새끼를 낳거나 기르는 어미 혹멧돼지에게 덤불지대는 필수적인 안식처가 됩니다.그리고 혹멧돼지는 더운 아프리카 초원 기후에 살기 때문에 체온 조절도 중요합니다. 덤불지대의 나무와 수풀은 뜨거운 햇볕을 가려주어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고, 또한 진흙 목욕을 즐기는 혹멧돼지에게 덤불지대 주변의 습한 환경은 체온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됩니다.또한 덤불지대는 초원보다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자라므로 혹멧돼지가 먹을 수 있는 뿌리나 풀, 과일 등이 더 풍부합니다. 더욱이 덤불지대 근처에는 물웅덩이나 작은 강이 있는 경우가 많아 물을 쉽게 얻을 수도 있죠.이렇게 혹멧돼지는 초원에서 먹이를 구하고 활동하지만, 위험을 피하고 휴식을 취하며 새끼를 기를 때는 덤불지대를 이용하는 전략적인 서식지 선택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Q. 박쥐는 어떻게 하여 하늘을 나는 유일한 포유류가 된것인가요?
결정적으로 생존을 위한 진화였습니다.박쥐의 조상은 두더지와 비슷한 형태의 육상 포유류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아마도 먹이 경쟁이 치열한 육상 환경에서 벗어나 공중으로 서식지를 확장하면서 더 많은 먹이를 얻기 위해 비행 능력을 진화시켰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박쥐의 날개는 새의 날개나 곤충의 날개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진화했습니다.새의 날개는 팔 전체가 변형된 것이라면, 박쥐의 날개는 앞다리의 손가락뼈들이 길게 늘어나고 그 사이에 얇고 탄력적인 피부막인 비막이 형성된 형태입니다.또한 비행에 특화된 신체 구조로 진화하였는데, 박쥐의 뼈는 속이 비어 있거나 매우 가벼운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비행에 필요한 체중을 줄였고, 비행에 필요한 강한 힘을 내기 위해 가슴 부위의 근육이 크게 발달했습니다.특히 박쥐의 날개는 조류와 달리 매우 유연해서 날개짓 방식이 독특합니다. 날개를 올릴 때 완전히 뒤집어서 몸이 수직으로 상승하도록 하는 등 효율적인 비행을 가능한 날개를 가지고 있죠.
Q. 우리나라에도 타란튤라와같은 독거미가 야생에 있나요??
우리나라에는 타란튤라처럼 크고 맹독성을 가진 독거미가 서식하지는 않습니다.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대부분의 거미는 먹이를 사냥하기 위해 독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에게 치명적인 독을 가진 거미는 국내에 거의 없습니다. 해외의 맹독성 거미와는 달리, 한국에 서식하는 거미의 독은 사람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정도는 아니죠.물론, 거미에게 물리면 통증, 부종, 가려움 등의 국소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거나 증상이 심해질 수도 있긴 하지만, 생명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Q. 멸종된 동물 칼리코테리움은 지금 살아있는 동물들 중에서 주로 어떤 동물에 가까웠나요?
사실 칼리코테리움은 독특한 외형 때문에 현생 동물과 직접적으로 연결하기 어렵습니다.다만, 분류학적으로는 기제목에 속하는 포유류입니다. 그리고 기제목에는 현재 살아있는 동물들 중 말이나 코뿔소, 맥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칼리코테리움은 이들 동물과 같은 목에 속하며, 이들과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특히, 많은 연구에서는 칼리코테리움이 말보다는 맥이나 코뿔소와 더 가까운 관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비록 앞발의 특이한 형태나 보행 방식 때문에 고릴라나 땅늘보와 유사해 보이지만, 이는 수렴 진화의 결과일 뿐 유전적 유연관계는 아니라는 것이죠.결론적으로 칼리코테리움은 외형적으로는 매우 독특하고 다른 동물들의 특징을 섞어 놓은 듯하지만, 계통분류학적으로는 말, 코뿔소, 맥을 포함하는 기제목 동물군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특히 맥과 코뿔소에 더 가까웠던 고대 동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