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아래 사진의 수수하면서도 얌전해 보이는 노란 꽃을 아시는지요?
사진 속 꽃은 금계국으로 보입니다.보통 금계국은 5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9월까지 여름 내내 꽃을 피우는데, 벌써 저렇게나 피었군요.금계국의 꽃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보통 '상쾌한 기분', '항상 활기찬', '첫눈에 반한 사랑', '사랑의 꽃' 등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럼피스킨은 어떠한 질병인지 궁금합니다
펌피스킨병, 즉, LSD는 소와 물소에서 발생하는 급성 또는 만성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최근 국내에서도 발생하여 축산 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는데, 이 질병은 가축전염병 예방법상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에서도 관리대상 질병으로 분류하여 발생 시 각국에 통보하도록 하고 있습니다.럼피스킨병은 폭스바이러스과 카프리폭스바이러스속에 속하는 럼피스킨병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양두 및 산양두 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유사성이 높습니다.앞서 말씀드렸지만, 주로 소와 물소에서 발생하며, 품종에 따라 감수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그리고 주로 모기나 파리, 진드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전파되며, 감염된 동물의 피부 결절, 침, 분비물 등과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오염된 사료, 물, 주사기 등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된 가축의 이동에 의해 장거리 전파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잠복기는 보통 4일에서 14일 정도이며, 주요 증상이라면 고열, 피부 및 점막의 결절, 림프절 붓기, 피부 부종, 식욕 부진, 유량 감소, 눈곱, 콧물, 과다한 침흘림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진단을 할 때는 앞서 말씀드린 임상 증상과 함께 바이러스 분리, 유전자 검출, 항체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및 통제 방법은 백신 접종이며, 매개 곤충 방제 및 전파를 막기위한 농장 생차단 방역 수칙 준수 또한 중요한 부분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이 숨을 멈출때 세포는 언제까지 살아 있나요?
말씀하신 것처럼 생물이 죽는다고 세포도 즉시 죽는 것은 아닙니다.세포가 죽는 이유는 산소와 영양분 공급 중단으로 인한 에너지 생산 중단 때문입니다. 그래서 세포가 살아있는 시간은 세포의 종류나 산소 부족에 대한 민감도, 그리고 주변 환경, 특히 온도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먼저 뇌 세포는 산소에 가장 민감하기 때문에 산소가 3~5분만 공급되지 않아도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이 시작되며, 그 이상 지나면 대부분의 뇌 세포는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이것이 심정지 후 빠른 심폐소생술이 중요한 이유입니다.그리고 심장 근육 세포 역시 뇌 세포만큼은 아니지만 산소 요구량이 높습니다. 그래서 심장 박동이 멈춘 후 수십 분 이내에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됩니다.신장이나 간 등 장기 세포는 뇌 세포보다는 오래 버티지만, 역시 산소 부족에 민감한 편입니다. 보통 수십 분에서 1~2시간 정도가 지나면 손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장기 이식 시 장기 적출 및 이식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고 냉장 보관하는 것입니다.마지막으로 근육 세포와 피부 세포, 뼈 세포, 결합 조직 세포들은 대사 활동이 느리고 산소 요구량도 적습니다. 심장 박동이 멈춘 후에도 몇 시간에서 길게는 하루 이상 살아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후 강직은 근육 세포의 에너지 고갈과 관련된 현상으로, 세포가 즉시 죽지 않고 일정 시간 기능을 유지하다가 발생하는 현상의 일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각막 이식이나 피부 이식 등이 사망 후에도 가능한 이유가 이들 세포의 생존 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멸종된 동물이라는 타이라신은 정확히 어떤 종류인가요?
티이라신은 흔히 '태즈메이니아 호랑이' 또는 '태즈메이니아 늑대'라고도 불렸지만, 개나 호랑이와는 전혀 다른 유대류에 속하는 동물이었습니다.타이라신은 현존하는 가장 큰 육식성 유대류였으며, 개과 동물과도 비슷한 얼굴 형태와 호랑이 같은 줄무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겉모습의 유사성은 유연관계가 아닌 수렴진화의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타이라신은 '포유강 - 유대하강 - 주머니고양이목 - 타이라신과 - 타이라신속'에 속하는 동물로 개과나 고양이과는 태반이 있는 포유류에 속하므로, 타이라신과는 매우 먼 관계입니다. 현존하는 동물 줄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는 태즈메이니아 데빌이나쿼l(quoll)과 같은 다른 주머니고양이목 동물들이 있습니다.몸길이는 꼬리를 포함하여 1.2 ~ 1.9m 정도이며, 어깨 높이는 약 60cm 정도였습니다. 등 쪽에 13~20개의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 가로 줄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나 '태즈메이니아 호랑이'라 불렸고, 주둥이는 길고 좁으며 귀는 쫑긋했습니다.가장 큰 특징은 유대류답게 암컷은 새끼를 기르는 육아낭을 가지고 있었고, 수컷에게도 불완전한 형태의 주머니가 있었습니다. 꼬리는 비교적 길고 뻣뻣했으며, 개의 꼬리처럼 자유롭게 움직이기보다는 몸통의 연장선처럼 보였습니다. 발은 앞발에 다섯 개의 발가락, 뒷발에 네 개의 발가락을 가졌으며 발바닥은 비교적 평평했습니다. 걸음걸이는 개과 동물과 유사하게 발가락으로 걷는 지행성이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독균의 침입 시 면역세포들이 빠른 대처가 안되는 이유?
말씀하신 것이 맞습니다.매독은 15세기 후반 유럽에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콜럼버스의 항해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입되었다는 이론이 가장 유력하죠. 또한 매독균이 인체의 면역 체계를 회피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도 사실입니다.많은 세균들은 외막의 단백질이나 지단백 때문에 면역 세포의 패턴 인식 수용체에 의해 인식되는 형태입니다. 하지만 매독균은 외막에 노출되는 단백질의 양이 상당히 적습니다. 그 때문에 면역 세포의 직접적인 인식을 피할 수 있는 것입니다.또한 매독균은 자신의 표면에 사람의 혈청 단백질이나 숙주에서 만들어진 다른 분자들을 흡착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숙주 성분으로 자신을 감싸면, 면역 체계가 이를 본래 몸에 있던 세포 등으로 오인하여 공격하지 않거나, 공격하더라도 효율성이 떨어지게 됩니다.게다가 다른 병원성 세균에 비해 매독균은 증식 속도가 느린데, 이는 면역 체계가 인지하는 항원의 양이 적어 강력한 면역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기 어렵게 만듭니다.
2462472482492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